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길거리 전화).jpg

헤드폰을 착용한 채 또는 스마트폰 SMS 문자를 주고받으며 도로를 보행하는 경우 사고 위험이 더욱 높아지며, 이에 대한 관련 규정도 바뀌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주의력 산만으로... “도로교통 규정 강화 필요” 목소리도

 


길거리를 걸으며 스마트폰에 집중하는 행위가 도로교통에 대한 집중을 분산시켜 사고발생 위험을 높이고 있다고 경찰과 의사들이 경고했다.

 

시드니 세인트 빈센트 병원(St Vincent's Hospital) 트라우마 치료 병동의 토니 그랩스(Tony Grabs) 박사는 “정신을 집중하지 않은 도로 보행자는 술을 마신 사람만큼이나 사고 위험이 높다”고 지적했다.

 

특히 트랩스 박사는 겨울이 시작되면서 어둠이 빨리 내리면서 도로에서의 주의 부족으로 인해 사고를 당하는 이들도 늘어날 것으로 우려했다.

그랩스 박사는 “거리를 걸을 때는 깊이 주의할 필요가 있다”면서 “차에 치이는 것은 한 순간”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스마트폰에 집중해 거리를 걷는 행위는 술을 마시고 가는 것과 같다”며

“이에 몰두하다 보면 주변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를 깨닫지 못하게 된다”고 조언했다.

 

그랩스 박사의 이 같은 경고는 최근 시드니에서 영어 연수를 받고 있는 사우디아라비아 국적의 젊은 학생 이브라힘(Ibrahim)이 스마트폰에 몰두하다 자동차에 치인 뒤 병원으로 후송된 사례가 있기 때문이다.

그는 시속 40킬로미터 속도제한이 있는 시드니 도심을 걷다가 대형버스의 앞 유리에 머리를 치였다.

 

그는 병원에서 “음악을 들으며 산책을 나갔고 머리에 헤드폰을 착용한 상태였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아마 헤드폰을 착용하지 않았다면 나는 버스의 움직임을 볼 수 있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다행히 이브라힘은 큰 부상을 입지는 않았다.

 

이브라힘을 치료했던 그랩스 박사는 “헤드폰을 착용한 채 음악을 들으며 걷거나 스마트폰으로 SMS 메시지를 작성하면서 걷다가 사고를 당하는 다른 사례에 비하면 그는 매우 행운”이라고 말했다.

 

그랩스 박사는 “자동차에 치이는 일은 결코 작은 사고가 아니다”면서 “다리를 다치거나 골반 부상 또는 머리를 다칠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특히 버스와 같은 대형 차량에 치일 경우 사망이 이르기 쉽다는 게 그의 지적이다.

 

한편 경찰은 자동차 사고 가운데 세세한 원인이 기록되지 않아 스마트폰이나 헤드폰을 착용하고 걷다가 사고가 난 수치를 정확히 파악하기는 어렵다고 말한다.

 

이런 가운데 NSW 경찰청 도로교통 전담반의 스튜어트 스미스(Stuart Smith) 부국장 또한 도로 보행자들에게 “길거리를 걸을 때 주의를 집중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그는 “스마트폰에 연결한 이어폰을 귀에 꽂은 채 보행을 할 경우 시속 30킬로미터의 느린 속도로 운행하는 자동차에도 쉽게 치일 수 있다”고 말한다.

 

호주 보행자위원회(Pedestrian Council of Australia) 헤럴드 스크러비(Harold Scruby) 대변인은 “도로를 건널 때 안전을 고려하지 않는 보행자 행위에 대해 위법으로 간주하는 법안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그는 “길거리를 다니며 헤드폰, 이어폰을 끼고 다니는 경우 자동차 경적이나 응급차량의 사이렌 소리를 들을 수 없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휴대전화 통화를 하거나 SMS 문자를 주고받으며 운전을 하는 것은 불법이지만 도보로 거리를 횡단하는 것은 위법이 아니다”면서 “경찰이 보행자를 단속할 수 있는 유일한 한 가지는 자동차 운행을 방해하거나 녹색 등이 아닐 때 도로를 횡단하는 것일 뿐”이라며 안전을 위해 보행자 관련 처벌 규정도 바뀌어야 한다고 말했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854 호주 <택시운전사>에서 최근 흥행작 <지금 만나러 갑니다>까지... file 호주한국신문 18.07.12.
853 호주 총영사관, ‘한반도 안보’ 관련 전문가 토론회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18.07.12.
852 호주 ‘광복장학회’, 독립운동 현장 답사팀 환송 모임 file 호주한국신문 18.07.19.
851 호주 스트라스필드 카운슬, ‘Korean Art Exhibition’ 마련 file 호주한국신문 18.07.19.
850 호주 “모든 생명체는 인간과 상호작용하는 협동의 대상...” file 호주한국신문 18.07.19.
849 호주 기획- 벤디고 한인 커뮤니티 은행⑤ file 호주한국신문 18.07.19.
848 호주 “한인 커뮤니티에 자체 금융기관 필요성 인식 준 것, 가장 보람” file 호주한국신문 18.07.19.
847 호주 키워드로 보는 호주한국영화제 프로그램 file 호주한국신문 18.07.19.
846 호주 광복 장학회, 12일 간담회 및 장학생 환송 모임 가져 톱뉴스 18.07.24.
845 호주 한반도 안보 정세 변화 토론회 및 강연회 내달 개최 톱뉴스 18.07.24.
844 호주 올해 ‘청소년 민족캠프’, 10월11-13일 개최 file 호주한국신문 18.07.26.
843 호주 한국전 참전단체-공관, ‘정전 65주년’ 기념식 마련 file 호주한국신문 18.07.26.
842 호주 문화원, 한국 공예의 정수 보여주는 전시회 마련 file 호주한국신문 18.07.26.
841 호주 호주 건설 분야 일자리, 영주비자 연결 직종은... file 호주한국신문 18.07.26.
840 호주 키워드로 보는 호주한국영화제 프로그램(2) file 호주한국신문 18.07.26.
839 호주 나라사랑 민족캠프! 21세기 독립운동! 톱뉴스 18.07.26.
838 호주 호주 건설기술공 취업환경 설명회 개최 톱뉴스 18.07.26.
837 호주 [포토뉴스] 이백순 주호주한국대사, 한반도 정세 강연 톱뉴스 18.07.26.
836 호주 ‘고약한 민족주의’와 결탁하는 축구.... 신간 '축구와 내셔널리즘' 톱뉴스 18.07.26.
835 호주 서부 호주(WA) 체류 ‘워홀러’ 대상, 정보 세미나 열려 file 호주한국신문 18.08.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