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재외선거)2.jpg

한국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재외선거 안내 홈페이지

 

"재외국민의 소중한 권리를 꼭 행사해 주세요"

 

2월15일, 제21대 대한민국 총선 재외선거 신고 신청 마감

총영사관 이외 스트라스필드와 브리즈번에 2개 추가투표소도 설치

 

시드니총영사관(재외투표관리관 홍상우)에서 올 4월에 있을 한국 제21대 국회의원 재외선거의 신고/신청이 금주 토요일(2월15일)에 마감된다며, 아직까지 신고나 신청을 하지 않은 유권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당부하고 있다.

총영사관에 따르면 영사관 방문 접수는 당일 오후 5시에, 그리고 인터넷 접수는 자정인 밤 12시(시드니 현지시간)에 마감되며, 이후 접수된 신고와 신청은 등록되지 않는다. 2월15일은 주말(토)이지만 영사관의 재외선거업무는 오전9시~오후5시 동안 정상 운영되며, 인터넷 신고/신청 주소(재외선거홈페이지)는 http://ova.nec.go.kr 이다.

영사관 측은 "인터넷을 통해 신고/신청하신 유권자 중 아직까지 접수증을 받지 못하신 분은, 여권번호 또는 주민등록번호 등 개인정보를 잘못 입력하여 처리가 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 이라며, 지난주 2월6일(목) 현재 미접수 상태 신청자 수가 30여명 있다고 밝혔다. 또한 "휴대전화번호와 이메일 등 연락처를 남겨주신 분들에게는 계속 전화와 이메일로 연락 및 안내를 취하고 있으나, 답변이 없어 처리되지 못하고 있다"며 연락을 당부했다. 유효한 여권번호 등이 확인되지 않으면 선거인명부에 오를 수 없어 투표에 참여할 수 없다. 시드니총영사관 재외선거팀은 전화(02-9210-0246)나 이메일(ovsydney@mofa.go.kr)로 연락할 수 있다.

 

한국에 주민등록이 되어 있는 국외부재자와, 이전 선거 당시 주민등록이 없는 영주권자로서 재외선거인명부에 오른 사람 중 선거일 이후 한국 내에 주민등록을 하여 국외부재자신고 대상자로 신분이 변경된 사람은 반드시 다시 신고를 해야만 이번 선거에 참여할 수 있다. 또한 이전 선거에 참여하여 영구명부에 등재된 재외선거인이라도 2회 이상 계속하여 재외선거에 투표하지 않은 선거인은 재외선거인명부에서 삭제되므로, 본인의 영구명부 등재여부를 재외선거 인터넷 신고/신청 홈페이지(http://ova.nec.go.kr)를 통해 조회 하는 것이 좋다.

 

스트라스필드와 브리즈번에 추가투표소 설치

시드니총영사관 재외선거관리위원회에서는 이번 총선 재외선거에서 유권자들의 투표편의 제고를 위해 시드니총영사관투표소 외에 재외투표소 2곳을 추가로 설치하기로 했다. 각 투표소 및 운영기간은 다음과 같다.

 

시드니총영사관 재외투표소: 시내 총영사관 대회의실(10층, 44 Market St), 4월1일(수)~6일(월) 오전8시~오후5시 운영

스트라스필드 재외투표소: 라트비안 하우스(Latvian house) 강당(32 Parnell St), 4월3(금)~5일(일) 오전8시~오후5시 운영

브리즈번 재외투표소: 퀸스랜드주 한인회관(1406 Beenleigh Rd, Kuraby), 4월3일(금)~5일(일) 오전8시~오후5시 운영

 

이번 제21대 총선 재외선거는 향후 △재외선거인 등 신고/신청 접수(2월15까지), △재외선거인명부 등 작성(2월26일~3월6일), △재외선거인명부 열람 및 이의신청(3월7일~ 3월11일,) △재외투표 관리(4월1일~4월6일) 등의 선거절차 사무가 관련 법규에 따라 진행된다. 시드니총영사관 재외선거실 총책임자 김동춘 영사는 지난주 본지와의 통화에서 "비록 2월15일에 신고와 신청이 마감되지만 등록된 유권자들이 투표에 적극 참여하도록 최선을 다해야 하는 등 재외선거와 관련하여 할 일들이 많다"며 "호주에 계신 대한민국 재외국민들이 소중한 권리를 행사할 수 있도록 많은 도움을 부탁한다"고 한인 언론사들의 적극적인 협조를 당부했다.

 

이기태 기자 / francislee@koreanherald.com.au

 

  • |
  1. 종합(재외선거)2.jpg (File Size:54.3KB/Download:21)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494 호주 카운슬 합병, 내년도 주 선거의 핵심 이슈 될 듯 호주한국신문 14.09.11.
2493 호주 “무의식적 편견이 남녀간 임금 격차 벌인다” 호주한국신문 14.09.11.
2492 호주 AFP, 호주 내 IS 지하디스트에 ‘체포 영장’ 발부 호주한국신문 14.09.11.
2491 호주 NSW 북부 ‘클라크 비치’서 상어공격으로 수영객 숨져 호주한국신문 14.09.11.
2490 호주 기획③ : 1차 대전 발발 당시의 호주 호주한국신문 14.09.11.
2489 호주 신공항 부지 주변 지역 부동산, ‘관심 급증’ 호주한국신문 14.09.18.
2488 호주 내년부터 재외국민도 주민등록증 발급받는다 호주한국신문 14.09.18.
2487 호주 호주한국학교 학생들이 들려준 한국 노래들 호주한국신문 14.09.18.
2486 호주 한국문화원, ‘한국어 공교육 활성화’ 행사 성료 호주한국신문 14.09.18.
2485 호주 호주국립대학 등 호주 8개 대학 100위권에 포함 호주한국신문 14.09.18.
2484 호주 7년 전 교통사고 현장서 유사 사고 또 발생 호주한국신문 14.09.18.
2483 호주 5명 중 1명 “강간, 술 취한 여성도 일부 책임” 호주한국신문 14.09.18.
2482 호주 호주, 기후 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 ‘큰 문제’ 호주한국신문 14.09.18.
2481 호주 지난 회계연도 호주 이민 유입 19만 명 호주한국신문 14.09.18.
2480 호주 NSW 노동당, ‘의료용 대마초’ 초당적 지지 제안 호주한국신문 14.09.18.
2479 호주 “시드니 테러 위협, 전국 도시 중 가장 높다” 호주한국신문 14.09.18.
2478 호주 호주의 이라크 파병 병력 비용, 연간 5억 달러 호주한국신문 14.09.18.
2477 호주 시드니 경매 낙찰률 83.9%, 6개월 이래 ‘최고’ 기록 호주한국신문 14.09.25.
2476 호주 일부 카운슬, ‘주차장 없는 아파트 건설 허가’ 제안 호주한국신문 14.09.25.
2475 호주 리드컴 소재 수영장, 내년부터 재개발 공사 호주한국신문 14.09.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