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사모 1.JPG

호주 통사모의 정기 공연에서 동호회 운영자 신기철씨(사진 왼쪽)가 이봉철-이원철 회원으로 구성된 ‘철철 브러더스’의 무대를 소개하고 있다. 통사모의 정기 모임은 회원 각자의 기타 연주 및 모두가 함께 하는 연주와 노래로 진행된다.


기타 동호회 ‘호주 통사모’(통기타를 사랑하는 사람들 모임)의 노래 사랑


70-80연대 음악으로 활력 되찾고, 동포사회 위한 대외활동으로 발전



지난 5일(토) 오후 3시. 던다스(Dundas)에 위치한 던다스 초등학교(Dundas Public School) 강당 앞으로 통기타를 멘 이들이 하나 둘 모여들었다. ‘호주 통사모’(통기타를 사랑하는 사람들 모임) 회원들이 매월 1회의 정기 모임을 위해 모여들기 시작한 것. 오후 2시부터 시작된 기타 강습이 끝나자 이들은 무대를 단장하고 음향시설을 설치하는 등 4시부터 열리는 정기모임 준비를 시작했다.


이날은 호주 통사모 회원 모두가 월 1회 갖는 이 모임은 다 함께 기타를 연주하며 노래하는 시간으로 진행된다. 기자가 찾아간 날 강당을 메운 통기타 회원은 약 35명. 이들은 매주 모임에 빠지지 않는 그야말로 ‘열성 회원’들이다.



7, 80년대의 향수 어린 노래들,


기타 연주와 함께 삶의 활력도



지난 2000년대 초반, 한국의 한 기획사가 ‘7080’이라는 이름의 대형 콘서트를 기획, 전국적으로 히트하면서 이 타이틀은 통기타 동호인들의 활동을 촉진했고, 유사한 콘서트들이 쏟아져 나오는 등 하나의 사회적 아이콘으로 자리 잡았다. 통기타 모임이 무수히 생겨나고 온-오프라인을 통해 모임 활동을 이어가고 있음은 이 동호인 활동을 통해 얻어지는 긍정적 측면을 대변한다고 할 수 있을 듯하다. 그것은 직업으로서의 연주 및 노래활동은 아니지만 음악을 통해 발전적 삶의 방향을 다시 정비할 수 있다는 이유가 공통적 배경일 게다.


호주 통사모 역시 그런 배경에서 시작됐다. 현재 이 모임을 이끌어가는 신기철씨는 지난 2007년 호주로 건너와 6개월쯤 지날 즈음 온라인 카페에서 통사모 모임을 만들고 4개월 뒤 첫 오프 모임을 가졌다. 당시 오프 모임에 나온 회원들은 약 10명. 그리고 지금은 온라인 회원이 820명으로 늘어났고 매주 모임 장소인 던다스 초등학교 강당에 모이는 이들은 30-50명에 달한다.


“같은 취미를 가진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이 모여 노래를 부르면서 이민생활의 단조로움을 떨쳐낸다는 게 가장 큰 장점아 아닐까 합니다.” 신기철씨는 짧은 시간에 많은 회원이 모인 배경으로 “향수 어린 노래를 통해 일상의 스트레스를 털어버릴 수 있다는 점”을 꼽았다.


“회원들 중에는 우울증을 갖고 있는 이들도 있었는데, 이 모임을 통해 정신적 건강을 되찾았다고 하는 이들이 대부분입니다.”


그 역시 호주로 건너온 뒤 힘든 정착 과정을 보냈고, 이 모임을 만들어 운영하면서 많은 위로를 받고 있다고 털어놓았다.


현재 호주 통사모는 매주 회원 정기모임에 앞서 기타 강습도 병행하고 있다. 물론 이 강습은 연 2회 정도 10주 과정으로 진행된다. 애초 강습을 위해 통사모를 만든 것이 아니었다. 동호회 초기, 기타를 연주할 수 있는 회원이 많지 않아 어쩔 수 없이 강습을 시작했던 것. 연 2회 각 1주 과정으로 진행되는 이 강습은 무료이며 신기철씨가 직접 가르치고 있다.



동호회 자체 활동을 넘어


동포사회 봉사도 계획



호주 통사모의 모임은 초기 월 1회 모임에서 현재는 매주 토요일 모임으로 바뀌었다. 회원들이 원했기 때문이다. 게다가 기타 강습을 하면서 주 모임을 할 수밖에 없었다. 초보자를 위한 기타 강습은 무료로 진행된다. 하지만 신기철씨 개인적으로는 토요일에도 하던 일을 그만 두어야 했다. 강습은 1 Term을 10주로 10회, 현재까지 12기 강습이 이루어졌다. 지난 6년간 연 2회 강습을 가졌으며, 약 200명이 이 과정을 마쳤다.


회원 모임은 기타연주와 노래 부르기로 진행되며 공식 행사로는 월 1회 정기 모임을 통해 회원 모두가 기타를 연주하며 노래를 합창하는 ‘Sing Along’, 그리고 연 2회의 공연으로 이루어진다. 두 차례의 공연은 ‘통사모 창립 콘서트’라는 명칭으로, 또 하나는 외부에 선보이는 정기 공연으로 매년 10월에 마련된다.


통사모는 동호회 초창기, 첫 정기공연에서 300여 관객을 동원하는 기록(?)을 남기기도 했다.


지난 수년 동안 자체 활동 위주로, 대외 공연에 소극적이었던 통사모는 올해부터 동포사회를 위한 활동에도 적극 나선다는 계획이다. 그 일환으로 마련한 첫 행사가 다음 달 한인회관에서 열리는 ‘암 환우를 위한 호주 통사모 1일 라이브 카페’다.


동포사회를 대상으로 카페를 마련, 라이브 공연을 선사하면서 카페에서 나온 수익금을 암 환우를 위해 기부한다는 것.


재미있는 것은, 이 라이브 카페의 무대에 서는 회원들은 무대에 오르는 비용을 직접 부담해야 한다는 것. 라이브 가수(?)가 공연료를 받아야 함에도 회원들은 기꺼이 이에 호응키로 하고 현재 연습에 한창이다. 그 무대 비용이 결국은 암 환우를 위해 쓰이기 때문이다.


이 행사는 라이브 공연(2시간)과 메인 콘서트(1시간), 그리고 관객과 함께 하는 이벤트(1시간)로 마련될 예정. 신기철씨는 “공연을 통해 7, 80년대 젊은 시절을 보냈던 많은 동포들이 함께 모여 교감을 나누는 시간이 되었으면 한다”는 바람을 전했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814 호주 ‘멋글씨가’ 강병인 작가, 예술작품으로써의 한글의 매력 선보여 file 호주한국신문 23.10.19.
2813 호주 호주 초-중등학교 교장단 한국 방문연수, 4년 만에 재개돼 file 호주한국신문 23.10.12.
2812 호주 “21세기 글로벌 리더로...” 동포자녀 청소년 대상 ‘민족캠프’ 성료 file 호주한국신문 23.10.12.
2811 호주 노동절 연휴의 주말 음악 이벤트 참석했던 한인 청년, ‘안타까운 죽음’ file 호주한국신문 23.10.06.
2810 호주 금산 세계인삼축제, ‘엄마 행복하세요’ 슬로건으로 10월 6일 개막 file 호주한국신문 23.10.06.
2809 호주 34대 시드니한인회, 오혜영-신정구 회장단 체제로... 여성 회장은 ‘첫 사례’ file 호주한국신문 23.09.28.
2808 호주 “본국 정부의 한반도 평화-통일 로드맵 등 평통 본연의 의무, 최선 다하겠다” file 호주한국신문 23.09.28.
2807 호주 “투표소, 꼭 가셨으면 합니다”... 내일, 34대 시드니한인회장단 ‘투표’ file 호주한국신문 23.09.21.
2806 호주 시드니 동포단체들, 22대 한국 총선 기해 재외 투표율 제고 ‘앞장’ file 호주한국신문 23.09.21.
2805 호주 주시드니총영사관, 여권발급 기간 단축 시행 file 호주한국신문 23.09.15.
2804 호주 ‘디자인과 예술의 경계’를 만들어가는 작가 이광호, 시드니 관객과 만난다 file 호주한국신문 23.09.15.
2803 호주 21기 평통 호주협의회, “동포들과 함께 바른 통일 담론 만들어가겠다” file 호주한국신문 23.09.15.
2802 호주 4개 팀의 34대 한인회장단 후보들, 공통된 공약은 ‘한인회관 확보’ file 호주한국신문 23.08.31.
2801 호주 올해 금산 세계인삼축제, ‘엄마 행복하세요’ 슬로건으로 인삼 효능 강조 file 호주한국신문 23.08.31.
2800 호주 한국어 채택 학교 학생들의 장기자랑... ‘문화경연대회’ 개최 file 호주한국신문 23.08.25.
2799 호주 ‘마음의 고향’에서 ‘기생충’까지... 시드니서 즐기는 시대별 한국 영화 file 호주한국신문 23.08.17.
2798 호주 동포기업 ‘피다코’, 부동산 개발 이어 연어양식업으로 사업 확대 file 호주한국신문 23.08.17.
2797 호주 호주서 발간되는 종합문예지 ‘문학과 시드니’, 디아스포라 우수문예지 선정 file 호주한국신문 23.08.03.
2796 호주 ‘선핵’ 기조 유지하는 대북 전략, ‘비핵화의 실질적 이익 모델 제시’ 중요 file 호주한국신문 23.08.03.
2795 호주 “대한민국의 눈부신 성장 바탕에는 한국전 참전 용사들의 숭고한 정신이...” file 호주한국신문 23.08.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