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부동산 활황끝).jpg

부동산 가격 오름세는 여전... 올 3월 분기 3.1% 상승



올 들어 주택가격 상승이 다소 둔화되면서 부동산 분석가들은 시드니 지역 부동산 붐은 안정기에 접어든 것으로 분석했다. 호주 부동산 모니터(Australian Property Monitors, APM)에 따르면 작년 12월 분기 시드니 주택가격은 5.1% 상승했지만 올해 3월 분기에는 3.1% 상승으로 다소 둔화됐다.


APM의 수석 경제학자 앤드류 윌슨(Andrew Wilson) 박사는 “우리는 최고점을 지났으며, 현재 우리는 주택가격 상승이 주춤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내 생각에 부동산 활황은 안정기에 든 것 같다”고 덧붙였다.


아파트 가격 성장 역시 둔화되면서 작년 12월 분기 3.2% 상승하였지만 3월 분기에는 2.6% 상승에 그쳤다.


하지만 시드니 부동산 시장의 중간 주택가격은 78만2973 달러, 중간 아파트 가격은 54만7053 달러를 기록하며 가장 높은 가격을 기록하고 있다.


APM의 쉐인 올리버(Shane Oliver) 수석 경제학자는 “나는 현재 우리가 시드니 주택가격 상승의 최고점을 보고 있다고 생각한다”며 “적정 가격대는 더 악화됐다”고 진단했다.


어느 경제학자도 부동산 가격이 하락할 것이라고 전망하지는 않는다. APM의 분기별 데이터는 로어 노스 쇼어(lower north shore) 지역이 8% 상승한 것과 같이 일부 지역은 부동산 가격 상승 둔화에 완강하게 저항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12월 분기에 이 로어 노스 쇼어 지역의 부동산 가격은 5.3% 상승했다.


래이 화이드 로어 노스 쇼어(Ray White Lower North Shore)의 피터 매튜(Peter Matthews)씨는 “매물 부족 등의 요인으로 아직 시장에 자신감이 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부동산 시장에서 거래는 당사자 간의 거래가 아닌 경매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며 “이런 점이 경쟁에 힘이 실린다”고 덧붙였다.


크로우 네스트(Crows Nest) 알바니 스트리트(Albany Street)에 위치한 침실 2개의 세미(semi) 주택은 지난 3월1일 경매 전, 경매 개시 가격이 102만5천 달러였다. 이 매물은 경매에서 130만 달러에 판매됐다. 매튜씨는 “이 경매는 올해 놀라운 결과를 가져온 경매 중 하나였다”고 전했다.


가격 성장은 또한 부동산 유형에 영향을 받는다. 매튜씨는 “크리스마스 이전 시장에는 200만 달러 미만 매물에 많은 관심이 있었다”며 “하지만 현재는 300만 달러 이상의 매물에서 많은 거래가 이뤄지고 있다”고 전했다.


시티와 동부 지역의 부동산 가격 성장은 12월 분기 8.9% 성장했지만 올해는 1.7% 성장, 가장 큰 폭의 가격 성장 둔화를 보이고 있다.


스펜서 앤 서비 퍼스트 내셔날(Spencer & Servi First National)의 동부 지역 에이전트인 애니 허드슨(Annie Hodgson)씨는 “시장이 변화하고 있다는 것을 느낀다”고 전했다. 그녀는 “시장의 활황은 작년 말에 이어 올해 초까지 이어졌다. 내 생각으로 우리 모두는 이런 상황이 계속 지속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느꼈을 것”이라고 말했다.


어퍼 노스 쇼어(upper north shore)와 노스-웨스트(north-west) 지역의 부동산 가격도 작년 말 9.2% 상승하였으나 올 3월 분기에는 4.3% 상승, 오름세가 둔화됐다.


시드니에서 가장 탄력적인 시장은 이너 웨스트(inner west) 지역으로 가격상승은 5.9%에서 올해 4.4%로 다소 낮아지는 데 그쳤다.


(표는 중간 주택가격 상승 변화).



정영혁 기자


yhchung@koreanherald.com.au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814 호주 ‘멋글씨가’ 강병인 작가, 예술작품으로써의 한글의 매력 선보여 file 호주한국신문 23.10.19.
2813 호주 호주 초-중등학교 교장단 한국 방문연수, 4년 만에 재개돼 file 호주한국신문 23.10.12.
2812 호주 “21세기 글로벌 리더로...” 동포자녀 청소년 대상 ‘민족캠프’ 성료 file 호주한국신문 23.10.12.
2811 호주 노동절 연휴의 주말 음악 이벤트 참석했던 한인 청년, ‘안타까운 죽음’ file 호주한국신문 23.10.06.
2810 호주 금산 세계인삼축제, ‘엄마 행복하세요’ 슬로건으로 10월 6일 개막 file 호주한국신문 23.10.06.
2809 호주 34대 시드니한인회, 오혜영-신정구 회장단 체제로... 여성 회장은 ‘첫 사례’ file 호주한국신문 23.09.28.
2808 호주 “본국 정부의 한반도 평화-통일 로드맵 등 평통 본연의 의무, 최선 다하겠다” file 호주한국신문 23.09.28.
2807 호주 “투표소, 꼭 가셨으면 합니다”... 내일, 34대 시드니한인회장단 ‘투표’ file 호주한국신문 23.09.21.
2806 호주 시드니 동포단체들, 22대 한국 총선 기해 재외 투표율 제고 ‘앞장’ file 호주한국신문 23.09.21.
2805 호주 주시드니총영사관, 여권발급 기간 단축 시행 file 호주한국신문 23.09.15.
2804 호주 ‘디자인과 예술의 경계’를 만들어가는 작가 이광호, 시드니 관객과 만난다 file 호주한국신문 23.09.15.
2803 호주 21기 평통 호주협의회, “동포들과 함께 바른 통일 담론 만들어가겠다” file 호주한국신문 23.09.15.
2802 호주 4개 팀의 34대 한인회장단 후보들, 공통된 공약은 ‘한인회관 확보’ file 호주한국신문 23.08.31.
2801 호주 올해 금산 세계인삼축제, ‘엄마 행복하세요’ 슬로건으로 인삼 효능 강조 file 호주한국신문 23.08.31.
2800 호주 한국어 채택 학교 학생들의 장기자랑... ‘문화경연대회’ 개최 file 호주한국신문 23.08.25.
2799 호주 ‘마음의 고향’에서 ‘기생충’까지... 시드니서 즐기는 시대별 한국 영화 file 호주한국신문 23.08.17.
2798 호주 동포기업 ‘피다코’, 부동산 개발 이어 연어양식업으로 사업 확대 file 호주한국신문 23.08.17.
2797 호주 호주서 발간되는 종합문예지 ‘문학과 시드니’, 디아스포라 우수문예지 선정 file 호주한국신문 23.08.03.
2796 호주 ‘선핵’ 기조 유지하는 대북 전략, ‘비핵화의 실질적 이익 모델 제시’ 중요 file 호주한국신문 23.08.03.
2795 호주 “대한민국의 눈부신 성장 바탕에는 한국전 참전 용사들의 숭고한 정신이...” file 호주한국신문 23.08.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