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어번 도서관 2).jpg

어번 지역민들이 이용하는 어번 시립 도서관 내부. 해마다 NSW 주 전역의 공공 도서관에 대한 주 정부의 지원이 줄어들자 어번 시림 도서관이 앞장서 시민들에게 정부 지원 확대를 호소하는 탄원서 서명 운동을 시작했다.

 

시민들 대상, ‘주 정부 지원 탄원’ 위한 서명운동 전개


 

NSW 주 정부가 지난해에 이어 올해에도 주 전역의 공공 도서관에 대한 예산 감축 움직임을 보이자 어번 시립도서관(Auburn City Library Service)이 주 전역의 도서관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정부의 예산감축 움직임을 막자고 호소하고 나섰다.

 

어번 시립도서관은 “주 전역의 많은 도서관들은 지역민들이 가장 자주 이용하고 또 각 지역사회의 가치 있는 공공기관임에도 불구, 주 정부의 지원이 매년 줄어들고 있어 해당 지역 카운슬에 추가 부담을 주고 있다”고 지적했다.

 

1980년만 해도 주 정부가 각 지역 공공기관에 지출하는 비용 중 도서관 지출 비용은 23%에 달했으나 지난 2013년에는 7%로 줄어들었다. 어번 시립 도서관은 “이로 인해 지금도 그렇지만 앞으로도 각 지역사회의 필요성을 충족시키는 도서관 기능에 큰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현재 어번 시립 도서관은 주 정부의 공공 도서관 지원을 탄원하기 위한 서명 작업에 돌입한 상태이다. 어번 시립 도서관은 “이는 위기에 직면한 현실적 문제”라면서 “우선 어번 시에 거주하는 많은 시민들이 정부 지원을 탄원하기 위한 서명에 동참해 달라”고 당부했다.

 

시민들이 직접 서명한 탄원서는 주 하원에 제출, 안건으로 상정할 수 있으며, 탄원서는 어번 소재 모든 공공 도서관에 비치되어 있다.

 

그런 한편 어번 시립 도서관은 각 공공 도서관의 자금 위기를 강조하면서 주 정부로 하여금 공공 도서관에 대한 지속적인 지원을 할 수 있는 기금확보 모델 마련을 촉구하는 캠페인을 전개키로 하고 이를 수행할 사람들을 찾고 있다. 이 부분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웹사이트 www.nswpla.org.au에서 확인할 수 있다.

 

어번 시립 도서관의 로렌 맥도널(Laurence McDonnell) 매니저는 “도서관의 역할은 지역민들의 삶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라고 강조한 뒤 “도서관은 사람들을 모이게 하고 학습은 물론 중요한 정보와 아이디어를 제공하며 새로운 기쁨을 제공하는 장소”라고 말했다.

 

맥도널 매니저는 이어 “뿐 아니라 도서관은 지역사회 발전을 위한 매우 중요한 역할 등 다양한 활동의 구심점이 되는 곳으로 발전해 왔다”면서 “도서관이 모든 이용자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킨다는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고 강조했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774 호주 “한인 케어-서포터워커들에게 취업 기회를 제공하고자 합니다” file 호주한국신문 23.03.23.
2773 호주 유학생-영주비자 소지자 대상, 병역제도 설명회 마련 호주한국신문 23.03.16.
2772 호주 한호예술재단, 창립 10주년 맞아 재호 한인작가 조명하는 특별전 마련 file 호주한국신문 23.03.09.
2771 호주 “호주에서의 ‘독도=한국 영토 알리기’는 결코 멈추지 않을 것입니다” file 호주한국신문 23.03.09.
2770 호주 한국 ‘예금보험공사’, 금융부실자의 호주 은닉재산 신고 당부 file 호주한국신문 23.03.02.
2769 호주 시드니 한인 동포들, 기미독립운동 주도한 선열들의 민족정신 기려 file 호주한국신문 23.03.02.
2768 호주 ‘문학’ 부문에서 확산되는 한류... 시드니한국문화원, ‘한국문학주간’ 마련 file 호주한국신문 23.02.23.
2767 호주 한국문화원 ‘설’ 이벤트, 한복에 어울리는 헤어-메이크업은 이렇게... file 호주한국신문 23.02.16.
2766 호주 시드니한인회, “회관 재계약 전제한 대대적 보수비용 모금 불가피...” file 호주한국신문 23.02.16.
2765 호주 시드니한국교육원, 2022년 HSC 한국어 성적 우수자 시상 file 호주한국신문 23.02.16.
2764 호주 “평통의 여러 활동 통해 한반도 비핵화-평화통일 의지 다져나가길...” file 호주한국신문 23.02.02.
2763 호주 한국 전통주에 반한 호주 현지 ‘한국 술 전문가’, 설맞이 워크숍 진행 file 호주한국신문 23.02.02.
2762 호주 미술 전시-사진 페스티벌 등 호주 주요 갤러리서 한국 작가 작품 ‘전시 중’ file 호주한국신문 22.12.15.
2761 호주 가언과 진언 사이- 34 file 호주한국신문 22.12.08.
2760 호주 “차세대 청년들의 역량 강화, 한인 커뮤니티 공동의 이익으로 이어질 것” file 호주한국신문 22.12.08.
2759 호주 다윈 기반의 작가 소냐 마르티뇽씨, 올해 KAAF 미술공모 대상 차지 file 호주한국신문 22.12.01.
2758 호주 글로벌 ‘한류’의 한 축이 된 K-Beauty, 호주에서도 바람 이어갈까 file 호주한국신문 22.12.01.
2757 호주 평통 아태지역회의, 5번째 한국전 참전용사 디지털 회고 영상 제작 file 호주한국신문 22.12.01.
2756 호주 가언과 진언 사이- 33 file 호주한국신문 22.11.24.
2755 호주 시드니한국문화원, MCA와 공동으로 다양한 한국문화 이벤트 마련 file 호주한국신문 22.1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