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이너 웨스트).jpg

최근 발표된 도메인 그룹(Domain Group)의 자료에 따르면 이너 웨스트(inner west) 지역 중간 주택 임대료가 지난 5년간 25%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한 이너 웨스트 지역의 주택 경매 현장.


지난 5년간 25% 상승... 주 550달러에서 700달러로 올라

 


시드니 이너 웨스트(inner west) 지역의 주당 주택 중간임대료가 5년 전 550달러에서 현재 700달러로 25% 치솟으며 동부 지역(eastern suburbs)과 경쟁을 하고 있다.

그러나 중요 임대 시장은 동부 지역의 주택 중간임대료가 900달러로 2011년 말과 동일한 것과 같이 정체되고 있다.

 

최근 발표된 도메인 그룹(Domain Group)의 데이터는 이너 웨스트 지역의 젊은 세입자들에게 좀 더 오래된 집 또는 도심 먼 거리에서 임대 주택을 찾도록 강요하는 등 나쁜 소식이지만 이 지역 투자자들에게는 반가운 소식이다.

 

이너 웨스트 지역의 유닛 임대료 성장률은 주택보다 덜해 지난 5년 간 19% 성장했으며, 주당 유닛 중간임대료는 500달러이다.

 

도메인 그룹의 수석 경제학자인 앤드류 윌슨(Andrew Wilson) 박사는 “이너 웨스트 지역에는 유닛과 같은 고밀도 개발이 많이 있어 왔기 때문에 유닛 임대료가 주택 임대료와 같은 속도로 성장할 수 없었다”고 설명한다.

이 결과 많은 투자자들은 더 나은 수익성을 위해 한정된 주택을 사들이고 리노베이션 하여 다시 임대를 주고 있다.

 

레인 앤 혼 뉴타운(Raine & Horne Newtown)의 제라드 힐(Gerard Hill) 대표는 “5년 전 이너 웨스트 지역의 침실 하나짜리 주택 임대료는 200달러에서 250달러였지만 현재는 거의 350달러에 육박한다”고 전했다.

 

힐 대표는 이어 “일부 학생들은 높은 임대료로 인해 다시 부모 집으로 들어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정부 정책의 변경으로 인해 동부 지역의 세입자들은 이너 웨스트 지역 세입자들 보다 조금은 나은 편이다.

 

2012년 정부는 호주에서 집을 임대해 생활하는 외국인들의 세금감면 혜택을 주는 ‘Living Away From Home Allowance’ 관련 법률을 개정했다.

 

라이프스타일 프로퍼티 에이전시(Lifestyle Property Agency)의 로한 알렉산더(Rohan Alexander) 이사는 “대기업들로 인해 이곳 주택임대 경향에 큰 흐름이 있었으며, 주당 임대료는 2천에서 4천 달러 였다”고 설명 한 뒤 “하지만 현재 이런 수요는 없으며 전체 임대시장이 재조정됐다”고 덧붙였다.

알렉산더 이사는 이어 “일반 주택을 임대했던 많은 세입자들이 현재는 아파트를 임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동부 지역의 아파트 임대료는 21.9%가 상승하여 주당 585달러이며 시드니에서 가장 아파트 임대료가 비싼 지역이다.

 

캔터베리-뱅스타운(Canterbury-Bankstown) 지역의 주택 및 아파트 임대료는 현재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다.

주택 중간임대료가 25% 상승하여 주당 500달러 선이며 아파트 임대료는 지난 5년 동안 더욱 증가, 26.7%의 성장을 보였으며, 임대료는 주당 380달러 선이다.

 

아파트 임대료가 가장 높은 성장을 보인 지역은 어퍼 노스 쇼어(upper north shore)와 노스-웨스트(north-west) 지역이다. 윌슨 박사는 “다운사이저(downsize)들이 이 지역의 넓은 아파트를 선호하면서 임대료가 31.6%까지 올랐다”고 설명했다.

 


정영혁 기자

yhchung@koreanherald.com.au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34 호주 캐서린 오도넬 작가, 'Still Lives'로 KAAF의 올해 미술공모 우승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1.
233 호주 시드니한국문학작가회, 호주 한인 종합 문예지 첫 호 발간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1.
232 호주 가언과 진언 사이- 8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1.
231 호주 ACC Hospice, 대한민국 국무총리 표창 단체상 수상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8.
230 호주 올해 ‘세계 장애인의 날’ 기해 관련 한인단체, 이벤트 마련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8.
229 호주 시드니 지역 '한국음식점', 약 40%는 '바비큐 레스토랑'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8.
228 호주 "갖가지 쓰레기 줄이고 건강한 라이프스타일 회복에 주력..."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8.
227 호주 “호주사회에 한반도 평화통일 당위성-북 인도적 지원 사업 주력할 터”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8.
226 호주 오지라퍼의 세상사 참견- 7 호주한국신문 21.11.18.
225 호주 ‘또 하나의 별을 노래하자’... 동포 청소년들, 조국 위한 선열들 희생 추모 file 호주한국신문 21.11.25.
224 호주 스트라스필드 카운슬-시드니총영사관, ‘호-한 수교 60주년 사진전’ 마련 file 호주한국신문 21.11.25.
223 호주 ‘오백나한’, 호주서 선보이는 '깨달음을 얻은 성자'의 얼굴 file 호주한국신문 21.11.25.
222 호주 가언과 진언 사이- 9 file 호주한국신문 21.11.25.
221 호주 제20대 대선, “특정 후보가 어떤 국가를 만들고자 하는지를 살펴봐야...” file 호주한국신문 21.11.25.
220 호주 시드니한인회, ‘오미크론’ 바이러스 주의 당부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2.
219 호주 호주 지역 ‘재외국민 투표율 제고’, 동포단체들 앞장서다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2.
218 호주 오지라퍼의 세상사 참견- 8 호주한국신문 21.12.02.
217 호주 마흔 다섯 편의 산문 속에 담아낸 타국살이와 고향에 대한 그리움...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2.
216 호주 2022년도 재외동포재단 예산, 처음으로 700억 원 넘어서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9.
215 호주 가언과 진언과 사이- 10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