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여론조사 스캔).jpg

탄소세가 폐지됐음에도 불구하고 지난 7월17일(목)부터 19일(토)까지 전국 1400명의 유권자들을 대상으로 실시된 여론 조사에서 자유-국민 연립정당과 애보트(Tony Abbott) 정부의 지지도가 지난 6월 조사에 비해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료 : Fairfax Media.


양당 선호도 조사에서도 54-46으로 노동당 앞서

 


토니 애보트(Tony Abbott) 수상인 지난 주, 오랜 논란 끝에 상원에서 탄소세 폐지 법안을 가결했음에도 불구, 자유-국민 연립의 지지도는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3개월 연속 야당의 빌 쇼튼(Bill Shorten) 대표 선호도가 애보트 수상을 앞섰다.

 

애보트 수상에 대한 신뢰성 평가는 조 호키(Joe Hockey) 장관이 처음으로 예산안을 발표한 이후 최저인 35%로 떨어졌다.

 

재무부 장관 선호도 조사에서는 지난 3월 조 호키 장관이 노동당의 크리스 보웬(Chris Bowen) 야당 내각 재무 관련 의원을 17% 포인트 앞섰으나 이번 예산안에 연료세를 비롯해 GP 진료비 7달러 개인부담 등으로, 7월 여론조사에서는 선호도가 떨어지면서 단 1% 포인트 앞선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지지도 붕괴는 연방 예산안이 발표된 이후 나타난 것으로 분석됐다.

 

시드니 모닝 헤럴드 등을 발행하는 페어펙스(Fairfax)와 여론조사기관과 닐슨(Nielsen)이 공동으로 실시한 이번 여론조사는 7월17일(목)부터 19일(토)까지 전국 1400명의 유권자들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자유-국민 연립 정당과 노동당의 양당 선호도 조사에서는 54% 대 46%로 노동당이 연립 정당을 앞질렀으며, 선거가 치러진 작년 9월 이래로 약 7.5%의 지지도가 노동당으로 옮겨간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여론조사 기간이었던 지난 17일(목) 밤에는 36명의 호주인이 탑승하고 있던 말레이시아 항공기 MH 17편이 우크라이나 동부에서 격추 당해 추락했다.

 

이후 이번 사건에 대한 애보트 수상의 대처가 많은 국민들에게 호응을 얻었지만 이러한 대처가 이번 설문조사 결과에는 반영되지 않았다.

 

애보트 수상의 지지율은 지난 6월 이후 약간 올랐지만 그의 국정 운영과 관련해 ‘잘하고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38%, ‘잘못하고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56%로 ‘잘못하고 있다’는 응답자가 18% 포인트 높았다.

 

이에 반해 야당인 노동당 쇼튼 대표의 국정 운영과 관련해서는 ‘잘하고 있다’는 응답이 41%, ‘잘못하고 있다’는 응답은 44%로 비록 ‘잘못하고 있다’는 응답이 높지만 애보트 수상과 같이 차이는 크지 않았다.

 

애보트 수상과 쇼튼 대표 양자 지지도 조사에서는 41% 대 46%로 쇼튼 대표가 5% 포인트 위를 점하고 있다.

 

존 스틸톤(Jhon Stirton) 여론 조사 전문가는 “이번 결과는 현 집권 정부와 애보트 수상에게 안 좋은 소식”이라며 “애보트 수상은 집권 이후 8개월 만인 지난 5월 야당 대표의 지지율에 밀렸으며, 이는 폴 키팅(Paul Keating) 전 수상을 제외하고 가장 빠른 속도로 지지율이 야당 대표에게 역전당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줄리아 길라드(Julia Gillard) 전 수상은 취임 13개월 이후에야 선호도가 추월당했고 케빈 러드(Kevin Rudd) 전 수상은 한 번도 야당 대표에게 뒤진 적이 없으며 존 하워드(Jhon Howard) 전 수상의 지지율 역시 21개월 동안 야당 대표에게 앞섰었다”고 덧붙였다.

 

이번 조사에서 응답자들에게 “애보트 수상과 쇼튼 대표 중 누가 더 ‘강력한 지도자’인가”를 묻는 설문에서는 애보트 수상이 7% 포인트 앞섰다.

하지만 국정운영 능력 부문에서는 쇼튼 대표가 애보트 수상에 비해 5% 포인트 높았고, 신뢰성 부문에서도 10% 포인트 앞선 우위를 보였다.

 

반면 애보트 수상은 ‘호주 미래를 위한 비전’ 문제에 대해 54% 대 37%, 외교 문제 부문에서는 43% 대 38%로 쇼튼 대표를 앞섰다.

 

경제정책 부문에서는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사회정책 부분에서는 58% 대 43%로 유권자들은 쇼튼 대표의 손을 들어줬다.

 

한편 유권자들의 약 2/3 정도는 양당을 변화 없이 신임하며 외부적인 요인에 영향을 받지 않고 두 지도자들을 신뢰한다는 반응이었다.

 


정영혁 기자

yhchung@koreanherald.com.au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614 호주 한-호 수교 60주년 계기, 호주국립대학교 내에 ‘코리아 코너’ 문 연다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8.
2613 호주 가언과 진언 사이- 7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1.
2612 호주 한인 차세대들이 보는 법률-정치 분야 비전과 제안은... 호주한국신문 21.10.21.
2611 호주 시드니한국교육원, 호주 3개 주에서 한국어능력시험 실시 file 호주한국신문 21.10.21.
2610 호주 주시드니총영사관, 제20대 대통령 재외선거 신고신청 접수 개시 file 호주한국신문 21.10.07.
2609 호주 가언과 진언 사이- 6 file 호주한국신문 21.10.07.
2608 호주 다문화 국가에서의 인종혐오, 그에 대한 대응의 어려움은… file 호주한국신문 21.10.07.
2607 호주 시드니한국문화원, 전통음악 재해석한 ‘Travel of Korea’s Sound’ 마련 file 호주한국신문 21.09.30.
2606 호주 한글날 및 한호 수교 60주년 기념, ‘한글 손글씨’와 함께 file 호주한국신문 21.09.23.
2605 호주 가언과 진언 사이- 5 file 호주한국신문 21.09.23.
2604 호주 시드니한인회, “ ‘이웃과의 나눔’ 협조한 각계 인사들에게 감사한다” file 호주한국신문 21.09.23.
2603 호주 민주평통 아태지역회의, 첫 운영위원회 개최 file 호주한국신문 21.09.23.
2602 호주 시드니한국문화원, <The Calligrapher's Daughter>로 ‘9월 북클럽’ 개최 file 호주한국신문 21.09.16.
2601 호주 시드니문화원, ‘케이팝 커버댄스 페스티벌’ 호주 본선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21.09.16.
2600 호주 오지라퍼의 세상사 참견- 5 호주한국신문 21.09.16.
2599 호주 호주 한인 청년 포함된 신예 아이돌 ‘루미너스’ 돌풍 file 호주한국신문 21.09.16.
2598 호주 시드니 한국문화원, ‘위글스’와 함께 하는 특별 영상 콘텐츠 제작 file 호주한국신문 21.09.09.
2597 호주 동포단체 관계자들, 하반기 활동계획 밝혀 file 호주한국신문 21.09.09.
2596 호주 한인 청소년 정체성-리더십 함양 위한 민족캠프 교육 시작 file 호주한국신문 21.09.09.
2595 호주 가언과 진언 사이-4 file 호주한국신문 21.09.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