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아동 우울증).jpg

항우울제 및 항정신 의약품 처방을 받은 아동 및 청소년들이 크게 늘어나면서 이에 대한 부작용 우려도 높아지고 있다.

 

시드니대 연구팀 조사... 항정신 치료제 처방은 50% 늘어

 


항우울제나 항정신병 의약품을 처방받는 아동 및 젊은이들이 크게 늘어나면서 의료 전문가들이 청소년 정신 질환을 우려하고 있다.

 

시드니대학교 연구팀이 지난 2009년부터 2012년 사이 호주 어린이와 청소년 처방약 패턴을 조사한 결과 10-14세 연령기 아동의 항우울제 처방이 3분의 1 이상 증가했으며, 항정신병 의약품 처방을 받은 어린이는 50%가 늘어났다.

 

또 주의력 결핍 과잉 활동장애(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처방은 26.1%가 증가했다.

 

보건 전문가들은 아동 및 청소년들에게서 폭넓게 늘어나는 정신질환 관련 처방 증가를 우려하면서 또한 이들 의약품 중 일부의 경우 아동에게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 대학 전문 심리학부의 에밀리 카렌지(Emily Karanges) 박사는 “항우울제와 항정신 의약품은 아동에게 심각한 폐해를 줄 수 있다”고 말했다.

 

카렌지 박사는 “이들은 매우 강력한 의약품으로 아동 및 청소년들은 이런 의약품 사용의 부작용에 더욱 민감하다”면서 “항정신 의약품을 복용하는 모든 이들에게는 체중 증가, 비만, 당뇨가 나타날 수 있으며 특히 이런 추가적 영향은 아동 및 청소년들에게서 더욱 현저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조사에서 연구팀은 아동 연령기의 모든 의약품 처방에서는 남자 아이들이 더 많았지만 성인 항우울제 처방은 여성이 3분의 2에 달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연구팀의 이번 보고서는 호주-뉴질랜드 정신의학 저널에 소개됐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674 호주 트로트 가수를 좋아하는 시드니 팬들, 우크라이나 전쟁피해 국민에도 ‘눈길’ file 호주한국신문 22.03.24.
2673 호주 총영사관 민원실, 방문예약제 전면 해제 호주한국신문 22.03.24.
2672 호주 오지라퍼의 세상사 참견- 13 호주한국신문 22.03.17.
2671 호주 한반도 비무장지대에 대한 국내외 작가 작품들, 영상으로 소개된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3.17.
2670 호주 가언과 진언과 사이- 15 file 호주한국신문 22.03.10.
2669 호주 “한반도의 항구적 평화 모델 실현 위해 현지 사회와의 연대 활동 중요” file 호주한국신문 22.03.10.
2668 호주 “2년 뒤 국회의원 선거에 대비, 체계적 활동 방향 논의하겠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3.10.
2667 호주 오지라퍼의 세상사 참견- 12 호주한국신문 22.03.03.
2666 호주 20대 대선 재외선거 마감, 등록자 수 대비 호주 투표율 66.3% file 호주한국신문 22.03.03.
2665 호주 시드니 한인 동포들, 항일독립운동 선열들의 민족정신 새겨 file 호주한국신문 22.03.03.
2664 호주 가언과 진언과 사이- 14 file 호주한국신문 22.02.24.
2663 호주 시드니총영사관 투표소 등서 20대 대선 재외선거인 투표 시작돼 file 호주한국신문 22.02.24.
2662 호주 NSW 주 HSC 시험 한국어 성적 우수자 시상 file 호주한국신문 22.02.24.
2661 호주 대양주-NZ 한인회총연합회, 통가 거주 동포에 구호물품 전달 file 호주한국신문 22.02.24.
2660 호주 한인사회의 ‘Korean Friendship Garden’ 추진, 이번에는 ‘희망적’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7.
2659 호주 오지라퍼의 세상사 참견- 11 호주한국신문 22.02.17.
2658 호주 팬데믹으로 중단됐던 한국문화 이벤트, 2년여 만에 열려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7.
2657 호주 “어떤 연유로든 돌아가신 고인의 삶은 존중받아야 합니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7.
2656 호주 가언과 진언과 사이- 13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0.
2655 호주 민주평통 호주협의회, 해외 ‘우수협의회’로 의장 단체 표창 수상 file 호주한국신문 22.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