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던컨 게이).jpg

최근 수주일 동안 자전거 주행자의 도로교통 사고가 계속되자 NSW 주 도로교통부 던컨 게이(Duncan Gay) 장관은 자전거 주행자들에게 라이센스를 도입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던컨 게이(Duncan Gay), 자전거 주행자들 규칙 미준수 ‘문제’

 


자전거를 타고 도심을 활보하는 이들이 교통사고로 숨지는 사고가 끊이지 않자 NSW 주 도로교통부의 던컨 게이(Duncan Gay) 장관이 NSW 주 모든 도로에서의 자전거 이용자를 대상으로 라이센스를 신설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고 금주 호주 언론들이 보도했다.

 

아울러 이에 대한 일반인들의 논쟁도 가열되고 있는 가운데 게이 장관은 자전거 이용자의 안전을 위해 도심의 특정 구역에서는 자전거 주행을 금지하는 것도 고려하고 있다.

 

시드니 지역 자전거 관련 단체들은 최근 수주일 동안 도로에서의 끔찍한 자전거 사고와 특히 두 명이 숨지는 사고가 발생하자 상당히 동요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5월 첫 날인 지난 주 목요일(1일)에는 시드니 북부 뉴트럴 베이(Neutral Bay)의 밀리터리 로드와 벤 보이드 로드(Military and Ben Boyd roads) 교차로에서 자전거 주행자가 버스와 충돌, 자전거를 타고 있던 남성이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 충격을 주고 있다.

 

또한 하루 전인 수요일(30일)에는 세인트 피터스(St Peters)의 프린스 하이웨이(Princes Highway) 상에서 자전거 주행자 앤서니 백스(Anthony Platts-Baggs) 씨가 호주 우편배달 트럭에 부딪쳐 두 다리가 부러지는 중상을 입기도 했다. 특히 백스 씨는 이 사고로 응급 서비스가 도착하기까지 1시간가량 트럭 아래 깔려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게이 장관은 2UE 라디오 ‘브레이크퍼스트’(Breakfast) 프로그램에 출연, “최근 사망한 모터사이클 주행자와 자전거 주행자는 보다 조심했어야 했다”면서 “자전거 이용자에 대한 라이센스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장관은 이어 라이센스 도입에 대해 “도로 규정을 잘 지키는 이들을 우려한 것이 아니라 교통신호를 무시하고 도로를 무단 횡단하며 거칠게 주행하는 이들을 통제하기 위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게이 장관은 특정 도로에서 자전거를 금하는 부분과 관련, 프린스 하이웨이 등 차량통행이 많은 도로를 포함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고 2UE 라디오에서 밝혔다.

장관은 “우리는 안전을 기준으로 (자전거 라이센스 도입을) 검토할 것”이라며 “자전거 주행자의 사망은 지난해에 비해 줄었지만 그것으로 위안을 삼을 수는 없다”고 덧붙였다.

 

지난해 NSW 주에서는 14명의 자전거 주행자가 도로에서의 사고로 목숨을 잃었으며, 이 수치는 이전 해의 두 배에 달하는 것이다.

 

게이 장관은 “자전거 주행자가 트럭 등 대형 차량을 잘 살피고 주의해야 하겠지만 더 중요한 것은 주행자 스스로 도로규칙을 잘 지키는 것”이라고 언급했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774 호주 “한인 케어-서포터워커들에게 취업 기회를 제공하고자 합니다” file 호주한국신문 23.03.23.
2773 호주 유학생-영주비자 소지자 대상, 병역제도 설명회 마련 호주한국신문 23.03.16.
2772 호주 한호예술재단, 창립 10주년 맞아 재호 한인작가 조명하는 특별전 마련 file 호주한국신문 23.03.09.
2771 호주 “호주에서의 ‘독도=한국 영토 알리기’는 결코 멈추지 않을 것입니다” file 호주한국신문 23.03.09.
2770 호주 한국 ‘예금보험공사’, 금융부실자의 호주 은닉재산 신고 당부 file 호주한국신문 23.03.02.
2769 호주 시드니 한인 동포들, 기미독립운동 주도한 선열들의 민족정신 기려 file 호주한국신문 23.03.02.
2768 호주 ‘문학’ 부문에서 확산되는 한류... 시드니한국문화원, ‘한국문학주간’ 마련 file 호주한국신문 23.02.23.
2767 호주 한국문화원 ‘설’ 이벤트, 한복에 어울리는 헤어-메이크업은 이렇게... file 호주한국신문 23.02.16.
2766 호주 시드니한인회, “회관 재계약 전제한 대대적 보수비용 모금 불가피...” file 호주한국신문 23.02.16.
2765 호주 시드니한국교육원, 2022년 HSC 한국어 성적 우수자 시상 file 호주한국신문 23.02.16.
2764 호주 “평통의 여러 활동 통해 한반도 비핵화-평화통일 의지 다져나가길...” file 호주한국신문 23.02.02.
2763 호주 한국 전통주에 반한 호주 현지 ‘한국 술 전문가’, 설맞이 워크숍 진행 file 호주한국신문 23.02.02.
2762 호주 미술 전시-사진 페스티벌 등 호주 주요 갤러리서 한국 작가 작품 ‘전시 중’ file 호주한국신문 22.12.15.
2761 호주 가언과 진언 사이- 34 file 호주한국신문 22.12.08.
2760 호주 “차세대 청년들의 역량 강화, 한인 커뮤니티 공동의 이익으로 이어질 것” file 호주한국신문 22.12.08.
2759 호주 다윈 기반의 작가 소냐 마르티뇽씨, 올해 KAAF 미술공모 대상 차지 file 호주한국신문 22.12.01.
2758 호주 글로벌 ‘한류’의 한 축이 된 K-Beauty, 호주에서도 바람 이어갈까 file 호주한국신문 22.12.01.
2757 호주 평통 아태지역회의, 5번째 한국전 참전용사 디지털 회고 영상 제작 file 호주한국신문 22.12.01.
2756 호주 가언과 진언 사이- 33 file 호주한국신문 22.11.24.
2755 호주 시드니한국문화원, MCA와 공동으로 다양한 한국문화 이벤트 마련 file 호주한국신문 22.1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