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세월호1).jpg

세월호 진상 규명 특별법 제정을 지원하는 시드니 촛불 모임이 호주 정치인들과 노조 관계자들, 중국계 주민을 포함한 호주 현지인들로부터 뜨거운 성원을 받고 있다. 사진은 한인 모임인 ‘가만히 있으라 in 호주’의 모임 안내 포스터.

 

현지인들 “남의 일 아니다”, 동포사회 일각의 특별법 촉구에 참여

 


엄청난 희생자를 낸 ‘세월호’ 사건과 관련, 진상규명 특별법 제정을 지원하는 시드니 촛불 모임이 호주 정치인들과 노조 관계자들, 중국계 주민을 포함한 호주 현지인들로부터 뜨거운 성원을 받고 있다.

 

시드니 거주 한인 주부들이 주축을 이룬 시드니 촛불 모임(공식 명칭은 ‘가만히 있으라 in 호주’) 관계자들은 금주 월요일(14일) “로리 퍼거슨(Laurie Ferguson) 연방 하원의원이 세월호 참사 규명과 특별법 제정을 위한 청원서에 서명했다”고 전하며 “퍼거슨 의원은 세월호 참사 이후 대두된 대형 재난과 시민안전 문제는 한국만의 문제가 아닌 국제적인 이슈라고 판단, 이를 호주 국회 차원에서 다룰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퍼거슨 의원은 시드니 중서부 레이드(Reid) 지역구 의원으로 지난 1990년 연방 국회에 진출한 이후 2010년 시드니 남서부 웨리와(Werriwa)로 지역구를 옮겼다. 매 연방 하원 선거에서 압도적인 득표로 당선되고 있는 중견 정치인인 퍼거슨 의원은 재호 한인사회와도 두터운 친분을 유지해 오고 있는 친한파 인사 중 하나이다.

 

세월호 촛불 집회에 앞장선 주부들은 “호주 정치인들에 이어 노조 관계자들의 참여가 눈에 띄게 두드러지고 있다”고 전하며 “호주건설노조(CFMEU)의 브라이언 파커(Brian Paker) 위원장, 리블 핸론(Rebel Hanlon) 부위원장 등 건설노조 임직원 일동이 거의 모두 세월호 진상 규명을 위한 특별법 제정 청원서에 서명했으며, NSW 노조연맹(Union NSW) 및 기타 호주 노조 관계자들도 서명에 동참하고 있다”고 밝혔다.

 

‘로즈 다민족 커뮤니티 연합회’(Rhodes Multicultural Community Association) 대표인 중국계 주부 장 유에한(Yuehan Zhang)씨와 앤드류 퍼거슨(Andrew Ferguson, 전임 CFMEU 위원장) 씨 또한 직접 아파트 주민들을 대상으로 청원서에 서명을 받고 있다.

 

앤드류씨는 “로즈 다민족 커뮤니티 연합회의 추석 축제(Rhodes Moon Festival. 9월6일 예정) 준비과정에 참가하고 있는 한 한인 주부를 통해 시드니에서 세월호 진상규명과 특별법 제정을 위한 청원 서명운동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됐다”면서 “이에 감동해 직접 서명지를 들고 다니며 로즈 거주 아파트 주민들로부터 서명을 받고 있으며 이번 주 화요일까지 약 50여명이 서명에 참여했다”고 전했다.

 

로즈 지역은 한인과 중국인들이 다수를 이루는 신흥 아파트 단지로, 이번 서명에 참가한 주민들은 중국계가 다수를 이뤘다.

 

또한 브룩베일(Brookvale)에서 태권도 도장을 운영하고 있는 앤과 제이슨 게논(Anne & Jason Gannon) 부부는 자발적으로 서명에 참가해 지인들 및 회원들로부터 서명을 받고 있다. 이 호주인 부부는 신체단련을 위해 자신들의 도장을 찾는 지역 현지인들을 대상으로 독자적인 서명운동을 펼치고 있다.

 

한편 ‘가만히 있으라 in 호주’ 회원들은 이번 주 토요일(19일) 시드니 타운홀 광장에서 제3차 촛불 모임을 갖는다. 회원들은 “세월호 참사 추도 100일(7월 24일)에 즈음해 집회를 갖는 데 더욱 특별한 의의가 있다”며 “많은 교민들의 참여를 바란다”고 말했다.

 


정영혁 기자 yhchung@koreanherald.com.au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54 호주 시드니문화원, ‘케이팝 커버댄스 페스티벌’ 호주 본선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21.09.16.
253 호주 시드니한국문화원, <The Calligrapher's Daughter>로 ‘9월 북클럽’ 개최 file 호주한국신문 21.09.16.
252 호주 민주평통 아태지역회의, 첫 운영위원회 개최 file 호주한국신문 21.09.23.
251 호주 시드니한인회, “ ‘이웃과의 나눔’ 협조한 각계 인사들에게 감사한다” file 호주한국신문 21.09.23.
250 호주 가언과 진언 사이- 5 file 호주한국신문 21.09.23.
249 호주 한글날 및 한호 수교 60주년 기념, ‘한글 손글씨’와 함께 file 호주한국신문 21.09.23.
248 호주 시드니한국문화원, 전통음악 재해석한 ‘Travel of Korea’s Sound’ 마련 file 호주한국신문 21.09.30.
247 호주 다문화 국가에서의 인종혐오, 그에 대한 대응의 어려움은… file 호주한국신문 21.10.07.
246 호주 가언과 진언 사이- 6 file 호주한국신문 21.10.07.
245 호주 주시드니총영사관, 제20대 대통령 재외선거 신고신청 접수 개시 file 호주한국신문 21.10.07.
244 호주 시드니한국교육원, 호주 3개 주에서 한국어능력시험 실시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1.
243 호주 한인 차세대들이 보는 법률-정치 분야 비전과 제안은... 호주한국신문 21.10.21.
242 호주 가언과 진언 사이- 7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1.
241 호주 한-호 수교 60주년 계기, 호주국립대학교 내에 ‘코리아 코너’ 문 연다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8.
240 호주 호주 등 각국 한인동포들, ‘재외동포청(처) 신설 촉구’ 서명운동 전개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8.
239 호주 차세대 젊은이들의 역량 강화, "본인 능력 배양에 커뮤니티 지원도 필요" file 호주한국신문 21.11.04.
238 호주 오지라퍼의 세상사 참견- 6 호주한국신문 21.11.04.
237 호주 주시드니총영사관 ‘민원실 방문예약제’ 실시 방침 호주한국신문 21.11.11.
236 호주 지방선거 나서는 한정태 후보, "차세대 정치인 육성 필요하다..."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1.
235 호주 김치의 무한 변신... 시드니한국문화원, ‘김치’ 주제 요리경연 개최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