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통행인, 석궁으로 위기 상황 모면시켜

 


금주 화요일(15일) 센트럴 코스트(Central Coast)에서 도끼를 든 남성의 공격을 받는 사람을 한 행인이 석궁을 쏘아 피하게 하여 목숨을 구한 영화 같은 장면이 연출됐다.

 

수요일(16일) ABC 방송은 이날 공격을 당하던 남성이 랩톱 컴퓨터를 들고 있었으며 한 공격자가 도끼로 그의 머리를 가격하기 직전 행인이 석궁을 쏘아 랩톱 컴퓨터에 맞추어 위기의 남성을 공격으로부터 피하게 했다고 전했다.

 

경찰을 인용 보도한 방송에 따르면 이날 오후 1시30분경 56세의 남성은 소머스비(Somersby) 소재 도슨 드라이브(Dawson Drive) 상에 있는 자택의 자동차 진입로(driveway) 앞에 서 있었고, 누군가 그에게 석궁을 발사했다. 한 남자가 도끼를 들고 이 남성의 머리를 가격하려 할 때였다.

 

통행자가 쏜 석궁 화살은 아슬아슬하게 남성을 비껴 그가 들고 있던 랩톱 컴퓨터에 맞았고, 이로서 치명적인 도끼 공격을 피할 수 있었다.

이어 통행인은 남자의 공격을 멈추게 하고 56세의 남성을 구해냈다.

 

이 사건을 수사하는 존 고다드(John Goddard) 형사는 “석궁은 이 남성을 피하게 하기 위해 랩톱 컴퓨터를 맞추었다”면서 “공격자는 이 남성에게 달려들어 도끼로 머리를 가격하려 했다”고 말했다.

 

고다드 형사는 이어 “이 짧은 시간 동안의 싸움에 56세의 남성을 지원하는 위치에 (석궁을 쏘아 피하도록 한) 다른 남성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피해 남성은 병원으로 옮겨져 머리의 상처를 꿰매는 치료를 받았다.

 

경찰은 이날 현장에서 56세의 남성을 공격한 49세의 남자를 체포했으며, 살인 미수 및 폭행 혐의로 기소했다.

경찰은 당시 체포된 남자가 칼과 쇠줄을 들고 있었다고 말했다.

 

고다드 형사는 56세의 남성을 구한 통행자는 영웅적인 행동을 했다고 말했다.

그는 “당시 상황에서 아주 용감한 행위였으며 분명 위험한 상황이었다”면서 “그의 지원이 있어 다행이었다”고 말했다.

 

한편 56세의 남성이 왜 공격을 받았는지, 이 남성을 구한 통행인이 누구인지는 아직 드러나지 않았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54 호주 시드니문화원, ‘케이팝 커버댄스 페스티벌’ 호주 본선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21.09.16.
253 호주 시드니한국문화원, <The Calligrapher's Daughter>로 ‘9월 북클럽’ 개최 file 호주한국신문 21.09.16.
252 호주 민주평통 아태지역회의, 첫 운영위원회 개최 file 호주한국신문 21.09.23.
251 호주 시드니한인회, “ ‘이웃과의 나눔’ 협조한 각계 인사들에게 감사한다” file 호주한국신문 21.09.23.
250 호주 가언과 진언 사이- 5 file 호주한국신문 21.09.23.
249 호주 한글날 및 한호 수교 60주년 기념, ‘한글 손글씨’와 함께 file 호주한국신문 21.09.23.
248 호주 시드니한국문화원, 전통음악 재해석한 ‘Travel of Korea’s Sound’ 마련 file 호주한국신문 21.09.30.
247 호주 다문화 국가에서의 인종혐오, 그에 대한 대응의 어려움은… file 호주한국신문 21.10.07.
246 호주 가언과 진언 사이- 6 file 호주한국신문 21.10.07.
245 호주 주시드니총영사관, 제20대 대통령 재외선거 신고신청 접수 개시 file 호주한국신문 21.10.07.
244 호주 시드니한국교육원, 호주 3개 주에서 한국어능력시험 실시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1.
243 호주 한인 차세대들이 보는 법률-정치 분야 비전과 제안은... 호주한국신문 21.10.21.
242 호주 가언과 진언 사이- 7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1.
241 호주 한-호 수교 60주년 계기, 호주국립대학교 내에 ‘코리아 코너’ 문 연다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8.
240 호주 호주 등 각국 한인동포들, ‘재외동포청(처) 신설 촉구’ 서명운동 전개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8.
239 호주 차세대 젊은이들의 역량 강화, "본인 능력 배양에 커뮤니티 지원도 필요" file 호주한국신문 21.11.04.
238 호주 오지라퍼의 세상사 참견- 6 호주한국신문 21.11.04.
237 호주 주시드니총영사관 ‘민원실 방문예약제’ 실시 방침 호주한국신문 21.11.11.
236 호주 지방선거 나서는 한정태 후보, "차세대 정치인 육성 필요하다..."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1.
235 호주 김치의 무한 변신... 시드니한국문화원, ‘김치’ 주제 요리경연 개최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