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마리화나 사용).jpg

말기 환자들의 고통을 덜어주기 위해 의료 목적의 마리화나 사용 법안이 제안된 가운데 NSW 주 마이크 배어드(Mike Baird) 수상은 이에 대한 정부 지원을 신중하게 검토하겠다는 입장이다. 사진은 말기 암 환자로 화학요법에 의해 심한 매스꺼움의 고통에 힘겨워 하는 댄 하슬람(Dan Haslam)씨.

 

국민당 앤더슨 의원 제안... ‘공급과 처방’ 문제 해결돼야

 


마이크 배어드(Mike Baird) 주 수상이 의학적 치료 목적의 마리화나 사용을 신중하게 고려하겠다고 언급, 이 법안의 지지 가능성을 열어놓았다고 지난 주 금요일(30일) 시드니 모닝 헤럴드가 보도했다.

 

앞서 탐워스(Tamworth) 지역구의 케빈 앤더슨(Kevin Anderson) 의원(국민당)은 말기 환자들에게 마리화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법안을 제안한 바 있다.

 

앤더슨 의원은 자기 지역구의 환자 중 하나인 말기 암 환자 댄 하슬람(Dan Haslam)이 말기 암 치료를 위한 화학요법으로 인한 매스꺼움을 완화하기 위해 마리화나 사용을 허용할 것을 공개적으로 밝힌 데 따른 것이다.

 

앤더슨 의원은 지난 주 목요일(29일) 성명에서 “전날 이 문제로 배어드 수상을 만나 제안 배경을 설명했다”고 밝혔다.

 

앤더슨 위원은 “(말기 암 환자의 고통에) 연민을 보내면서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데 동의하고 지원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수상은 마리화나 공급과 처방 및 이 과제 해결에 직면하게 될 심각한 우려에 대해 공감했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앤더슨 의원은 “수상은 (마리화나의) 공급과 처방에 관한 논란을 피할 수 없으며, 만약 (환자에게 제공되는 마리화나에 대해) 엄격한 통제와 규제 과정을 통해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면 (자신의 노력을) 지지할 것임을 밝혔다”고 말했다.

 

지난 주 목요일(29일) 배어드 수상은 “주 정부는 앤더슨 의원의 제안을 신중하게 검토할 것”이라며 “아들의 질병과 씨름하는 하슬람 가족에게 연민을 느낀다”고 언급한 바 있다.

 

배어드 수상 대변인은 “이 문제는 가끔 사회적 이슈가 되는 사례처럼 자유당 소속 의원들을 대상으로 한 양심투표의 대상이 되는 것은 아니다”면서 “이는 법안이 하원을 통과하기 위한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녹색당의 존 케이(John Kaye) 의원은 주 수상의 지원 의사에 대해 환영의 뜻을 표하면서 앤더슨 의원에게 이 규정을 보다 명확히 다듬을 시간을 주기 위해 자신이 상정할 예정인 법안을 늦출 의사가 있다고 언급했다.

 

암 환자인 하슬람의 어머니 루시(Lucy) 씨는 지역신문 ‘Northern Daily Leader’와의 인터뷰에서 앤더슨 의원에 의해 제안된 법안은 “중요한 돌파구”라고 말하면서 “우리의 정치가들이 호주인들의 자세변화를 감지한 것이라는 점에서 큰 희망을 주고 있다”고 평했다.

 

지난 해 국민당의 사라 미쉘(Sarah Mitchell) 의원은 상원 질의서에서 말기 환자나 HIV로 AIDS에 감염된 환자들로 하여금 의료 목적으로 마리화나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법안 도입을 권고한 바 있다.

 

하지만 이는 당시 주 보건부의 질리안 스키너(Jillian Skinner) 장관으로부터 거부된 바 있다.

 

앤더슨 의원은 “당시 상원 질의는 (환자들에 대한) 마리화나 공급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 상태에서 나온 것”이라며 자신은 미쉘 의원 및 트레버 칸(Trevor Khan) 의원(국민당)과 이 문제 해결을 위해 공동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54 호주 오지라퍼의 세상사 참견- 18 호주한국신문 22.06.16.
153 호주 ‘디베이팅 세계 챔피언’ 서보현씨, 토론 관련 ‘Good Arguments’ 출간 file 호주한국신문 22.06.23.
152 호주 가언과 진언과 사이- 22 file 호주한국신문 22.06.23.
151 호주 시드니 한국문화원, ‘굿푸드앤와인쇼’에서 ‘한식 마스터클래스’ 진행 file 호주한국신문 22.06.30.
150 호주 민주평통 아태지역회의, 한국전 참전 ‘호주 UDT 대원 소개 영상’ 제작 file 호주한국신문 22.06.30.
149 호주 올해 ‘호주 패션위크’서 선보인 패션 디자이너 김수군씨 작품, 화보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6.30.
148 호주 한인 요식업체들, ‘한식 알리기’에서 이제는 ‘음식 한류 확산’ 활동으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6.30.
147 호주 시드니 ‘빵집’ 가족을 통해 본 우리네 일상의 또 다른 이야기 file 호주한국신문 22.06.30.
146 호주 오지라퍼의 세상사 참견- 19 호주한국신문 22.06.30.
145 호주 한인 청년 중심의 대학생 단체 ‘에코’, RBA와 손잡고 교육 전도사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7.07.
144 호주 가언과 진언과 사이- 23 file 호주한국신문 22.07.07.
143 호주 오지라퍼의 세상사 참견- 20 호주한국신문 22.07.14.
142 호주 한인 청소년 대상 민족캠프 교육, 올해 ‘대면’ 진행으로 재개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1.
141 호주 크로이돈 파크 한인회관 ‘재계약’, 아직 불투명... 회관 확보, 핵심 과제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1.
140 호주 호주 최고 인기의 ‘크리켓 골든 커플’, 한인 동포기업 홍보대사 되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1.
139 호주 가언과 진언과 사이- 24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1.
138 호주 ‘한국전쟁 정전 69주년’... 3년 만에 기념식 다시 개최돼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8.
137 호주 제10차 세계일본군‘위안부’기림일... 시드니 동포들, 기념집회 예정 file 호주한국신문 22.08.04.
136 호주 올해 13회 맞는 ‘호주한국영화제’, 시드니 등 4개 도시서 총 13편 상영 file 호주한국신문 22.08.04.
135 호주 가언과 진언 사이- 25 file 호주한국신문 22.08.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