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SA 주총독).jpg

전쟁으로 폐허가 된 베트남을 빠져나와 보트 피플로 호주에 도착한 뒤 아시아인 최초로 주 총독에 지명된 휴우 반 레(Hieu Van Le. 60)씨. 그는 평화롭고 자유가 있는 나라에서 살고자 호주로 건너왔지만 총독이라는 큰 영광을 안았다고 말했다.

 

휴 반 레씨, 호주 역사상 최초 아시아계 ‘Governor’에

 


호주 역사상 최초로 아시아계 주 총독이 지명됐다.

지난 70년대 베트남 전쟁 난민으로 호주에 입국한 휴우 반 레(Hieu Van Le. 60)씨가 남부 호주(South Australia) 차기 주 총독(Governor)에 선임됐다. 레 차기 주 총독 지명자는 현 케빈 스카스(Kevin Scarce) 주 총독 후임으로 오는 9월부터 총독 업무를 수행하게 된다.

 

SA 주 제이 웨더릴(Jay Weatherill) 수상은 “레 지명자는 36년 전 전쟁으로 폐허가 된 베트남을 빠져나와 난민으로 호주에 정착한 뒤 아주 훌륭한 삶을 살아온 사람”이라며 “그는 호주 역사상 처음으로 아시안 이민자에서 주 총독에 지명된 사람”이라고 덧붙였다.

 

수상은 이어 “레 총독 지명자는 오래 전부터 지역사회 서비스에서 활발한 활동을 펼쳐온 사람”이라고 평가한 뒤 “지난 2007년부터 부총독(Lieutenant-Governor) 역할을 잘 수행한 것처럼 앞으로도 총독으로서의 역할을 잘 수행할 것임을 믿어 의심치 않는다”고 말했다.

 

레 총독 지명자는 애들레이드(Adelaide) 대학에서 회계학을 전공한 뒤 회계사로 일해 왔으며, 2009년 은퇴했다. 회계사로 일하면서 1991년부터는 호주 증권투자위원회(Australian Securities and Investments Commission) 수석 매니저로 재직해 왔다. 은퇴 이듬해인 2010년에는 빼어난 공직 수행을 인정받아 호주 공무원 훈장(Officer of the Order of Australia)을 받기도 했다.

 

레 지명자는 자신의 총독 지명에 대해 “깊은 영광으로 생각하며 겸허하게 받아들인다”고 말했다.

 

그는 “36년 전 아무 것도 가진 것 없이 젊은 보트피플 난민으로 호주에 도착했지만 난민 가방 안에는 꿈이 가득했다”며 “그것은 평화와 안전, 자유가 있는 나라에서 의미 있고 충만한 삶을 사는 꿈이었다”고 덧붙였다.

 

레 지명자는 이어 “(영국 여왕을 대리하는) 총독으로서의 특전과 크나큰 영광은 내 꿈을 훨씬 넘어서는 것”이라며 총독 지명의 기쁨을 표현했다.

 

한편 웨더릴 수상은 차기 주 총독으로 레씨를 지명한 데 이어 오는 9월 임기를 마치는 케빈 스카스 총독에 대한 감사 인사도 덧붙였다.

 

수상은 “스카스 총독 부부는 남부 호주를 위해 총독으로서의 역할을 훌륭히 수행했다”며 “남부 호주 주 전역에 걸쳐 200개 이상의 자선단체 및 기관의 후원자로서의 역할에서도 큰 기여를 했음을 많은 호주인들이 인정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번에 총독으로 지명된 레 부총독은 36년 전 난민으로 함께 호주에 도착한 뒤 결혼한 란(Lan) 여사와의 사이에 돈(Don)과 킴(Kim) 두 아들을 두고 있다. 이들의 이름은 호주의 크리켓 전설인 돈 브래드먼(Donald George Bradman)과 역시 크리켓 영웅이었던 킴 휴즈(Kimberley John Hughes)의 이름을 딴 것이다.

 


■ 레 지명자 프로필

-1954년 베트남 중부 쾅 트리(Quang Tri)에서 출생

-36년 전 보트 피플로 함께 호주에 도착한 란(Lan)시와 결혼

-애들레이드 대학에서 경제 및 회계학을 공부했으며 경영학 석사 학위 취득

-공인회계법인 회계사로 사회생활 시작

-1991년 호주 증권투자위원회(Australian Securities and Investments Commission. ASIC) 수석 매니저 선임

-지역사회 30개 이상의 자선단체 회원 및 후원자로 기여

-2008년 사회기여 공로로 애들레이드 대학에서 명예 박사학위 수여

-2009년 은퇴

-2010년 호주건국기념일(Australia Day)에서 호주 공무원 훈장(Officer in the Order of Australia) 수혜(ASIC에서의 탁월한 업무 수행 공로)

-호주 다문화 기여 공로로 ‘Australian Centenary Medal’ 수혜

-사회기여 공로로 SA 주 플린더스 대학(Flinders University)에서 명예 박사학위 수여

-2014년 9월2일 남부 호주(SA) 주 총독 취임(예정)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654 호주 주목받는 한국문학 도서들, 시드니에서 만난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2.03.
2653 호주 오지라퍼의 세상사 참견- 10 호주한국신문 22.02.03.
2652 호주 시드니 도심 거리를 장식한 한국 전통 오방색의 스트리트 배너 file 호주한국신문 22.02.03.
2651 호주 가언과 진언과 사이- 12 file 호주한국신문 22.01.27.
2650 호주 한국관광공사 시드니 지사, ‘Win a trip to Korea!’ 이벤트 마련 file 호주한국신문 22.01.27.
2649 호주 한반도 비무장지대 속의 ‘경계’, 예술적 상상으로 남과 북의 미래를 그리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1.27.
2648 호주 “오늘은 우리 모두 하나이며 행복한 호주인임을 확인하는 날입니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1.27.
2647 호주 대한민국 제20대 대선 재외선거인 등록, 약 23만 명 file 호주한국신문 22.01.20.
2646 호주 호주-한국을 넘어 세계 시장 넓혀가는 ‘레이보우앤네이쳐’ 이병구 대표 file 호주한국신문 21.12.23.
2645 호주 가언과 진언과 사이- 11 file 호주한국신문 21.12.23.
2644 호주 올해로 창립 40년 맞는 CASS, 다문화 자원봉사자 노고 격려 file 호주한국신문 21.12.23.
2643 호주 호주 국방부, 한국과 자주포 등 10억 달러 규모 무기 계약 마무리 file 호주한국신문 21.12.16.
2642 호주 오지라퍼의 세상사 참견- 9 호주한국신문 21.12.16.
2641 호주 ‘임정연 한복’, ‘호주 다문화 패션쇼’에서 한복의 아름다움 뽐내다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9.
2640 호주 가언과 진언과 사이- 10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9.
2639 호주 2022년도 재외동포재단 예산, 처음으로 700억 원 넘어서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9.
2638 호주 마흔 다섯 편의 산문 속에 담아낸 타국살이와 고향에 대한 그리움...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2.
2637 호주 오지라퍼의 세상사 참견- 8 호주한국신문 21.12.02.
2636 호주 호주 지역 ‘재외국민 투표율 제고’, 동포단체들 앞장서다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2.
2635 호주 시드니한인회, ‘오미크론’ 바이러스 주의 당부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