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킹스크로스 1).jpg

킹스크로스(Kings Cross)는 호주의 가장 유명한 유흥지구로 매년 수만 명의 관광객이 찾는 곳이지만 또한 음주폭력 발생이 많은 곳이기도 하다. 사진은 킹스크로스의 상징처럼 여겨지는 코카콜라 사인.

 

업소들, 줄어든 매출로 ‘고통 호소’... 거주민들은 ‘환영’

 


지난 2월 NSW 주 정부가 음주폭력을 억제하기 위한 방안으로 시드니 도심 및 킹스크로스 등 유흥지구의 클럽, 호텔, 바 등을 대상으로 새로운 음주관련 규정을 발효하면서 직접적인 대상 업소는 물론 주변 업소들마저 줄어든 매출로 고통을 호소하고 있다.

반면 해당 지역 거주민들은 한결 조용해진 밤 풍경으로 환영의 뜻을 표하고 있다.

 

주 정부가 내놓은 이 규제는 그 동안 음주폭력 사건 발생 빈도가 높은 클럽 등을 대상으로 오전 1시30분 새 고객의 출입 금지, 오전 3시 업소 내 고객에 대한 주류제공 금지를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있다.

 

이처럼 강화된 법안은 킹스크로스(Kings Cross)에서 18세의 두 청소년이 술에 취한 사람으로부터 폭행을 당해 목숨을 잃는 사건이 발생하자 주 정부가 새로운 대책으로 마련, 시행한 조치이다.

 

주 정부는 새 회계연도가 시작되는 다음 달, 시드니 도심(Central Business District) 지역을 대상으로 추가 규제조치를 발효한다는 방침이다.

 

주 정부의 음주 관련 규제가 시행된 이후 해당 지역 거주민들, 경찰과 의사들은 환영의 뜻을 표하고 있지만 주로 야간 손님을 대상으로 영업을 하는 업소들은 심각한 우려를 표하고 있다. 강화된 규제로 손님들이 크게 줄었기 때문이다.

 


킹스크로스 찾던 이들,

서리힐 등으로 이동

 


지난 16년간 킹스크로스에서 테이크어웨이(takeaway) 숍을 운영해 왔다는 닉(Nick)씨는 ABC 라디오 702와의 전화 인터뷰에서 “매출 감소로 업소가 문을 닫아야 할 처지에 놓였다”고 하소연했다. 그는 “문을 닫는 날이 언제일지 모르지만 이런 상태에서 3~4개월이 계속된다면 거의 모든 소규모 사업자들이 이 지역을 떠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지난 2월 새로운 음주 관련 규정이 시작된 이후 40% 이상 매출이 줄었으며 이로 인해 4명의 직원을 해고할 수밖에 없었다고 덧붙였다. 이어 그는 “그들 모두 가족이 있고 생계를 책임져야 하는 이들인데, 당사자는 물론 가족이 겪을 고통은 얼마나 크겠는가”라며 “나 역시 현재로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 답이 없다”고 말했다.

 

새 규제가 시행되기 전까지 24시간 영업을 하던 닉씨의 가게는 이제 새벽 4시에 문을 닫고 있다. 밤새 문을 열어도 손님이 없기 때문이다.

 

사설 경비원(security guard)으로 27년간 킹스크로스에서 근무했다는 조지(George)씨는 새로운 음주법 시행 이후 관광객들이 혼란을 겪고 있다고 전했다.

“유령촌은 아니지만 오전 1시30분 이후 사람들은 갈 곳이 없어 거리를 배회한다”고 말하는 그는 “늦은 밤까지 거리를 돌아다니는 이들은 이곳 주민이 아니라 시드니를 찾은 해외 관광객들”이라고 덧붙였다.

 

“시드니는 아주 대중적인 관광도시이며 특히 킹스크로스는 전 세계에서도 특히 유명한 곳”이라는 조지씨는 “새 음주법이 시행된 이후 이곳을 순찰하는 경찰도 더 늘어났다”면서 “음주폭력 사건이 줄줄이 발생하기 전에는 왜 이처럼 순찰을 하지 않았는지 모르겠다”고 불평했다.

 

이에 대해 킹스크로스 경찰서 관계자는 “순찰 인력은 (새 음주법 시행) 이전과 동일하다”면서 “다만 순찰 인력을 배치하는 방식이 다를 뿐”이라고 말했다.

 

킹스크로스의 유명한 월드 바(World Bar) 대표인 스티브 워드(Steve Ward)씨는 새 규정으로 이 지역 비즈니스가 여러 부문에서 타격을 받고 있는 가운데 가장 큰 영향은 유흥문화라고 진단했다.

 

그의 설명에 따르면 이전까지만 해도 이 지역 유흥업소는 보통 밤 10시에 업무를 시작해 다음 날 새벽 4시경 마무리되는 패턴이었다. 하지만 새 음주법으로 유흥업소의 영업시간이 변경되데 대해 킹스크로스를 찾는 고객들은 이에 적응하지 못하고 있다. 결국 밤 여흥을 즐기려는 이들은 여전히 킹스크로스를 찾기도 하지만 대개는 서리힐(Surry Hills) 또는 뉴타운(Newtown)으로 이동하고 있다.

 

워드씨는 이어 “우리 업소(월드 바)를 찾는 이들도 시간이 되면 파티를 계속하기 위해 다른 지역으로 이동한다”고 말했다. 주류 판매 시간을 제한했지만 밤 여흥을 즐기려는 이들은 다른 곳을 찾아서라도 여흥을 계속한다는 얘기다.

 


새 음주법 시행 이후

폭력사건 응급 환자 크게 줄어

 


반면 킹스크로스에 거주하는 주민들은 새 음주법 시행을 환영하고 있다. 이유는 이 지역이 이전과 달리 북적거림이 줄고 한결 조용해졌기 때문이다.

 

포츠포인트(Potts Point) 거주민이자 이 지역 시민단체인 ‘Darlinghurst Residents Action Group’의 헬렌 크로싱(Helen Crossing)씨는 “새 법령 시행 이후 소음이 줄고 평범한 주거지역으로 돌아간 것 같다”고 말했다. 그녀는 또 새 음주법이 이 지역 문화를 변질시켰다는 불평에 대해 제동을 걸었다. “통제가 불가능할 정도로 만취한 사람들이 매주 2만 명에 이르는데, 우리는 이런 이들을 만들어내는 이 지역 유흥문화를 이해하려 노력했다”고 말했다.

 

킹스크로스 지역에서 발생된 폭력사건 등의 피해자는 대부분 세인트 빈센트 병원(St Vincent’s Hospital)로 이송된다. 이 병원 응급실 의료책임자인 고디언 펄드(Gordian Fulde) 박사는 음주 관련 사건이나 사고로 심각한 중상을 입고 치료를 위해 응급실로 실려 오는 이들이 두드러지게 줄었다고 말한다.

 

“술 취한 상태에서 소위 ‘원 펀치’ 공격을 받고 상해를 입거나 길거리에 쓰러져 있다가 폭행을 당한 이들, 중환자실로 가야 할 만큼 위급한 환자들이 크게 줄었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펄드 박사는 이어 “(제도적인 힘으로) 비뚤어진 음주문화를 결코 근절할 수는 없겠지만 폭력사고를 줄일 수는 있다”고 진단하면서 “새 음주법 시행은 큰 성공인 것 같다”고 말했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854 호주 <택시운전사>에서 최근 흥행작 <지금 만나러 갑니다>까지... file 호주한국신문 18.07.12.
853 호주 총영사관, ‘한반도 안보’ 관련 전문가 토론회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18.07.12.
852 호주 ‘광복장학회’, 독립운동 현장 답사팀 환송 모임 file 호주한국신문 18.07.19.
851 호주 스트라스필드 카운슬, ‘Korean Art Exhibition’ 마련 file 호주한국신문 18.07.19.
850 호주 “모든 생명체는 인간과 상호작용하는 협동의 대상...” file 호주한국신문 18.07.19.
849 호주 기획- 벤디고 한인 커뮤니티 은행⑤ file 호주한국신문 18.07.19.
848 호주 “한인 커뮤니티에 자체 금융기관 필요성 인식 준 것, 가장 보람” file 호주한국신문 18.07.19.
847 호주 키워드로 보는 호주한국영화제 프로그램 file 호주한국신문 18.07.19.
846 호주 광복 장학회, 12일 간담회 및 장학생 환송 모임 가져 톱뉴스 18.07.24.
845 호주 한반도 안보 정세 변화 토론회 및 강연회 내달 개최 톱뉴스 18.07.24.
844 호주 올해 ‘청소년 민족캠프’, 10월11-13일 개최 file 호주한국신문 18.07.26.
843 호주 한국전 참전단체-공관, ‘정전 65주년’ 기념식 마련 file 호주한국신문 18.07.26.
842 호주 문화원, 한국 공예의 정수 보여주는 전시회 마련 file 호주한국신문 18.07.26.
841 호주 호주 건설 분야 일자리, 영주비자 연결 직종은... file 호주한국신문 18.07.26.
840 호주 키워드로 보는 호주한국영화제 프로그램(2) file 호주한국신문 18.07.26.
839 호주 나라사랑 민족캠프! 21세기 독립운동! 톱뉴스 18.07.26.
838 호주 호주 건설기술공 취업환경 설명회 개최 톱뉴스 18.07.26.
837 호주 [포토뉴스] 이백순 주호주한국대사, 한반도 정세 강연 톱뉴스 18.07.26.
836 호주 ‘고약한 민족주의’와 결탁하는 축구.... 신간 '축구와 내셔널리즘' 톱뉴스 18.07.26.
835 호주 서부 호주(WA) 체류 ‘워홀러’ 대상, 정보 세미나 열려 file 호주한국신문 18.08.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