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조 호키).jpg

재무부의 조 호키 장관은 지난 주 일요일(13일) ABC 방송의 인사이더즈(Insiders) 프로그램에 출연, “오는 5월부터 호주 노인연금 수령 연령을 70세로 상향 조정할 수밖에 없으며, 이는 선택의 여지가 없다”고 주장했다.


노동당 및 시니어 그룹, “선거 전 공약 파기 행위” 맹비난



노인연금 수령 연령을 70세로 상향하는 방안이 적극 검토될 것으로 보인다.


조 호키(Joe Hockey) 재무부장관은 “연방 정부의 힘든 결정이지만 선택의 여지가 없다”고 전제한 뒤 “오는 5월부터 호주 노인연금 수령 연령을 70세로 상향 조정할 수밖에 없으며, 현 시스템을 변경하지 않을 경우 아픈 아이들을 위한 약값 비용을 감당할 수 없다”고 전했다.


페어팩스 미디어(Fairfax Media)는 지난 주 토요일(12일) 정부가 노인연금 지불 비용의 상승을 늦추기 위해 물가와 연동해 느리게 조정할 수도 있지만 연금 수급 연령을 70세로 조정하는 것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다음 날인 일요일(13일) 호키 장관은 ABC 방송의 인사이더즈(Insiders) 프로그램에 출연 “나와 비슷한 세대들이 고령화되면 심각한 예산문제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그들은 더 오랫동안 일해야 한다”고 말하며 “이는 확실히 해결해야 할 문제 중 하나”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우리 세대는 추가로 3년을 더 일해야만 하는 경우가 생길지도 모르며 이러한 사실은 현재 영국에서 나타나고 있다. 오늘날 호주에서 태어나고 있는 아이들 세 명 중 한 명은 기대 수명이 100세”라고 덧붙였다.


장관은 이어 “정부는 앞으로 10년 동안 아픈 아이들을 위한 처방약 관련 예산을 가지고 있지만 만약 노인연금 수령 연령을 변경하지 않을 경우 아이들에 대한 혜택은 없을 수 있다”고 말했다.


호키 장관은 또 지난 주 미국 워싱턴 DC에서의 연설에서 “호주에서 65∼84세 사이의 고령 인구가 2010∼2050년 사이 두 배로 늘어날 전망이며 특히 85세 이상 인구는 같은 기간 4배로 급증할 것”이라며 지속 가능한 연방 예산의 필요성을 강조한 바 있다.


호키 장관이 워싱턴 DC에서 돌아온 직후 노동당의 시니어 그룹과 노동조합은 선거 전 연금에 대한 예산 삭감이나 변경은 없을 것이라는 공약을 어겼다며 애보트 정부를 강하게 비난했다.


내셔날 시니어 오스트렐리아의 마이클 오닐(Michael O’Neill) 회장은 ABC 라디오 방송에서 “물가를 반영한 연금의 변화 또는 연금 예산의 변화는 연방 선거 전 공약했던 것과 다른 방향으로 가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노인들은 지난 선거에서 불확실한 측면이 있었지만 정부를 신뢰했다”며 “하지만 현실은 연금에만 의존하는 이들의 표를 확보하기 위한 계략이었다”고 정부를 힐난했다.


오닐 회장은 또 노인들에게 일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되지 않는다며 “만약 당신이 55세, 또는 60세까지 업계에 남아있을 수 있다면 당신은 행복한 사람”이라고 전한 뒤 “하지만 노인들에게 이러한 기회는 주어지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야당 내각 재부무의 토니 버크(Tony Burke) 의원은 “2010년 줄리아 길라드(Julia Gillard) 전 수상이 ‘탄소세 변경 없음’을 약속한 데 반해 애보트 수상은 선거 전 교육, 건강, 연금, ABC-SBS 방송국에 대한 예산 변경 없음과 부과세에 대한 변경 없음을 약속했다”고 설명하며 “연금 예산에 대한 약속은 거의 깨졌으며, 이는 오늘 조 호키 장관으로 인해 더욱 명확해졌다”고 비난했다.



정영혁 기자


yhchung@koreanherald.com.au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814 호주 ‘멋글씨가’ 강병인 작가, 예술작품으로써의 한글의 매력 선보여 file 호주한국신문 23.10.19.
2813 호주 호주 초-중등학교 교장단 한국 방문연수, 4년 만에 재개돼 file 호주한국신문 23.10.12.
2812 호주 “21세기 글로벌 리더로...” 동포자녀 청소년 대상 ‘민족캠프’ 성료 file 호주한국신문 23.10.12.
2811 호주 노동절 연휴의 주말 음악 이벤트 참석했던 한인 청년, ‘안타까운 죽음’ file 호주한국신문 23.10.06.
2810 호주 금산 세계인삼축제, ‘엄마 행복하세요’ 슬로건으로 10월 6일 개막 file 호주한국신문 23.10.06.
2809 호주 34대 시드니한인회, 오혜영-신정구 회장단 체제로... 여성 회장은 ‘첫 사례’ file 호주한국신문 23.09.28.
2808 호주 “본국 정부의 한반도 평화-통일 로드맵 등 평통 본연의 의무, 최선 다하겠다” file 호주한국신문 23.09.28.
2807 호주 “투표소, 꼭 가셨으면 합니다”... 내일, 34대 시드니한인회장단 ‘투표’ file 호주한국신문 23.09.21.
2806 호주 시드니 동포단체들, 22대 한국 총선 기해 재외 투표율 제고 ‘앞장’ file 호주한국신문 23.09.21.
2805 호주 주시드니총영사관, 여권발급 기간 단축 시행 file 호주한국신문 23.09.15.
2804 호주 ‘디자인과 예술의 경계’를 만들어가는 작가 이광호, 시드니 관객과 만난다 file 호주한국신문 23.09.15.
2803 호주 21기 평통 호주협의회, “동포들과 함께 바른 통일 담론 만들어가겠다” file 호주한국신문 23.09.15.
2802 호주 4개 팀의 34대 한인회장단 후보들, 공통된 공약은 ‘한인회관 확보’ file 호주한국신문 23.08.31.
2801 호주 올해 금산 세계인삼축제, ‘엄마 행복하세요’ 슬로건으로 인삼 효능 강조 file 호주한국신문 23.08.31.
2800 호주 한국어 채택 학교 학생들의 장기자랑... ‘문화경연대회’ 개최 file 호주한국신문 23.08.25.
2799 호주 ‘마음의 고향’에서 ‘기생충’까지... 시드니서 즐기는 시대별 한국 영화 file 호주한국신문 23.08.17.
2798 호주 동포기업 ‘피다코’, 부동산 개발 이어 연어양식업으로 사업 확대 file 호주한국신문 23.08.17.
2797 호주 호주서 발간되는 종합문예지 ‘문학과 시드니’, 디아스포라 우수문예지 선정 file 호주한국신문 23.08.03.
2796 호주 ‘선핵’ 기조 유지하는 대북 전략, ‘비핵화의 실질적 이익 모델 제시’ 중요 file 호주한국신문 23.08.03.
2795 호주 “대한민국의 눈부신 성장 바탕에는 한국전 참전 용사들의 숭고한 정신이...” file 호주한국신문 23.08.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