종합(김치1).jpg

굿푸드앤와인쇼 행사장 전경. 사진 문화원 제공

 

2019년 굿푸드앤와인쇼에서 펼쳐진 김치 마스터 클래스

 

주시드니한국문화원(원장 박소정, 이하 ‘문화원’)은 지난 6월21일부터 23일까지 3일 동안 달링하버에 위치한 시드니국제컨벤션센터(International Convention Centre Sydney)에서 개최된 호주 최대 연례 음식페스티발 ‘2019 굿푸드앤와인쇼(Good Food & Wine Show in Sydney 2019)’에 참가하여, 한국의 전통음식인 김치를 널리 알렸다. 문화원에서 김치 마스터클래스를 운영하며 호주인 참가자들이 직접 김치를 만들고, 6가지 다양한 종류의 김치를 맛볼 수 있는 기회를 마련했던 것.

이번 김치 마스터클래스는 현 문화원 한식 강좌 강사이자 호주 SBS TV프로그램 ‘푸드사파리(Food Safari)’ 등에도 출연경력이 있는 헤더 정(Heather Jeong) 셰프가 진행했으며, 한국의 대표 발효음식인 김치를 참가자들이 직접 만들고 또 자신이 만든 김치를 유리병에 담아 가져갈 수 있도록 하여 참가자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었다. 클라스는 행사 기간 동안 매일 오후 3시45분부터 4시30분까지 45분 간 총 3회 개최되었는데 3회 모두 매진이 되어 총 90명의 현지인들이 김치 만들기를 체험했다고 문화원측은 밝혔다.

 

종합(김치2).jpg

김치 마스터클래스 참가자들이 김치를 직접 만드는 모습. 사진 문화원 제공

 

굿푸드앤와인쇼 홍보물에서 김치 마스터클래스에 대한 내용을 보고 참가를 신청한 앨리슨 테일러(Alison Tailor)씨는 “김치를 한번 먹어본 적 있고 건강에 좋은 음식이라는 것은 들었지만, 어떠한 재료가 들어가는지 몰랐다. 한번 직접 만들어보고 싶어서 참여하게 되었다”며, “김치에 이렇게 많은 재료가 들어가는지 몰랐고, 새우젓이나 멸치액젓이 들어가는 것도 흥미로웠다. 집에서도 한번 만들어 볼 수 있을 것 같다” 며 김치 마스터클래스에 대한 만족감을 드러냈다.

헤더 정 셰프는 “한국음식이 호주 현지에서도 인기를 얻고 있어 기쁘다. 이번 클래스를 통해 김치가 건강식이며, 집에서도 쉽게 만들 수 있는 음식이라는 것을 알리고 싶었다”며 소감을 전했다.

굿푸드앤와인쇼는 대형 유통업체 관계자, 수입바이어, 음식에 관심 있는 현지인 등 3만 명 이상이 방문하는 호주 최대의 음식박람회로, 문화원은 2013년 이후 매년 지속적으로 참여하여 그 동안 한국의 발효음식, 다식, 다례 등 우수한 한국음식과 식문화를 홍보해온 바 있다.

박소정 문화원장은 보도 자료를 통해 “호주에서 한국음식을 맛볼 수 있는 기회는 점점 많아지고 있지만, 실제로 만들어보면서 재료가 무엇인지 그 음식에 담긴 철학이나 한국문화에 대해서 알 수 있는 기회는 많지 않다. 이번 김치 클래스에 참가한 많은 분들이 만족하고 계셔서 앞으로 이러한 기회를 더욱 확대하여 한국음식을 알리고자 한다“고 올해 행사기획의 의미를 설명했다.

 

(시드니한국문화원 보도자료 정리)

  • |
  1. 종합(김치1).jpg (File Size:78.1KB/Download:16)
  2. 종합(김치2).jpg (File Size:68.3KB/Download:23)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254 호주 호주 중앙은행, 기준금리 인하 결정 호주한국신문 15.02.05.
2253 호주 NSW 주 정부 교육예산 제한, 직업교육 목표 차질 호주한국신문 15.02.05.
2252 호주 마틴 플레이스 린트 카페 인질극 진상조사 공개 호주한국신문 15.02.05.
2251 호주 인질극 당일의 현장 상황은... 호주한국신문 15.02.05.
2250 호주 호주 유권자들, 토니 애보트 현 수상 ‘외면’ 호주한국신문 15.02.05.
2249 호주 계속되는 자유-국민 연립의 인기도 하락 호주한국신문 15.02.05.
2248 호주 경전차 차고에서 녹슬던 시드니 마지막 전차 ‘부활’ 호주한국신문 15.02.05.
2247 호주 네산 키스틴씨, 어번 카운슬 ‘올해의 시민상’에 호주한국신문 15.02.05.
2246 호주 호주 팀 카이힐, 중국 ‘상하이 선화’ 팀으로 이적 호주한국신문 15.02.05.
2245 호주 이집트 억류 호주인 그레스트 기자, 400여일 만에 귀국 호주한국신문 15.02.05.
2244 호주 중국 자산가의 호주 정계 후원금, 1년 사이 크게 늘어 호주한국신문 15.02.05.
2243 호주 ‘The Water Diviner’와 ‘The Babadook’, 호주 최고 영화상 호주한국신문 15.02.05.
2242 호주 중앙은행 금리인하, 투자대출 35% 증가 전망 호주한국신문 15.02.12.
2241 호주 북 인권 개선 위한 동포 주관 NGO 출범 호주한국신문 15.02.12.
2240 호주 한국 중앙선관위, 재외선거 준비 돌입 호주한국신문 15.02.12.
2239 호주 제12대 재호주대한체육회, 정기총회 파행 호주한국신문 15.02.12.
2238 호주 NSW 노동당, 한인 대상 ‘스몰 비즈니스 포럼’ 개최 호주한국신문 15.02.12.
2237 호주 ‘샘 해밍턴이 소개하는 안전한 호주 워킹홀리데이’ 호주한국신문 15.02.12.
2236 호주 아스페르거 증후군 여성, 경찰 대치 중 총 맞고 사망 호주한국신문 15.02.12.
2235 호주 주 선거 앞두고 베어드 지지율 23%대 하락 호주한국신문 15.0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