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부수상).JPG

소규모 사업체를 운영하는 한인 동포들을 대상으로 한 무료 정보세미나에서 앤드류 스토너(Andrew Stoner) 부수상이 인사말을 전하고 있다.

 

카서셀리 의원 주관, 한인 소규모 사업자 대상의 세미나서 밝혀

 


소규모 사업체를 운영하는 한인 동포들을 대상으로 NSW 주 정부가 제공하는 사업 지원 서비스 등을 알아볼 수 있는 무료 정보 세미나가 개최됐다.

 

금주 수요일(11일) 오후 한인 밀집지역인 스트라스필드(Strathfield) 소재 스트라스필드 스포츠클럽에서 개최된 이번 정보 세미나는 스트라스필드 기반의 주 하원의원인 찰스 카서셀리(Charles Casuscelli) 의원이 주최한 것으로 NSW 주 앤드류 스토너(Andrew Stoner) 부수상과 NSW 주 스몰 비즈니스(Small Business) 위원회의 로빈 홉스(Robyn Hobbs) 위원장 및 관계 공무원들, 이휘진 주 시드니 총영사관, 송석준 한인회장을 비롯해 40여명의 한인 기업인들이 참석했다.

 

이날 세미나에 참석한 스토너 부수상은 “한국은 NSW 주에 세 번째로 큰 수출 시장으로 2012년에서 2013년 사이의 교역량은 60억 달러에 이르며 FTA가 시작되면 점점 증가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어 부수상은 “호주 내 한국 교민 중 약 40~60%는 NSW 주에 거주하며 경제, 정치, 문화적으로 많은 헌신에 감사한다”고 덧붙였다.

 

부수상은 “이번 세미나는 NSW 주의 소규모 업체들을 돕기 위해 마련됐다”며 “NSW 주는 소규모 사업체를 도울 수 있는 교육 및 엑스포, 멘토링 시스템, 웹사이트 개설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준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정부는 소규모 사업체들이 사업을 운영하고 성장시키기 위해 최적의 정보와 협조를 받기를 원하며, 정부는 이를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전했다.

 

현재 NSW 주 및 스몰 비즈니스 위원회는 소규모 사업체를 위해 사업 자문, 기타 사업지원, 보조금, 수출 지원, 분쟁 해결 등 다양한 지원들을 마련하고 있다.

 

‘스몰 비즈 커넥트’(Small Biz Connect) 서비스를 통해서 사업주들은 사업 관리에 대한 전문가의 조언을 구할 수 있으며 주요 사업 기술을 개발 시킬 수 있다. 보다 자세한 사항은 전화(1300 134 359) 또는 웹사이트(http://www.smallbusiness.nsw.gov.au)를 통해 알아볼 수 있으며 웹사이트에서는 한국어로 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사업 지원 프로그램으로는 ‘오스인더스트리’(AusIndustry)에서 기존 및 신규 사업자에게 보조금 제공 및 의뢰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그랜츠 앤 어시스턴스 파인더’(Grants & Assistance Finder)는 사업주들이 사업에 이용 가능한 보조금 및 어떤 지원이 있는지를 파악하는데 도움을 주고 있다.

 

소매업 임대 분쟁을 포함한 사업체와 관련된 사업적 분쟁이 발생할 경우 NSW 스몰 비즈니스 위원회의 사무소는 분쟁 해결을 지원하고 있으며 에너지 및 수도 공급업체의 고지서와 관련된 공공요금 분쟁의 해결은 ‘에너지 앤 워터 옴부즈맨 NSW’(Energy and Water Ombudsman NSW)에서 도움을 제공한다.

 

이밖에도 전화 혹은 인터넷 서비스 공급 업체와의 분쟁이 생길 경우에는 ‘텔레커뮤니케이션 인더스트리 옴부즈맨’(Telecommunications Industry Ombudsman)에 도움을 요청할 수 있다.

 

이날 세미나에서는 또 한인 사업자들이 사업을 하면서 느끼는 불편함들에 대해 스토너 주수상과 홉스 위원장 및 관계 공무원들에게 직접 질의하고 답변을 듣는 시간도 마련됐다.

 


정영혁 기자

yhchung@koreanherald.com.au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714 호주 크로이돈 파크 한인회관 ‘재계약’, 아직 불투명... 회관 확보, 핵심 과제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1.
2713 호주 한인 청소년 대상 민족캠프 교육, 올해 ‘대면’ 진행으로 재개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1.
2712 호주 오지라퍼의 세상사 참견- 20 호주한국신문 22.07.14.
2711 호주 가언과 진언과 사이- 23 file 호주한국신문 22.07.07.
2710 호주 한인 청년 중심의 대학생 단체 ‘에코’, RBA와 손잡고 교육 전도사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7.07.
2709 호주 오지라퍼의 세상사 참견- 19 호주한국신문 22.06.30.
2708 호주 시드니 ‘빵집’ 가족을 통해 본 우리네 일상의 또 다른 이야기 file 호주한국신문 22.06.30.
2707 호주 한인 요식업체들, ‘한식 알리기’에서 이제는 ‘음식 한류 확산’ 활동으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6.30.
2706 호주 올해 ‘호주 패션위크’서 선보인 패션 디자이너 김수군씨 작품, 화보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6.30.
2705 호주 민주평통 아태지역회의, 한국전 참전 ‘호주 UDT 대원 소개 영상’ 제작 file 호주한국신문 22.06.30.
2704 호주 시드니 한국문화원, ‘굿푸드앤와인쇼’에서 ‘한식 마스터클래스’ 진행 file 호주한국신문 22.06.30.
2703 호주 가언과 진언과 사이- 22 file 호주한국신문 22.06.23.
2702 호주 ‘디베이팅 세계 챔피언’ 서보현씨, 토론 관련 ‘Good Arguments’ 출간 file 호주한국신문 22.06.23.
2701 호주 오지라퍼의 세상사 참견- 18 호주한국신문 22.06.16.
2700 호주 가언과 진언과 사이- 21 file 호주한국신문 22.06.09.
2699 호주 이민지 선수, LPGA 시즌 두 번째 메이저 대회 ‘US여자오픈’ 우승 file 호주한국신문 22.06.09.
2698 호주 한국문화원, ‘Good Food and Wine Show’서 ‘한식 마스터 클래스’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22.06.09.
2697 호주 ‘통일 골든벨’ 아태지역 결선 개최, 지역 예선 통과한 16개국 59명 참가 file 호주한국신문 22.06.09.
2696 호주 오지라퍼의 세상사 참견- 17 호주한국신문 22.06.02.
2695 호주 호주 한인동포 청소년들, 모국 역사-통일 관련 폭넓은 상식 과시 file 호주한국신문 22.06.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