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론 울프 두목).jpg

지난 2012년 1월4일 산 수지(Sans Souci)에서 타렉 압달라(Tarek Abdallah)에게 여섯 차례 총격을 받고 사망한 론 울프 바이키 갱 두목 닐 토도로프스키(Neal Todorovski). 센트럴 지방법원은 살해범 압달라에게 최소 20년, 최대 28년의 징역형을 선고했다.


2년 전 산 수지 총기사건... 타렉 압달라, 2032년 가석방 가능

 


2년 전 시드니 남부 해안 지역의 산 수지(Sans Souci)에서 발생됐던 갱단 총기 사건과 관련, 론 울프 바이키 갱(Lone Wolf bikie Gang) 두목을 총기로 살해한 용의자에게 법원이 최소 20년, 최대 28년 형을 선고했다.

 

지난 2012년 1월4일 타렉 압달라(Tarek Abdallah)는 론 울프 바이키 두목으로 알려진 닐 토도로프스키(Neal Todorovski)의 산 수지 소재 셀몬 스트리트(Selmon Street) 상의 자택과 집 밖에서 여섯 차례 총격을 가해 토도로프스키를 살해한 혐의로 기소됐었다.

 

압달라는 이날 범행을 저지를 후 서부 호주로 달아났다가 같은 달 12일 서부 호주 경찰에 체포돼 시드니로 압송 센트럴 지방법원(Central Local Court)에서 재판을 받아 왔다.

 

경찰에 따르면 압달라는 총기살해 사건이 발생되기 몇 주 전 압달라는 토도르프스키에게 주먹으로 맞아 부상을 당한 바 있으며, 사건이 발생하던 날에도 토도로프스키의 론 울프 갱 단원 두 명에게 폭행을 당했다.

 

그러자 압달라는 자신의 차로 가 총기를 꺼내 들고 와 토도르프스키를 살해했다.

이에 따라 재판이 진행되면서 압달라 가족들은 압달라가 자기방어를 한 것이라고 일관되게 주장해 왔다.

 

재판을 맡은 시드니 지방법원의 스티븐 캠벨(Stephen Campbell) 판사는 “토도로프스키가 압달라를 도발한 일정 부분을 수용한다”면서도 자기방어라는 주장은 인정하지 않았으며 또 압달라가 토도르프스키를 살해한 의도를 갖고 첫 발사를 한 것이라고 판단했다.

 

지난 주 목요일(19일) 재판에서 압달라 가족들은 지속적으로 압달라의 자기방어를 주장했으며 이번 판결에 불복, 항소한다고 말했다.

 

이번 판결로 압달라는 2032년 이후에야 가석방을 신청할 수 있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674 호주 트로트 가수를 좋아하는 시드니 팬들, 우크라이나 전쟁피해 국민에도 ‘눈길’ file 호주한국신문 22.03.24.
2673 호주 총영사관 민원실, 방문예약제 전면 해제 호주한국신문 22.03.24.
2672 호주 오지라퍼의 세상사 참견- 13 호주한국신문 22.03.17.
2671 호주 한반도 비무장지대에 대한 국내외 작가 작품들, 영상으로 소개된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3.17.
2670 호주 가언과 진언과 사이- 15 file 호주한국신문 22.03.10.
2669 호주 “한반도의 항구적 평화 모델 실현 위해 현지 사회와의 연대 활동 중요” file 호주한국신문 22.03.10.
2668 호주 “2년 뒤 국회의원 선거에 대비, 체계적 활동 방향 논의하겠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3.10.
2667 호주 오지라퍼의 세상사 참견- 12 호주한국신문 22.03.03.
2666 호주 20대 대선 재외선거 마감, 등록자 수 대비 호주 투표율 66.3% file 호주한국신문 22.03.03.
2665 호주 시드니 한인 동포들, 항일독립운동 선열들의 민족정신 새겨 file 호주한국신문 22.03.03.
2664 호주 가언과 진언과 사이- 14 file 호주한국신문 22.02.24.
2663 호주 시드니총영사관 투표소 등서 20대 대선 재외선거인 투표 시작돼 file 호주한국신문 22.02.24.
2662 호주 NSW 주 HSC 시험 한국어 성적 우수자 시상 file 호주한국신문 22.02.24.
2661 호주 대양주-NZ 한인회총연합회, 통가 거주 동포에 구호물품 전달 file 호주한국신문 22.02.24.
2660 호주 한인사회의 ‘Korean Friendship Garden’ 추진, 이번에는 ‘희망적’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7.
2659 호주 오지라퍼의 세상사 참견- 11 호주한국신문 22.02.17.
2658 호주 팬데믹으로 중단됐던 한국문화 이벤트, 2년여 만에 열려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7.
2657 호주 “어떤 연유로든 돌아가신 고인의 삶은 존중받아야 합니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7.
2656 호주 가언과 진언과 사이- 13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0.
2655 호주 민주평통 호주협의회, 해외 ‘우수협의회’로 의장 단체 표창 수상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