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의원 친선협회).jpg

호-한 의원친선협회 의원들을 관저로 초청, 만찬을 가진 주호주 한국대사관 김봉현 대사는 호주 상하원 의원들에게 인적교류 확대를 제안했다.


동포간담회, 정계 지도자와 협력방안 논의

 


주호주 한국대사관 김봉현 대사는 지난 주 월-화요일(16-17일) 빅토리아 주 정부 초청으로 멜번을 방문, 정 재계관계자들과 회동을 갖는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김 대사는 이번 방문에서 알렉스 체르노프(Alex Chernov) 주 총독을 예방하고 한국과 빅토리아 정부 간 협력확대 방안을 논의했다. 김 대사와 체로노프 총독은 한-호 FTA 체결을 계기로 양측 간 경제협력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보고 또 부산시와 빅토리아 주 자매결연 20년을 기해 정부 간 인사교류도 더욱 활발히 추진키로 했다.

 

이어 김 대사는 브루스 앳킨슨(Bruce Atkinson) 주 상원의장 및 크리스틴 피페(Fyffe) 하원의장과 오찬을 갖고 다시 한 번 협력확대 방안을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김 대사는 VIC 지역 한인 커뮤니티 권익 증진을 위해 주 의회 차원의 관심과 지원을 당부했다.

 

아울러 멜번대학교 주최로 학계, 경제계 인사 약 20명과 라운드테이블 조찬 회의를 개최, 한-빅토리아간 미래 협력 방향에 대해 논의한 김 대사는 멜번 지역 한인동포 지도자들과 간담회를 갖고 다양한 의견을 교환했다.

 

한편 김 대사는 금주 월요일(23일) 호-한 의원친선협회 11명의 의원을 관저로 초청 만찬을 갖고 양국 우호관계의 역사와 현대 한국의 발전상에 대해 설명, 참석 의원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었다.

 

이날 만찬에는 친선협회장인 존 알렉산더(John Alexander) 의원을 비롯해 전임 회장 줄리 오웬(Julie Owens) 의원, 전 통상부 장관을 역임한 리차드 말스(Richard Marles) 의원, 이안 맥도널드(Ian Macdonald) 상원의원(5선) 등이 참석했다.

 

이날 김 대사는 양국 간 인적교류 등을 더욱 공고히 해 나가자고 제안했다.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674 호주 트로트 가수를 좋아하는 시드니 팬들, 우크라이나 전쟁피해 국민에도 ‘눈길’ file 호주한국신문 22.03.24.
2673 호주 총영사관 민원실, 방문예약제 전면 해제 호주한국신문 22.03.24.
2672 호주 오지라퍼의 세상사 참견- 13 호주한국신문 22.03.17.
2671 호주 한반도 비무장지대에 대한 국내외 작가 작품들, 영상으로 소개된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3.17.
2670 호주 가언과 진언과 사이- 15 file 호주한국신문 22.03.10.
2669 호주 “한반도의 항구적 평화 모델 실현 위해 현지 사회와의 연대 활동 중요” file 호주한국신문 22.03.10.
2668 호주 “2년 뒤 국회의원 선거에 대비, 체계적 활동 방향 논의하겠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3.10.
2667 호주 오지라퍼의 세상사 참견- 12 호주한국신문 22.03.03.
2666 호주 20대 대선 재외선거 마감, 등록자 수 대비 호주 투표율 66.3% file 호주한국신문 22.03.03.
2665 호주 시드니 한인 동포들, 항일독립운동 선열들의 민족정신 새겨 file 호주한국신문 22.03.03.
2664 호주 가언과 진언과 사이- 14 file 호주한국신문 22.02.24.
2663 호주 시드니총영사관 투표소 등서 20대 대선 재외선거인 투표 시작돼 file 호주한국신문 22.02.24.
2662 호주 NSW 주 HSC 시험 한국어 성적 우수자 시상 file 호주한국신문 22.02.24.
2661 호주 대양주-NZ 한인회총연합회, 통가 거주 동포에 구호물품 전달 file 호주한국신문 22.02.24.
2660 호주 한인사회의 ‘Korean Friendship Garden’ 추진, 이번에는 ‘희망적’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7.
2659 호주 오지라퍼의 세상사 참견- 11 호주한국신문 22.02.17.
2658 호주 팬데믹으로 중단됐던 한국문화 이벤트, 2년여 만에 열려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7.
2657 호주 “어떤 연유로든 돌아가신 고인의 삶은 존중받아야 합니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7.
2656 호주 가언과 진언과 사이- 13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0.
2655 호주 민주평통 호주협의회, 해외 ‘우수협의회’로 의장 단체 표창 수상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