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아트마켓2).jpg

‘옥스포드 스퀘어 아트 마켓’ 개설을 주도한 동포영화인 김시우 감독. 그는 “시드니의 많은 예술가들이 자신들의 예술을 선보이며, 친목을 다지고 정보를 교류하며, 새로운 예술 활동을 할 수 있는 기회를 넓혀감으로써 이것이 SIFF(Sydney Intercultural Film Festival)의 기반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말했다.

 

동포 영화인 김시우 감독 주도, 매주 토요일 Oxford Square 일부 구간서

 


시드니 도심 한복판에 ‘아트 마켓’(Art Market) 개장이 확정된 가운데 이 마켓 개설을 주도하는 이가 지난해 11월 제1회 시드니 국제영화제(Sydney Intercultural Film Festival, 이하 SIFF)를 개최한 동포영화인 김시우 감독이라는 사실이 알려져 호주 예술계에서도 화제가 되고 있다.

 

이번 토요일(26일)부터 매 토요일마다 시드니 옥스퍼드 스퀘어(Oxford Square)에서 폴리 스트리트(Foley Street)까지 약 100m의 구간에서 열리게 될 아트 마켓의 공식 명칭은 ‘옥스퍼드 스퀘어 아트 마켓’(Oxford Square Arts Market, 이하 아트 마켓)이다. 김 감독은 이미 시티 오브 시드니(City of Sydney) 카운슬 허가는 물론 적극적인 지원 약속까지 확보한 상태이다.

 

김 감독은 이번 아트 마켓 개설의 취지에 대해 “시드니의 많은 예술가들이 자신의 예술을 소개하고 친목은 물론 정보를 교류하며, 새로운 예술 활동을 할 수 있는 기회를 넓혀가는 의미에서 시작하게 됐다”고 전했다. 아울러 지난해 영화제 기간에 전개했던 시네마 파크(Cinema Park)를 대체한 행사이기도 하다.

 

아트 마켓에는 약 50개의 스톨이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 반까지 운영될 예정이다. 이곳에서는 다양한 예술품뿐만 아니라 예술가들이 직접 제작한 액세서리, 의류, 기념품들로 채워지며 오후 2시부터 5시 반까지는 음악, 댄스, 마술 등 문화 공연으로 구성된다. 또한 저녁 6시부터는 세계 각국의 영화가 상영되며 누구나 관람이 가능하다.

 

김시우 감독은 “예술가들의 참여는 물론 예술과 관련된 어떤 물품의 판매도 가능하다”고 전했다.

 

김 감독은 이어 “이번 아트 마켓은 또한 예술인들의 교류의 장이란 목적뿐만 아니라 시드니국제 영화제의 상시 홍보 무대로 활용, 내년 3월에 열릴 예정인 제2회 SIFF가 1회 때보다 내용 면에서 알차고 또 더 많은 관객들이 참여하는 성공적인 영화제로 정착하기 위한 사전 작업이기도 하다”고 말했다.

 

그는 “현재 아트 마켓에 대한 많은 예술가들의 문의가 끊이지 않고 있다”며 “아트 마켓에 모인 많은 예술가와 시민들에게 SIFF를 소개한다면 제2회 SIFF 역시 많은 호주 예술가들과 영화계 인사들의 참여를 끌어낼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한 김 감독은 “아트 마켓을 프랑스 파리의 몽마르트와 같은 곳으로 만들고 싶다”는 포부를 밝히기도 했다. 파리의 몽마르트는 언덕은 많은 관광객들이 찾은 프랑스의 대표 명소이다. 몽마르트 언덕이 유명한 것은 샤크레쾨르 성당에서 파리 시가지를 한눈에 내려다 볼 수 있는 멋진 장소이기도 하지만 더 큰 이유는 예술가들의 천국으로 불리기 때문이다. 무명의 예술가들이 모여들면서 자신들의 작품을 팔기 위해 자연스럽게 시장이 들어섰고 다양한 예술을 손쉽게 접할 수 있어 관광객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고 있다.

 

그는 “시드니의 아트 마켓이 몽마르트 언덕과 같이 활성화 되면 일자리가 창출되고 지역 경제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김 감독은 아트 마켓의 활성화를 위해 초기에는 예술가들에게 스톨을 무료로 대여 할 계획이며 또한 자비를 들여 아트 마켓을 홍보하고 있다.

 

김 감독은 “지난해 SIFF를 처음 개최할 때 많은 어려움이 있었고, 실제로 많은 이들은 영화제가 도중에 중단될 것이라고 예상하기도 했지만, 150여 편의 영화를 시드니 곳곳의 영화관에서 상영하며 성공적으로 마쳤다”면서 “이번 아트 마켓 또한 성공할런지 실패할런지는 누구도 장담할 수 없지만 실패와 성공을 확률적으로 계산한다면 예술작품처럼 어떤 명작도 탄생되지 못할 것”이라고 말한다.

 

“다만, 큰 이벤트들을 진행한 경험이 풍부하고 담대한 성격”이라는 그는 “주위에서 불가능하다고 이야기하는 것들에 대한 어려움을 담담히 헤쳐 나갈 수 있기에 예술인들이 융합되는 계기를 만들고 싶다”고 강조했다.

 

‘옥스퍼드 스퀘어 아트 마켓’에 대한 보다 자세한 정보는 페이스북(facebook) 전용 페이지인 http://www.facebook.com/OxfordSquareArtMarket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현재 자원봉사자도 모집 중에 있다.

 


정영혁 기자

yhchung@koreanherald.com.au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54 호주 시드니문화원, ‘케이팝 커버댄스 페스티벌’ 호주 본선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21.09.16.
253 호주 시드니한국문화원, <The Calligrapher's Daughter>로 ‘9월 북클럽’ 개최 file 호주한국신문 21.09.16.
252 호주 민주평통 아태지역회의, 첫 운영위원회 개최 file 호주한국신문 21.09.23.
251 호주 시드니한인회, “ ‘이웃과의 나눔’ 협조한 각계 인사들에게 감사한다” file 호주한국신문 21.09.23.
250 호주 가언과 진언 사이- 5 file 호주한국신문 21.09.23.
249 호주 한글날 및 한호 수교 60주년 기념, ‘한글 손글씨’와 함께 file 호주한국신문 21.09.23.
248 호주 시드니한국문화원, 전통음악 재해석한 ‘Travel of Korea’s Sound’ 마련 file 호주한국신문 21.09.30.
247 호주 다문화 국가에서의 인종혐오, 그에 대한 대응의 어려움은… file 호주한국신문 21.10.07.
246 호주 가언과 진언 사이- 6 file 호주한국신문 21.10.07.
245 호주 주시드니총영사관, 제20대 대통령 재외선거 신고신청 접수 개시 file 호주한국신문 21.10.07.
244 호주 시드니한국교육원, 호주 3개 주에서 한국어능력시험 실시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1.
243 호주 한인 차세대들이 보는 법률-정치 분야 비전과 제안은... 호주한국신문 21.10.21.
242 호주 가언과 진언 사이- 7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1.
241 호주 한-호 수교 60주년 계기, 호주국립대학교 내에 ‘코리아 코너’ 문 연다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8.
240 호주 호주 등 각국 한인동포들, ‘재외동포청(처) 신설 촉구’ 서명운동 전개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8.
239 호주 차세대 젊은이들의 역량 강화, "본인 능력 배양에 커뮤니티 지원도 필요" file 호주한국신문 21.11.04.
238 호주 오지라퍼의 세상사 참견- 6 호주한국신문 21.11.04.
237 호주 주시드니총영사관 ‘민원실 방문예약제’ 실시 방침 호주한국신문 21.11.11.
236 호주 지방선거 나서는 한정태 후보, "차세대 정치인 육성 필요하다..."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1.
235 호주 김치의 무한 변신... 시드니한국문화원, ‘김치’ 주제 요리경연 개최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