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탁구대회).JPG

올해로 5회를 맞는 ‘이에리사배 한인탁구대회’가 ‘세월호 참사’ 애도 분위기 속에서 차분하게 진행됐다. 이날 선수들은 검은 리본을 부착하고 경기에 임했으며 희생자 애도를 위한 분향소, 유족을 위한 성금 모금함 등이 마련되기도 했다.


이 에리사배 한인탁구대회... 선수들, 검은 리본 부착



한국의 탁구 강국을 이끌었던 이 에리사 의원(새누리당)의 이름을 건 ‘이에리사배 한인탁구대회’가 지난 주 토요일(26일) 라이드(Ryde) 소재 ‘ELS Hall Park’에서 성료됐다.


지난 2010년 시작돼 올해로 5회를 맞는 이번 대회는 지난 70년대 사라예보의 신화를 만들어 낸 한국의 탁구 영웅 이 에리사 의원의 이름을 건 대회로, 재외 한인사회에서는 최초이며, 2년 전 미국 동포사회가 호주에 이어 해외에서는 두 번째로 ‘이에리사 배’ 대회를 개최했다.


‘사라예보 신화’는 1973년 4월, 유고슬라비아(연방 해체 이전) 사라예보에서 열린 제32회 세계탁구선수권 대회에서 이 에리사 선수 등이 주축이 된 여자팀이 일본과 중국 등 강호들을 차례로 물리치고 여자 단체전 우승을 차지한 것으로, 대한민국 스포츠 사상 최초로 구기 종목에서 세계 정상에 오르는 쾌거를 달성한 것이기도 하다.


하지만 올해 대회는 한국의 ‘세월호 참사’로 인해 지난해와 달리 환영의 밤 행사를 취소하는 등 대회의 규모를 축소, 희생자 애도 분위기 속에서 대회가 진행됐으며 이 에리사 의원 역시 이번 참사로 인해 대회에 참석하지 못했다.


이 의원은 서면을 통해 “고국으로부터의 비보에 마음이 바쁘셨을 텐데도 불구, 어려운 여건 속에서 대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한 주최 측에 감사드린다”며 “앞으로도 ‘이에리사배 탁구대회’가 교민사회의 단합을 더욱 확고히 다지는 계기가 될 수 있기를 바라며 대회를 빛내주신 모든 호주 교민여러분께 다시 한 번 감사를 드린다”고 전했다.


이날 대회장에는 세월호 참사 유가족을 돕기 위한 성금 모금함이 비치되어 선수 및 가족들의 성금과 탁구협회 라플 수익금 일부가 모금되어 한인회에 전달됐다. 또한 시드니한인회에서 분향소를 마련, 희생자를 애도하는 공간을 마련했으며 모든 선수들은 검은 리본을 부착하고 경기에 임했다.


올해 대회에는 ‘한국 대학 동아리 탁구연맹’ 김태훈 회장을 비롯해 박 태순, 박대성, 윤홍균, 이수현 선수가 직접 대회에 참가, 호주 주니어 선수들과 한 팀이 되어 경기를 갖는 등 교류를 나누기도 했다.


올해 A단식 결승에는 재호주한인탁구회관 관장인 우상훈 선수와 과거 시드니 한인탁구 챔피언이었던 금동재 선수가 맞붙었다. 우상훈 선수는 첫 세트를 내주었지만 이후 연달아 2세트를 이김으로써 우승을 차지했다.


OPEN 단식에서는 한국 대학챔피언 윤홍균 선수가 현 호주 여자탁구 국가대표 미쉘(Michelle) 선수를 상대로 승리를 거두어 우승을 차지했다. 윤 선수는 수준이 다른 공, 수, 서비스 기량을 선보이며 많은 관중들의 환호를 받았다.


이번 대회는 당초 예상을 초과하는 호응 및 참가로 인해 일부 경기가 다음날로 연기되는가 하면 일부 선수들이 사정상 차석하지 못하는 등 몇 가지 아쉬움을 남기기도 했다.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74 호주 시드니 한국문화원, ‘WONDER: Wordless Picture Books’ 전시회 마련 file 호주한국신문 23.05.11.
73 호주 “오월의 정신을, 오늘의 정의로!”... 시드니 한인 동포들, ‘5.18’ 의미 기려 file 호주한국신문 23.05.25.
72 호주 올해 최고 수준의 K-Pop 커버 호주 댄스팀은? 채스우드 콩코스서 경합 file 호주한국신문 23.06.01.
71 호주 “긍정적 사회 변화를 위한 활동의 중요한 경험 중 하나... 기대된다” file 호주한국신문 23.06.01.
70 호주 한국문화원, ‘시드니영화제’ 협력으로 일련의 한국문화 행사 마련 file 호주한국신문 23.06.08.
69 호주 한국전 정전 70년... 우리는 어떻게 호주 참전용사들을 기억해야 할까 file 호주한국신문 23.06.08.
68 호주 “여름 대표 보양식... 금산의 자랑, 인삼 가득 정성 담은 삼계탕 준비할 것”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9.
67 호주 동포 비즈니스 중심 이스트우드, 시드니 전역 20개 이상 ‘Nightlife’ 핫스폿에 file 호주한국신문 23.06.29.
66 호주 후쿠시마 핵오염수 투기, “국제 해양법 재판소에 즉각 제소하라” file 호주한국신문 23.07.06.
65 호주 스토리 메이커이자 화가가 던지는 ‘나는 누구이고 어디에서 왔는가’ file 호주한국신문 23.07.13.
64 호주 “높게 강하게 도전하라”... 여자 월드컵 한국대표팀, 시드니서 마지막 담금질 file 호주한국신문 23.07.13.
63 호주 “한국 ‘인삼’의 영어 명칭, ‘Ginseng’ 아닌 ‘Insam’으로 표기해 달라...” file 호주한국신문 23.07.20.
62 호주 시드니서 소개하는 한국 현대미술의 오늘과 내일, ‘대한민국 예술원 특별전’ file 호주한국신문 23.07.20.
61 호주 동포기업 ‘가스펠 피아노’, 올해 시드니 국제 피아노 경연 우승자 ‘격려’ file 호주한국신문 23.08.03.
60 호주 “대한민국의 눈부신 성장 바탕에는 한국전 참전 용사들의 숭고한 정신이...” file 호주한국신문 23.08.03.
59 호주 ‘선핵’ 기조 유지하는 대북 전략, ‘비핵화의 실질적 이익 모델 제시’ 중요 file 호주한국신문 23.08.03.
58 호주 호주서 발간되는 종합문예지 ‘문학과 시드니’, 디아스포라 우수문예지 선정 file 호주한국신문 23.08.03.
57 호주 동포기업 ‘피다코’, 부동산 개발 이어 연어양식업으로 사업 확대 file 호주한국신문 23.08.17.
56 호주 ‘마음의 고향’에서 ‘기생충’까지... 시드니서 즐기는 시대별 한국 영화 file 호주한국신문 23.08.17.
55 호주 한국어 채택 학교 학생들의 장기자랑... ‘문화경연대회’ 개최 file 호주한국신문 23.08.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