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캔버라).jpg

OECD가 회원국의 각 지역을 대상으로 교육, 직업, 수입, 안전 등 8개 항목에 걸쳐 ‘Well-being’ 평가를 실시한 결과 호주에서는 ACT 지역이 가장 살기 좋은 것으로 분석됐다. 사진은 캔버라(Canberra) 벌리 그리핀(Burley Griffin) 호주 위에 떠 있는 대형 벌룬들.


OECD Regional Well-being 보고서

 


호주 내에서 거주 조건이 가장 좋은 곳으로 연방 수도가 있는 ACT(Australian Capital Territory)가 꼽혔다.

 

OECD(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가 최근 발표한 각 지역 웰빙(Regional Well-being) 보고서에 따르면 ACT는 -교육 -직업 -수입 -안전 -건강 환경 -시민 참여(Civic engagement) -공공서비스 편의성(Access to Service) 등 8개 항목에서 골고루 높은 점수를 획득, 호주 내에서 거주환경이 가장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번 평가에서 ACT는 8개 항목 중 환경과 시민 참여 부문을 제외하고 6개 항목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획득했다.

 

캔버라 국립대학 내 ‘사회경제 모델링 국립연구센터’(Canberra's National Centre for Social and Economic Modelling)의 벤 필립스(Ben Phillips) 연구원은 “ACT는 고용 요인에서 호주 전체 평균을 웃도는 결과”라고 말했다.

 

필립스 연구원은 “호주 전체 실업률이 6%대에 이르지만 ACT는 4% 안팎이며 그만큼 취업률이 높다는 의미“라고 덧붙였다. 이 같은 결과는 최근 공공부문에서의 인원감축 결정 이후 나온 것이다.

 

그는 이어 특히 ACT의 수입은 OECD가 조사한 전체 지역의 상위 2%에 해당하는 수준으로 다른 나라의 평균 수입보다 58%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전했다.

 

이번 보고서에 다르면 ACT의 연 평균 가처분 소득은 4만3670달러에 달했다.

다만 환경 부문에서는 9.5점으로 6개 주 및 2개 테러토리(Territory) 중 여섯 번째로 나타났다. 하지만 OECD가 조사한 전체 지역과 비교하면 이 점수는 상위 9%(9.5점~10.0점)에 해당하는 좋은 환경이다.

 

선거에서의 투표율을 보여주는 ‘시민 참여’(civic engagement) 부문에서는 타스마니아에 이어 두 번째를 기록했다.

 

전반적인 복지 수준은 노르웨이 서부, 스웨덴의 수도인 스톡홀름(Stockholm), 미국의 뉴 햄프셔(New Hampshire) 주, 영국의 사우스 이스트 잉글랜드(South East England)와 비슷한 수준으로 분석됐다.

 


■ OECD scores by topic for Australian regions






























































































지 역

교 육

직 업

수 입

안 전

건 강

환 경

시민참여

공공서비스 편의성

NSW

7.3

8.4

7.1

9.2

9.1

10.0

10.0

8.1

VIC

7.4

8.5

6.4

9.6

9.4

9.2

10.0

8.2

QLD

6.9

8.5

6.9

9.3

8.7

10.0

10.0

8.4

SA

6.4

6.3

6.6

8.8

8.8

9.9

10.0

7.8

WA

7.0

9.3

7.7

9.0

9.5

9.9

10.0

8.6

TAS

5.6

7.5

6.2

8.7

7.2

10.0

10.0

7.3

NT

6.4

8.7

8.1

1.4

4.1

9.1

8.5

8.4

ACT

9.1

9.6

10.0

10.0

9.9

9.5

10.0

9.6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34 호주 캐서린 오도넬 작가, 'Still Lives'로 KAAF의 올해 미술공모 우승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1.
233 호주 시드니한국문학작가회, 호주 한인 종합 문예지 첫 호 발간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1.
232 호주 가언과 진언 사이- 8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1.
231 호주 ACC Hospice, 대한민국 국무총리 표창 단체상 수상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8.
230 호주 올해 ‘세계 장애인의 날’ 기해 관련 한인단체, 이벤트 마련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8.
229 호주 시드니 지역 '한국음식점', 약 40%는 '바비큐 레스토랑'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8.
228 호주 "갖가지 쓰레기 줄이고 건강한 라이프스타일 회복에 주력..."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8.
227 호주 “호주사회에 한반도 평화통일 당위성-북 인도적 지원 사업 주력할 터”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8.
226 호주 오지라퍼의 세상사 참견- 7 호주한국신문 21.11.18.
225 호주 ‘또 하나의 별을 노래하자’... 동포 청소년들, 조국 위한 선열들 희생 추모 file 호주한국신문 21.11.25.
224 호주 스트라스필드 카운슬-시드니총영사관, ‘호-한 수교 60주년 사진전’ 마련 file 호주한국신문 21.11.25.
223 호주 ‘오백나한’, 호주서 선보이는 '깨달음을 얻은 성자'의 얼굴 file 호주한국신문 21.11.25.
222 호주 가언과 진언 사이- 9 file 호주한국신문 21.11.25.
221 호주 제20대 대선, “특정 후보가 어떤 국가를 만들고자 하는지를 살펴봐야...” file 호주한국신문 21.11.25.
220 호주 시드니한인회, ‘오미크론’ 바이러스 주의 당부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2.
219 호주 호주 지역 ‘재외국민 투표율 제고’, 동포단체들 앞장서다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2.
218 호주 오지라퍼의 세상사 참견- 8 호주한국신문 21.12.02.
217 호주 마흔 다섯 편의 산문 속에 담아낸 타국살이와 고향에 대한 그리움...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2.
216 호주 2022년도 재외동포재단 예산, 처음으로 700억 원 넘어서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9.
215 호주 가언과 진언과 사이- 10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