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가정폭력).jpg

연방정부가 가정폭력 예방을 위해 폭력 피해자 및 가해자에 대한 각 주 법원의 결정을 호주 전역의 주 및 테러토리에서 똑같이 적용하는 가정폭력 방지 대책을 수립했다.


주(State) 법원 결정, 모든 주-테러토리서 똑같이 적용

 


앞으로 가정폭력 가해자는 법원 출두를 피하기 위해 주(State) 경계를 벗어나 도주할 수 없게 된다.

 

연방정부는 호주 전역에 걸쳐 가정폭력 금지 명령에 대한 규정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애보트(Tony Abbott) 정부는 1억 달러가 소요되는 가정폭력 방지를 위한 제2의 구체적 계획 마련에 각 주 및 테러토리 정부가 함께 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애보트 수상은 “만약 어느 주에서 법원이 가정폭력으로부터 여성 또는 아동을 보호하기 위해 가해자에 대한 법원의 금지 명령이 내려질 경우 이는 모든 주 및 테러토리에서 똑같이 적용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수상은 이어 “가정폭력 금지 명령은 법원의 결정이며 이는 각 주 및 테러토리를 넘어 호주 전역에서 집행할 수 있게 된다”며 “만약 피해 여성이 다른 주로 이주할 경우 폭력 위험에 있다는 것을 (주 법원에) 다시 증명하지 않아도 된다”고 덧붙였다.

 

애보트 수상의 여성정책을 보좌하는 미샬리아 캐시(Michaelia Cash) 상원의원은 연방 정부의 이 같은 계획에 대해 “피해 여성이 이제는 더 이상 폭력을 피해 숨을 필요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정리했다.

 

캐시 의원은 “정부가 추진하는 것은 호주에서 가정폭력을 경함한 여성에 대한 보호 수준을 높이기 위한 것”이라며 “이제 가정폭력 가해자는 더 이상 숨을 곳이 없게 되며, 만약 피해자라면 이제는 폭력을 피해 숨어 있어야 할 필요가 없다”고 또 한 번 강조했다.

 

캐시 의원은 이 같은 새 제도가 호주 전역에서 똑같이 적용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제까지 가정폭력 피해자가 가진 가장 큰 문제 중 하나는 폭력 피해자로서 다른 주로 이주할 경우 해당 주에서는 이전의 폭력 피해를 인지하지 못한다는 점이었다.

 

캐시 의원은 연방정부의 이 같은 계획에 대해 “‘가정 또는 가족 폭력에 대한 관용 금지’를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캐시 의원은 폭력 피해자에 대한 접근 금지 명령 유효에 대한 기간을 설정하지는 않았지만, 3년 정도로 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는 개인적인 의견을 덧붙였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34 호주 캐서린 오도넬 작가, 'Still Lives'로 KAAF의 올해 미술공모 우승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1.
233 호주 시드니한국문학작가회, 호주 한인 종합 문예지 첫 호 발간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1.
232 호주 가언과 진언 사이- 8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1.
231 호주 ACC Hospice, 대한민국 국무총리 표창 단체상 수상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8.
230 호주 올해 ‘세계 장애인의 날’ 기해 관련 한인단체, 이벤트 마련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8.
229 호주 시드니 지역 '한국음식점', 약 40%는 '바비큐 레스토랑'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8.
228 호주 "갖가지 쓰레기 줄이고 건강한 라이프스타일 회복에 주력..."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8.
227 호주 “호주사회에 한반도 평화통일 당위성-북 인도적 지원 사업 주력할 터”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8.
226 호주 오지라퍼의 세상사 참견- 7 호주한국신문 21.11.18.
225 호주 ‘또 하나의 별을 노래하자’... 동포 청소년들, 조국 위한 선열들 희생 추모 file 호주한국신문 21.11.25.
224 호주 스트라스필드 카운슬-시드니총영사관, ‘호-한 수교 60주년 사진전’ 마련 file 호주한국신문 21.11.25.
223 호주 ‘오백나한’, 호주서 선보이는 '깨달음을 얻은 성자'의 얼굴 file 호주한국신문 21.11.25.
222 호주 가언과 진언 사이- 9 file 호주한국신문 21.11.25.
221 호주 제20대 대선, “특정 후보가 어떤 국가를 만들고자 하는지를 살펴봐야...” file 호주한국신문 21.11.25.
220 호주 시드니한인회, ‘오미크론’ 바이러스 주의 당부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2.
219 호주 호주 지역 ‘재외국민 투표율 제고’, 동포단체들 앞장서다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2.
218 호주 오지라퍼의 세상사 참견- 8 호주한국신문 21.12.02.
217 호주 마흔 다섯 편의 산문 속에 담아낸 타국살이와 고향에 대한 그리움...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2.
216 호주 2022년도 재외동포재단 예산, 처음으로 700억 원 넘어서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9.
215 호주 가언과 진언과 사이- 10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