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USB 충전기).jpg

공정거래부 조사관들이 압수한 비승인 USB 형태의 충전기들. 이로 인한 사망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드러나면서 안전 승인 없는 전기제품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소비자 신고 당부... 공정거래부 홈페이지서 안전제품 확인 가능

 


안전 승인이 되지 않은 USB 형태의 충전기를 사용하다 한 여성이 숨지는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드러난 이후 이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NSW 공정거래부가 USB 형태의 충전기를 비롯해 승인되지 않은 전기제품을 판매하는 소매점 및 이를 들여와 공급하는 수입업체에 대한 대대적인 조사에 나섰다.

 

공정거래부는 또한 미디어를 통해 안전 제품으로 승인되지 않은 이들 전기제품을 판매하는 업소에 대한 신고를 당부한다고 빍혔다.

 

공정거래부 매튜 메이슨-콕스(Matthew Mason-Cox) 장관은 “안전성이 보장되지 않은 비승인 전기제품은 소비자들에게 상당한 위험을 줄 수 있다”고 경고하면서 당국의 허가가 없는 전기제품을 공급하거나 판매하는 소매업체에 대해 적절한 제재를 가할 것이라고 밝혔다.

 

메이슨-콕스 장관은 “전기제품을 공급하는 업체는 소비자 보호를 위해 정부가 규정한 관련법에 따라 안전한 전기제품을 판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장관은 “공정거래부는 전기제품 안전법과 관련해 제품 관계자들(수입업체나 판매점)이 이를 따르도록 강제화할 수 있다”면서 “불안전한 제품이 시장에 나오지 않도록 하기 위한 작업의 일환으로 공정거래부 조사관들이 소매점을 방문하거나 허가되지 않은 USB 형태의 충전기를 조사하고 있다”고 경고했다.

 

공정거래부의 전기제품 안전 전문가로 구성된 조사관들은 이미 지난 주 댑토 마켓(Dapto markets)과 패디스 마켓(Paddy’s Markets, Haymarket) 등에서 은밀한 조사활동을 시작했다.

 

이 결과 조사관들은 댑토 마켓에서는 4개의 점포(Stall)에서, 또 패디스 마켓에서는 2개의 점포가 승인되지 않은 USB 형태의 충전기를 판매하고 있음을 적발했다. 조사관들은 이 제품 일체를 압수했으며, 점포 업주들에게는 비승인 제품 판매를 금지하라고 명령했다.

 

아울러 공정거래부는 어번(Auburn)과 실버워터(Silverwater)에 위치한 두 곳의 전기제품 수입업체를 조사했다.

 

최근 지역신문인 일라와라 머큐리(Illawarra Mercury)가 취재한 비승인 USB 형태의 충전기 가운데는 일부 부분이 안전하지 않으며 절연 핀이 없다. 지난 주말(6월28일)부터 조사에 착수한 공정거래부는 비승인 전기제품 판매에 대한 조사를 지속해나가겠다는 방침이다.

 

소비자들이 안전 승인된 USB 형태의 충전기를 확인하고자 한다면 공정거래부 홈페이지(www.fairtrading.nsw.gov.au)를 이용할 수 있다.

 

공정거래부는 관련 법에 따라 위험한 제품에 대해 소매점에서 취급하지 말도록 강제화할 수 있으며 제품을 압수할 수도 있다.

아울러 불법 제품을 판매하는 소매업자에게는 즉석에서 500달러에서 최대 8만7500달러의 벌금, 2년의 징역형에 처해질 수 있으며 수입 업체에 대해서는 최대 87만5천 달러의 벌금 부과가 가능하다.

 

한편 공정거래부는 허가되지 않은 전기제품 판매에 대한 조사를 계속해 나갈 것이라며 이를 판매하는 소매점 등에 대해서는 소비자들의 신고(전화 13 32 20)를 당부했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654 호주 주목받는 한국문학 도서들, 시드니에서 만난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2.03.
2653 호주 오지라퍼의 세상사 참견- 10 호주한국신문 22.02.03.
2652 호주 시드니 도심 거리를 장식한 한국 전통 오방색의 스트리트 배너 file 호주한국신문 22.02.03.
2651 호주 가언과 진언과 사이- 12 file 호주한국신문 22.01.27.
2650 호주 한국관광공사 시드니 지사, ‘Win a trip to Korea!’ 이벤트 마련 file 호주한국신문 22.01.27.
2649 호주 한반도 비무장지대 속의 ‘경계’, 예술적 상상으로 남과 북의 미래를 그리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1.27.
2648 호주 “오늘은 우리 모두 하나이며 행복한 호주인임을 확인하는 날입니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1.27.
2647 호주 대한민국 제20대 대선 재외선거인 등록, 약 23만 명 file 호주한국신문 22.01.20.
2646 호주 호주-한국을 넘어 세계 시장 넓혀가는 ‘레이보우앤네이쳐’ 이병구 대표 file 호주한국신문 21.12.23.
2645 호주 가언과 진언과 사이- 11 file 호주한국신문 21.12.23.
2644 호주 올해로 창립 40년 맞는 CASS, 다문화 자원봉사자 노고 격려 file 호주한국신문 21.12.23.
2643 호주 호주 국방부, 한국과 자주포 등 10억 달러 규모 무기 계약 마무리 file 호주한국신문 21.12.16.
2642 호주 오지라퍼의 세상사 참견- 9 호주한국신문 21.12.16.
2641 호주 ‘임정연 한복’, ‘호주 다문화 패션쇼’에서 한복의 아름다움 뽐내다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9.
2640 호주 가언과 진언과 사이- 10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9.
2639 호주 2022년도 재외동포재단 예산, 처음으로 700억 원 넘어서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9.
2638 호주 마흔 다섯 편의 산문 속에 담아낸 타국살이와 고향에 대한 그리움...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2.
2637 호주 오지라퍼의 세상사 참견- 8 호주한국신문 21.12.02.
2636 호주 호주 지역 ‘재외국민 투표율 제고’, 동포단체들 앞장서다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2.
2635 호주 시드니한인회, ‘오미크론’ 바이러스 주의 당부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