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묘지분양).JPG

한인 동포들을 대상으로 한 NSW 원묘지 운영 법안 및 한인전용 추모공원 설명회가 지난 주 토요일(24일) 이스트우드에서 진행됐다.

 

NSW 공원묘지 법안 및 ‘한인 평화의 동산’ 소개

 


공원묘지 회사인 ‘인보케어’사가 한인 동포들을 대상으로 한 NSW 공원묘지 운영 법안 및 한인전용 추모공원 설명회가 지난 주 토요일(24일) 이스트우드에서 진행됐다.

 

이날 설명회에는 약 50여 명의 한인들이 참석했다.

 

‘인보케어’ 추모공원 회사 주관으로 열린 이번 설명회는 작년 NSW 주 의회를 통과한 묘역 사용 기간을 제한하는 법안과 새로 조성된 카슬부룩 추모공원 내 ‘한인 평화의 동산’ 묘역을 소개하는 순서로 진행됐다.

 

인보케어 추모공원회사 다민족 분양 매니저인 모이세스 멜리나(Moises Mellina) 씨의 설명에 따르면 NSW 주는 도시 근교 묘지부족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매장묘지 사용 기간을 매장 이후 25년으로 제한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공원묘지 운영 법안을 상정, 지난 해 11월 주 의회를 통과했으며 올해 후반부터 시행을 예상하고 있다.

 

이로 인해 묘지사용 기간 25년 이후에는 추가비용을 지불하여야 하며 그 사용기간을 최장 99년까지 연장하는 법안이다.

또한 매장부지 경우 지난 7-8년을 주기로 분양 가격이 2배로 상승되어 왔으며, 재활용 묘역을 사용한 25년 이후 사용기간 연장 계약 시 초기 비용의 3-4배를 지불하여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이번 통과된 법안은 이미 분양 받은 개인의 권리를 보장하며 문화적, 종교적 권리를 인정, 영구적인 묘역지역을 계속 인정하는 내용도 포함되어 있다.

 

한인전용 추모공원 분양을 담당하는 장경순 목사의 설명에 따르면 시드니 교민들이 선호하는 시드니 북서부에 위치한 카슬부룩 추모공원 헤리티지 언덕 상단부에 한인들만 사용할 수 있는 매장부지 630 규모의 한인전용 묘역(Korean Garden of Peace)이 새롭게 조성되어 5월 말부터 분양을 시작한다.

 

관련 법안에 대한 자세한 내용과 한인전용 추모공원 분양에 관한 상담은 추모공원 소속 한인 상담사 또는 한국어 전화 8805 1389로 문의할 수 있다.

 

제공 : ‘인보케어’ 한인 상담사 강병조(0404 116 758)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34 호주 ‘웰빙 한식의 세계화’ 주제로 한 ‘Korean Food Festival’ 성료 file 호주한국신문 22.08.11.
133 호주 호주 노던 테러토리 현지에 한국 타악기의 새로운 매력 선보인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8.11.
132 호주 “호주 동포사회, ‘자주성 회복 위한 선열들의 한 마음’ 생각할 때...” file 호주한국신문 22.08.18.
131 호주 시드니서 전한 ‘K-히스토리’... 동포 예술가들의 ‘광복절 프로젝트’ 공연 file 호주한국신문 22.08.18.
130 호주 가언과 진언 사이- 26 file 호주한국신문 22.08.18.
129 호주 시드니한국문화원, 한국 도자의 예술성-실용성 선보인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8.25.
128 호주 류병수 전 시드니한인회장, 향년 75세로 타계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1.
127 호주 세계인의 축제로 발돋움한 ‘금산인삼제’ 9월30일부터 11일간 이어져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1.
126 호주 번역문학가 김소라씨, 호주서 한국문학 작품 소개 활동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1.
125 호주 시드니 도심 한복판에서 360도 영상으로 접하는 한국의 사계절 풍경들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1.
124 호주 가언과 진언 사이- 27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1.
123 호주 ‘제마이홀딩스’ 이숙진 CEO, ‘장보고 한상 어워드’ 국회의장상 수상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8.
122 호주 ‘2022 FIBA 여자 농구 월드컵’, 이달 22일부터 시드니 올림픽 파크서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8.
121 호주 “우리 모두 한가위와 같은 풍성한 미래 만들어갑시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9.15.
120 호주 “청소년들 모두 열정을 갖고 최선을 다하는 모습, 감동적이었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9.15.
119 호주 40년 현장 대기자의 진단, “한국 언론의 문제는 정치 지형과 맞물려간다는 것...” file 호주한국신문 22.09.15.
118 호주 가언과 진언 사이- 28 file 호주한국신문 22.09.15.
117 호주 호주 학생들의 ‘한국어로 선보인 문화경연’... 미술-공연 부문 경합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9.
116 호주 3년 만에 다시 열리는 전국체육대회를 보며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9.
115 호주 가언과 진언 사이- 29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