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P “브리즈번 정유공장 폐업”


필립 모리스 “멜번 생산 중단”



 


호주에 진출한 다국적 기업들이 줄줄이 호주 제조업에서 손을 떼면서 수백명의 일자리가 사라질 위기에 놓였다. 2일 글로벌 기업 BP가 브리즈번 벌워아일랜드 정유공장(Bulwer Island refinery)의 조업을 중단한다고 발표해 350여명이 해고될 전망이다. 앤디 홈즈 비피 오스트레일리아(BP Australasia) 회장은 이날 멜번에서 기자회견을 통해 “아시아 국가들의 정유 기업들이 더 낮은 가격으로 경쟁을 하기 때문에 폐업을 결정했다”고 밝혔다. 그는 폐업으로 인한 실직 근로자들의 향후 취업과 복지 문제를 위해 기업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BP는 브리즈번 공장에서 하루 10만 배럴을 정유해 왔고 서호주에 다른 정유 시설이 있다.


쉘은 지난 2월 호주 정유 시설을 매각하고 870개의 주유소를 비톨(Vitol)에 29억불로 매각하는 결정을 발표한 바 있다. 쉘은 빅토리아 질롱 정유공장의 450명 근로자들 중 실직자는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또 말보로 브랜드로 유명한 세계적인 담배 제조회사인 필립 모리스(Philip Morris)가 연말까지 호주 생산을 중단한다고 발표했다. 세계 담배 시장에서 약 15%를 점유하는 강자인 필립 모리스는 거의 60년 동안 멜번의 무라빈(Moorabbin) 공장에서 담배를 생산해 왔다. 그러나 올 연말까지 호주 생산을 정리하고 한국에서 대신 생산을 할 계획이다.


멜번 공장 폐쇄로 180여명이 일자리를 잃게될 전망인데 필립 모리스측은 멜번의 호주 본사에서 호주 영업을 위해 약 550명을 계속 고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필립 모리스의 호주 생산 철수 결정은 국내 시장에서 담배 수요의 전진적 감소와 호주정부가 2010년부터 도입한 단순포장법(plain packaging) 등이 요인이 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존 글레드힐 호주법인 대표는 “단순포장법 도입과 불법 판매 증가에도 불구하고 고 2013년 생산은 꾸준했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 2월 토요타가 2017년부터 호주 생산 중단을 발표해 약 2500명이 실직될 전망이다. 앞서 홀덴도 2017년, 포드는 2016년 호주 제조 중단 결정으로 각각 약 3천명과 약 1200명의 일자리가 사라지게 된다. 3개 자동차 메이커의 호주 전면 철수 결정은 자동차 부품산업을 비롯한 제조업 전반에 걸쳐 큰 파급 효과를 줄 것으로 우려된다.


2월 콴타스가 작년 후반기 2억5천만불 손실 발표와 함께 대대적 구조 조정으로 5천명 풀타임 직종 감원을 발표해 충격을 준 바 있다.


   


사진: 필립모리스 대표 브랜드인 말보로 담배


 

  • |
  1. 필립모리스의_말보로_담배.png (File Size:72.8KB/Download:25)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834 호주 재외선거인 등록했다가 이후 국적 상실 또는 주민등록을 했다면... file 호주한국신문 23.12.21.
2833 호주 마이클 린드만 작가, 제10회 ‘한호예술재단 미술공모’ 상금 2만 달러 차지 file 호주한국신문 23.12.07.
2832 호주 가언과 진언 사이- 35 file 호주한국신문 23.12.07.
2831 호주 “문학 꽃잎 다섯 장 모여 무궁화 꽃마당 활짝 피웠다” file 호주한국신문 23.12.07.
2830 호주 “22대 대한민국 총선 참여로 호주 재외국민 목소리 보여줄 때...” file 호주한국신문 23.12.07.
2829 호주 호주 주요 정-재계 인사들, 하이스쿨 여학생들과 ‘커리어’ 공유 file 호주한국신문 23.11.30.
2828 호주 “장애를 가진 이들 또한 우리 사회의 동등한 구성원이자 함께 하는 이웃...” file 호주한국신문 23.11.23.
2827 호주 평통 호주협의회, 청년 자문위원 대상의 ‘통일 불씨 캠프’ 개최 file 호주한국신문 23.11.23.
2826 호주 ‘저버리지 못할 약속이여!’... 동포 청년들, 조국 위한 선열들 희생 추모 file 호주한국신문 23.11.23.
2825 호주 “세대를 아우르는 음악적 감동...” 두 번째 청소년 음악 콩쿨 성료 file 호주한국신문 23.11.16.
2824 호주 시드니 총영사관, 제22대 국회의원 재외선거 ‘국외부재자 신고’ 접수 시작 file 호주한국신문 23.11.16.
2823 호주 ‘함께 하는 모두의 한인회’ 목표... 34대 시드니한인회 출범 file 호주한국신문 23.11.16.
2822 호주 “방한 연수로 한국 알았고, 보다 큰 세계를 보는 계기 됐다” file 호주한국신문 23.11.16.
2821 호주 시드니 한국문화원, ‘PowerhouseLate’ 프로그램 통해 ‘한국문화’ 소개 file 호주한국신문 23.11.09.
2820 호주 이민 칼럼- 호주 취업이민, ‘골품제’의 저주가 풀렸다 file 호주한국신문 23.11.09.
2819 호주 서울 뉴욕 베이징의 신진작가들, ‘디아스포라 예술’의 다양성 제시 file 호주한국신문 23.11.09.
2818 호주 시드니총영사관-Multicultural NSW, ‘다문화 보조금’ 설명회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23.11.02.
2817 호주 호주 현지 한국어 과정 중등부 학생 대상, ‘한국어 말하기’ 대회 성료 file 호주한국신문 23.11.02.
2816 호주 민간 복지단체 CASS, ‘지역사회 예방접종 인식 확대’ 프로그램 진행 file 호주한국신문 23.11.02.
2815 호주 ‘시드니재외선거관리위원회’, 총선 앞두고 호주 재외국민 선거업무 개시 file 호주한국신문 23.1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