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독감백신)1.png

NSW 정부가 약국에서 투여하는 어린이 독감 백신 접종 허용 연령을 16세에서 10세로 낮춤에 따라 가족들이 겨울철 어린이 독감예방에 더욱 효과적으로 대처할수 있게 됐다. 현재 전 세계를 휩쓸고 있는 코로나-19 바이러스가 호주에서 유행하여 기존의 겨울 독감과 융합될 가능성을 우려한 조치로 분석된다. (사진: Immunisation Coalition)

 

코로나-19 바이러스가 기존의 겨울 독감과 융합될 가능성 우려

2017년에는 NSW에서만 650명 이상이 독감 관련 질환으로 사망

 

NSW 정부가 약국에서 약사가 청소년들에게 주사를 놓아주는 독감 백신 접종 허용 연령을 16세에서 10세로 낮춤에 따라 가족들이 겨울철 어린이 독감예방에 더욱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됐다.

브래드 해자드(Brad Hazzard) 보건부 장관은 금주 월요일(2일) 각 언론사에 보낸 보도 자료에서 "작년은 역사상 가장 긴 독감 시즌이었으며 2017년에는 NSW에서 650명 이상이 독감 관련 질환으로 사망했고, 지금은 COVID-19 바이러스 사태까지 벌어지고 있다"며 "독감 백신이 COVID-19 (바이러스)와 싸우지는 않겠지만, 인체 면역력을 저하시키고 다른 질병을 유발시키는 독감의 확산을 줄이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정부의 이번 조치의 배경을 설명했다.

NSW 정부는 백신을 포함한 2019-20의 면역 프로그램 예산에 약 1억3천만 달러를 책정한 바 있는데, NSW 최고 보건책임자 케리 챈트(Kerry Chant) 박사는 "매년 NSW에서 수백 명의 독감 관련 사망자가 발생하고 있으며 사망자의 상당수가 백신을 접종하지 않은 사람들로부터 감염된 것으로 조사됐다"면서, "예방접종을 받지 않으면 자신의 목숨이 위험할 뿐만 아니라, 어린이나 노약자들처럼 취약한 사람들을 감염시킬 수 있다"고 누구나 예방 접종을 받을 것을 촉구했다.

 

종합(독감백신)2.jpg

사진: Pixabay

 

호주 정부와 국내 의학계는 앞으로 대유행으로 번질 가능성이 큰 COVID-19 바이러스가 기존의 겨울 독감과 융합될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 올해 독감 백신은 오는 4월 중순부터 제공될 예정이다. 작년에는 약 250만 개의 정부 지원 독감 백신이 NSW에 배포되었고 올해는 260만 개 이상이 투입될 것으로 예상된다. 챈트 박사는 "올해의 독감 백신은 가장 큰 위험을 초래할 것으로 예상되는 (코로나 바이러스) 변종에 특별히 맞춰질 것이지만, 언제나처럼 당신의 GP나 약사와 상의하여 정확한 투여량을 준수하라"고 조언했다.

65세 이상 노인들이나 임산부, 원주민, 고위험 의료취약 조건을 가진 사람들은 국가면역프로그램에 따라 각 지역 일반의(GP)를 통해 무료로 예방접종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생후 6개월에서 5년 사이의 모든 어린이들에게 무료 백신이 제공된다. 민간 시장에서 약사들이 인플루엔자 백신을 공급하고 투여할 수 있는 연령을 16세에서 10세로 낮추는 '독 및 치료용품 규정 2008'(Poisons and Therapeutic Goods Regulation 2008) 개정안은 오는 3월 중순에 발효될 예정이다.

 

이기태 기자 / francislee@koreanherald.com.au

 

  • |
  1. 종합(독감백신)1.png (File Size:123.7KB/Download:20)
  2. 종합(독감백신)2.jpg (File Size:50.3KB/Download:22)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534 호주 부동산 투자 비자 정책으로 주택가격 상승 호주한국신문 14.08.28.
2533 호주 취재수첩- 누구를 위한, 무엇을 위한 총회? 호주한국신문 14.08.28.
2532 호주 텔스트라 ‘콜센터’, 5년 이내 사라질 것 호주한국신문 14.08.28.
2531 호주 클리브 팔머 대표, 중국 정부에 대한 ‘막말’ 사과 호주한국신문 14.08.28.
2530 호주 시드니 시티, ‘인종차별 규탄안’ 만장일치로 통과 호주한국신문 14.08.28.
2529 호주 “아시안컵 성공 개최 위해 한인사회 적극 협력...” 호주한국신문 14.08.28.
2528 호주 “이너 시드니 아파트, 공급 과잉 불러올 수도...” 호주한국신문 14.08.28.
2527 호주 ‘크리스마스 섬 난민신청자 처우’에 집단소송 호주한국신문 14.08.28.
2526 호주 애보트 수상, 테러 억제 위해 6천400만 달러 배정 호주한국신문 14.08.28.
2525 호주 정부법률가, 총기소지 및 마약거리 혐의로 기소 호주한국신문 14.08.28.
2524 호주 “마리화나, 젊은 층 정신질환 치료 이용 가능” 호주한국신문 14.08.28.
2523 호주 NSW 새 음주법 도입 6개월, 뚜렷한 변화 드러나 호주한국신문 14.08.28.
2522 호주 올 겨울 기간, 시드니 부동산 가격 5% 급등 호주한국신문 14.09.04.
2521 호주 재호주대한축구협회, ‘대사배 왕중왕’전 개최 호주한국신문 14.09.04.
2520 호주 소비자 보호기관, 휴가예약시 주의사항 권고 호주한국신문 14.09.04.
2519 호주 한국문화원, 2014 한국어도서 독후감대회 성료 호주한국신문 14.09.04.
2518 호주 한국문화원, 맥콰리대학에 ‘한국어 강좌’ 개설 호주한국신문 14.09.04.
2517 호주 캐나다베이 카운슬 ‘페라고스토 축제’ 개최 호주한국신문 14.09.04.
2516 호주 이슬람 극단주의 반군, 또 미국 기자 ‘참수’ 충격 호주한국신문 14.09.04.
2515 호주 지난해 호주 방문 관광객, 300억 달러 이상 지출 호주한국신문 14.09.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