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주택소유임대).jpg

집을 소유하는 것과 임대하는 것 중 어느 것이 경제적으로 더 나은 선택일까? RBA의 결론은 만약 부동산 가격이 지난 60년 동안과 같은 속도로 증가한다면 임차인들보다는 부동산 소유주들이 더 나은 결과를 얻을 것으로 분석했다.


호주 중앙은행 분석... 현재의 가격상승률이라면 매입할 시점

부동산 가격 인상, ‘과거 평균보다 낮은 비율’ 전망 많아

 


무주택자들에게 있어 지금이 주택을 구입해야 하는 시기일까, 아니면 임대주택을 이용하는 것이 더 경제적일까?

 

호주 중앙은행(the Reserve Bank of Australia, 이하 RBA)에서 금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집을 ‘소유’해야 한다는 호주의 전통적인 인식이 잘못된 것일 수도 있다.

RBA의 결론은, 만약 부동산 가격이 지난 60년 동안과 같은 속도로 증가한다면 임차인들보다는 부동산 소유주들이 더 나은 결과를 얻는다.

 

보고서에 따르면 “만약 주택가격이 과거 평균 상승속도보다 서서히 증가한다면, 일부 전문가들은 주택 소유가 임대보다 재정적으로 더 나은 결과를 가져올 것”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만약 부동산 가격 상승 속도가 완만하다면 진정한 승자는 임차인이다.

 

전 부동산 에이전트인 마틴 베어드(Martin Beard)씨는 이러한 소식을 듣고 기뻤다. 그는 11년간 뉴타운(Newtown)에서 집을 임대해 살고 있으며 당장 부동산을 구입하는 데에는 관심이 없다.

그는 “나는 엄청난 돈이 집에 묶여 있는 것을 보았다”고 전하며 “나는 기본적으로 빚이 없는 삶을 즐기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우리는 모든 것이 가까이에 있는 지역의 큰 집에서 살고 있다. 이 집은 큰 거실이 있고 보안시설이 된 차고도 있다. 나는 이러한 삶에 타협하고 만족한다”고 덧붙였다.

55세의 베어드씨는 과거 이너 웨스트(inner west) 지역에 3~4개의 주택을 가지고 있었지만 현재는 상황이 변했다.

 

“내가 처음 주택을 구매했을 때는 1만 달러의 예치금과 모기지는 상대적으로 엄청 적은 금액이었다”면서 “내가 생각했을 때 내 수입에는 큰 변화가 있을 것 같지는 않다. 하지만 현재 부동산 가격은 천문학적인 수치”라고 말했다.

 

36세의 직업 채용관인 다니엘 풀(Daniel Poole)과 29세의 모니카 깁슨(Gibson)씨는 지난 5월 자신들의 생애 첫 부동산을 구입했으며, 주택시장에 과감하게 뛰어 든 것에 대해 후회하지는 않는다.

 

그들은 어스킨빌(Erskineville)에 위치한 침실 두 개의 세미 주택을 구입하기 위해 86만5천 달러를 대출받아야 했다. 이 금액은 지난 5년간 본다이(Bindi) 지역의 유닛에서 한 달에 2600달러 이상을 지불하고 생활할 때보다 주거와 관련해 더 많은 지출이다. 하지만 그들은 현재 다른 저축도 하고 있다.

 

그는 “나는 여전히 일을 하고 있으며 생활비는 비슷하다. 이 지역의 집값은 본다이보다 약간 저렴하고 시티를 오가는 교통비도 더 적게 든다”고 설명했다.

 

RBA는 집을 소유할 경우 주택과 관련된 다양한 비용이 발생하지만 임차인들은 카운슬 비용, 이자 비용, 구입 가격 등과 같은 비용에서 자유롭다고 분석했다.

 

이번 보고서는 무수한 비교가 이루어졌지만 호주 국내에만 초점을 맞췄으며, 광범위하고 크게 개선된 정보들을 사용하여 많은 이들의 관심을 집중시킨다.

 

RBA는 이 보고서가 주택을 구매하여 직접 거주 하는 사람들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주택 투자자들을 배제하고 있어 약간의 제한이 있다고 설명했다. RBA는 또 안정적인 거주 기간, 소유자들의 자신감, 수리에 대한 자유로움과 같은 비금전적인 이익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주택 임대료 상승이 매년 2.5%를 밑돌았다면 실질적인 주택가격(인플레이션 적용 후)은 소유자들을 위해 과거 평균 상승률을 유지해야 한다.

 

보고서는 “만약 현재와 같은 속도의 부동산 가격 상승이 계속된다면 부동산이 꽤 가치 있다는 것으로 평가된다”고 분석하며 “하지만 많은 부동산 관계자들은 부동산 가격 성장이 과거 평균보다 낮은 비율로 인상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한다. 이 경우에는 현재의 가격, 임대료, 금리를 따져 봤을 때 평균적인 가정은 부동산을 구입하는 것 보다 임대하는 것이 재정적으로 더 나은 선택”이라고 설명했다.

 

만약 실제 부동산 가격이 매년 2.4% 상승한다고 가정할 때 부동산 소유자들은 집을 8년 이상만 보유하면 임차인들보다 재정적으로 더 나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하지만 만약 부동산 가격인 1.7% 상승한다면 주택 보유자들은 30년 이상 주택을 소유해야만 임차인들보다 더 경제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레인 앤 혼 뉴타운(Raine & Horne Newtown)의 제라드 힐(Gerard Hill) 대표는 “오랫동안 주택을 임대해서 살고 있는 사람들은 부동산 가격이 재조정되기를 기다리고 있다”고 설명하며 “하지만 그들도 이러한 부동산 거품이 몇 년간은 지속될 것으로 보고 있다”고 전했다.

 


정영혁 기자

yhchung@koreanherald.com.au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54 호주 시드니문화원, ‘케이팝 커버댄스 페스티벌’ 호주 본선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21.09.16.
253 호주 시드니한국문화원, <The Calligrapher's Daughter>로 ‘9월 북클럽’ 개최 file 호주한국신문 21.09.16.
252 호주 민주평통 아태지역회의, 첫 운영위원회 개최 file 호주한국신문 21.09.23.
251 호주 시드니한인회, “ ‘이웃과의 나눔’ 협조한 각계 인사들에게 감사한다” file 호주한국신문 21.09.23.
250 호주 가언과 진언 사이- 5 file 호주한국신문 21.09.23.
249 호주 한글날 및 한호 수교 60주년 기념, ‘한글 손글씨’와 함께 file 호주한국신문 21.09.23.
248 호주 시드니한국문화원, 전통음악 재해석한 ‘Travel of Korea’s Sound’ 마련 file 호주한국신문 21.09.30.
247 호주 다문화 국가에서의 인종혐오, 그에 대한 대응의 어려움은… file 호주한국신문 21.10.07.
246 호주 가언과 진언 사이- 6 file 호주한국신문 21.10.07.
245 호주 주시드니총영사관, 제20대 대통령 재외선거 신고신청 접수 개시 file 호주한국신문 21.10.07.
244 호주 시드니한국교육원, 호주 3개 주에서 한국어능력시험 실시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1.
243 호주 한인 차세대들이 보는 법률-정치 분야 비전과 제안은... 호주한국신문 21.10.21.
242 호주 가언과 진언 사이- 7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1.
241 호주 한-호 수교 60주년 계기, 호주국립대학교 내에 ‘코리아 코너’ 문 연다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8.
240 호주 호주 등 각국 한인동포들, ‘재외동포청(처) 신설 촉구’ 서명운동 전개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8.
239 호주 차세대 젊은이들의 역량 강화, "본인 능력 배양에 커뮤니티 지원도 필요" file 호주한국신문 21.11.04.
238 호주 오지라퍼의 세상사 참견- 6 호주한국신문 21.11.04.
237 호주 주시드니총영사관 ‘민원실 방문예약제’ 실시 방침 호주한국신문 21.11.11.
236 호주 지방선거 나서는 한정태 후보, "차세대 정치인 육성 필요하다..."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1.
235 호주 김치의 무한 변신... 시드니한국문화원, ‘김치’ 주제 요리경연 개최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