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심장병).jpg

27세 때 심장병을 앓게 된 칼리 버제스(Karlie Burgess)씨. 그녀는 과체중 스트레스를 겪고 있었으며 탄산음료를 지나치게 마시는 무절제한 생활을 했었다고 말했다.

 

심장재단 지적... 지난 10년 사이 35세 이하 환자 30% 증가

 


지난 10년 동안 심장질환과 뇌졸중으로 병원에 입원하는 젊은이들이 30%가량 늘어난 가운데 전문가들은 비만과 폭음, 흡연을 그 원인으로 분석하고 있다.

 

호주 보건복지연구소(Australian Institute of Health and Welfare)의 최근 자료는, 심장질환으로 병원에 입원한 35세 이하 환자가 지난 2002년 1만9천명에서 2012년에는 2만5천명으로 늘어났음을 보여주고 있다.

 

2-30대 비만인 및 높은 콜레스테롤 및 고혈압을 가진 이들도 이전 세대에 비해 크게 증가했다. 보건 전문가들은 이 같은 질환을 가진 많은 이들이 심각한 질병에 면역력을 갖고 있다는 착각을 하고 있다고 말한다.

 

심장재단(Heart Foundation)의 건강관리 담당 줄리 앤 미셸(Julie-Anne Mitchell) 국장은 “심장질환은 노인들에게만 있는 것이라는 인식이 있다”고 우려했다.

그녀는 “35세 이하 젊은이들은 심장 건강이 본인들에게도 관련이 있음을 완전히 무시하고 있다”면서 “호주에서 심장질환은 그 어떤 질병보다 더 생명을 위협하고 있으며, 연령에 관계없이 발병되고 있다”고 경고했다.

 

심장재단 자료에 따르면 18세에서 34세 사이의 호주인 약 20%는 비정상적 수준의 나쁜 콜레스테롤 수치를 보이고 있으며 7.5%는 고혈압을 갖고 있다. 이들의 절반은 과체중 또는 비만이며 흡연자는 21%, 게다가 61%는 아주 조금 운동을 하거나 아예 하지 않는 이들이다.

 

다만 30세 이하 여성의 경우 흡연은 여전히 건강을 위협하는 가장 큰 요소로 꼽히며, 주중에는 담배를 멀리 하지만 금-토요일 밤 흥청망청 피워대는 여성들이 많아 문제라고 전했다.

미셸 국장은 “이들은 심장병이 자신들에게도 발생될 수 있다는 것을 전혀 의식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27세의 여성 칼리 버제스(Karlie Burgess)씨는 현재 심장병을 앓고 있다. 토할 것 같은 메스꺼움과 식은땀, 가슴이 묵직한 증상을 느낀 그녀는 천식이 발작한 것으로 생각했다고 말한다.

 

버제스씨는 “나는 결코 내가 심장질환을 갖게 됐다고 생각할 수가 없었다”면서 “주중에 이 증상이 심해 병원에 들러 체크를 했는데, 만약 주말에 이런 증상을 느꼈다면 아마 무시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시드니 서부, 세인트 매리스(St Marys) 소재의 한 대리점에서 일하는 그녀는 심장 발작이 오기 전까지만 해도 과체중 스트레스를 겪고 있었으며 매주 최소 15개의 탄산음료를 마셨다.

심장 질환 진단을 받은 그녀는 “통증을 느끼는 여성들의 경우 가족이나 일 때문에 이를 무시하는 경우가 있는데, 담배를 피우는 등 위험 요소를 가지고 있는 경우 이를 그만 두라고 말하고 싶다”고 말했다.

 

매년 심징질환으로 사망하는 호주인은 약 1만 명에 달한다. 하지만 사망에 이른 이들 중 수백 명의 여성은 심장 발작이 일어나기 전 아무런 증상을 느끼지 못한 이들이었다.

심장재단의 조사 결과 심장발작이 일어났을 때 가슴의 진통을 느끼지 못한 이들은 무려 41%에 달했으며, 병원을 찾은 이들은 39%였다.

 

미셸 국장은 “많은 이들이 심장질환에 대해 70대까지는 걱정할 필요가 없다는 인식을 갖고 있다”고 지적한다. 그녀는 “하지만 우리의 라이프스타일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음식과 육체적 활동이 적은 생활을 감안하면 왜 이런 일(심장 발작)이 일어나는지를 알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694 호주 가언과 진언과 사이- 20 file 호주한국신문 22.05.26.
2693 호주 국세청의 ABRS, 각 회사 이사들에게 ‘Director ID’ 신청 권장 file 호주한국신문 22.05.19.
2692 호주 오지라퍼의 세상사 참견- 16 호주한국신문 22.05.19.
2691 호주 취재수첩- 5월 광주, 마침내 ‘진실의 힘’은 ‘시대의 빛’이 될 터... file 호주한국신문 22.05.19.
2690 호주 가언과 진언과 사이- 19 file 호주한국신문 22.05.12.
2689 호주 오지라퍼의 세상사 참견- 15 호주한국신문 22.05.05.
2688 호주 1960년대 부의 계급이 만들어낸 두 형제의 어처구니없는 비극... 무대에서 만난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5.05.
2687 호주 ‘디토 파라디소’ 콘서트-유니버설발레단의 ‘심청’, 안방에서 즐긴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5.05.
2686 호주 강흥원 한인회장, 2027 세계대학경기대회 유치 ‘해외홍보대사’에 위촉 file 호주한국신문 22.05.05.
2685 호주 시드니한인회, 수해 피해자 위한 동포사회 성금 ‘의뢰’ file 호주한국신문 22.05.05.
2684 호주 동포 영화인 김시우 감독이 그려낼 한인 이민자의 또 하나의 이야기는... file 호주한국신문 22.04.21.
2683 호주 가언과 진언과 사이- 18 file 호주한국신문 22.04.21.
2682 호주 오지라퍼의 세상사 참견- 14 호주한국신문 22.04.14.
2681 호주 가언과 진언과 사이- 17 file 호주한국신문 22.04.07.
2680 호주 한국문화원, ‘찾아가는 한국영화’로 호주 각 도시 순회 상영회 마련 file 호주한국신문 22.04.07.
2679 호주 이번에는 ‘K-뷰티’다... 한국문화원, 한국의 뷰티 제품 알리기 나서 file 호주한국신문 22.04.07.
2678 호주 NSW 주 일대의 극심한 홍수... 한인동포 피해 농장주들, 망연자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3.31.
2677 호주 전문가가 보는 정부 이민정책- ‘단기직종’의 천형 풀리나 file 호주한국신문 22.03.31.
2676 호주 가언과 진언과 사이- 16 file 호주한국신문 22.03.24.
2675 호주 “잊지 않습니다, 우리 영웅들의 평화 염원을” file 호주한국신문 22.0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