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수용소).jpg

지난 3년간 크리스마스 섬(Christmas Island)의 난민수용소에 억류되었거나 현재 구금되어 있는 이들에 대해 연방 정부의 보상을 청구하는 집단소송이 제기됐다. 멜번 소재 로펌인 을 ‘Maurice Blackburn Lawters’가 진행하는 이번 집단소송의 대표 고소인은 6살 난 소녀이다. 사진은 크리스마스 섬의 난민수용소 모습.

 

연방 이민부 및 장관 대상... 녹색당도 지원 입장 밝혀

 


크리스마스 섬(Christmas Island)의 난민수용소에 억류되어 있는 난민신청자들의 처우 문제에 대한 집단 소송이 제기됐다.

 

지난 8월26일(화) ABC 방송 보도에 따르면 멜번(Melbourne) 소재 대형 로펌인 ‘모리스 블랙번 로이어스’(Maurice Blackburn Lawyers)는 이날 크리스마스 섬 난민수용소의 6살 소녀를 대신해 연방 이민부와 스콧 모리슨(Scot Morrison) 장관을 대상으로 소송을 제기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집단소송은 연방 정부가 난민신청자에 대한 적절한 의료 서비스 및 취학 아동의 학교 입학 조치를 취하지 못한 점이 핵심이다.

 

모리스 블랙번의 제이콥 바기스(Jacob Varghese) 변호사는 이번 집단소송은 또한 지난 3년간 크리스마스 섬에 수용된 임신 여성 및 부상자에 대한 보상도 포함된다고 밝혔다.

 

바기스 변호사는 “지난 달 말 기준으로 크리스마스 섬에는 총 334명의 난민신청자가 있었고 이중 148명이 아동이었다”고 말하며 “이번 소송은 지난 3년간 이 섬의 수용소에 있었던 모든 사람을 커버하는 것이므로 잠재적 청구인은 수천에 이를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 다른 변호사 케이티 로버트슨씨에 따르면 신원을 밝히지 않은 대표 고소인은 ‘AS’라는 이름의 6살 난 소녀이며 크리스마스 섬 수용소에 1년 이상 수용되어 있는 상태이다.

 

로버트슨 변호사는 “6살 난 소녀는 부모와 함께 난민신청자로 호주에 도착한 뒤 곧바로 어머니가 본토(mainland)의 수용소에 이송됨에 따라 ‘이별불안’(separation anxiety. 유아가 어머니로부터 분리될 때의 심리 상태)으로 극심한 고통을 받고 있다”면서 “이 때문에 소녀는 야뇨증 및 말 더듬증을 갖게 됐다”고 말했다.

그녀는 이어 “소녀는 말 더듬증 치료를 위해 전문의 예약을 한 상태이지만 1년 이상 대기자로 기다리고 있을 뿐”이라고 덧붙였다.

 

로버트슨 변호사에 따르면 소녀는 이 같은 질병뿐 아니라 외상 후 장애(post-traumatic disorder), 극도의 우울증과 불안증으로 대안적 진료가 필요하다는 진단을 받은 상태이다.

로버트슨 변호사는 “약 한 달쯤 전 소녀를 만났을 때 극도의 슬픔과 정신적 장애(특히 충격적 경험으로 인한)로 나를 심하게 거부하기도 했다”고 말했다.

 

바기스 변호사는 “모리슨 블랙번은 크리스마스 섬 수용소에 억류된 이들에 대한 보상, 그리고 이들이 본토 안의 지역사회 난민 센터로 이송되도록 하는 데 초점을 두고 집단소송을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민부와 장관(스콘 모리슨)은 크리스마스 섬에 억류된 난민신청자를 돌봐아야 할 의무가 있다”면서 “연방 정부는 수용자에 대한 적절한 의료 서비스, 취학아동의 학교 입학 등 다양한 상황에서 수용자에게 제공해야 할 의무를 위반했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바기스 변호사는 이번 집단소송을 통해 요구할 보상 수준에 대해서는 아직 밝힌 단계가 아니라고 말했다.

 

이번 집단소송에 대해 녹색당(Green Party)은 이를 지원하겠다는 입장이다. 녹색당은 “이번 집단소송은 난민신청자를 왜 지역사회로 보내지 않는지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녹색당 야당 내각의 이민부 담당인 사라 핸슨-영(Sarah Hanson-Young) 의원은 “아이들은 수용소에서 매일 큰 상처를 입고 있다”고 주장하면서 “정부가 일찍이 이들에 대한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했다면 이번 보상 청구를 위한 집단소송도 불필요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미 유엔난민위원회 등으로부터 너무 긴 시간의 난민자 억류 및 이들에 대한 처우 문제 등에 대한 지적이 나온 가운데 이번 집단소송이 어떤 결과를 가져올는지 주목되고 있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534 호주 외교부, “호주 입국금지 조치 사전 협의 없었다”…호주 대사초치 입국금지 항의 호주브레이크.. 20.03.05.
2533 호주 코로나19사태 축구계 강타, ACL(아시아 챔피언스리그) 일정 불투명 톱뉴스 20.03.05.
2532 호주 NSW 주, 운전 중 휴대전화 사용 본격 단속 중 톱뉴스 20.03.05.
2531 호주 김진향 개성공업지구지원재단 이사장 호주 방문...강연회 및 간담회 개최 톱뉴스 20.03.05.
2530 호주 ‘대구-경북 돕기’ 모금 벌이는 시드니 한인회 file 호주한국신문 20.03.05.
2529 호주 약사의 독감 예방접종 허용 나이 16세에서 10세로 낮춘다 file 호주한국신문 20.03.05.
2528 호주 NSW 정부... “온라인 DA 신청 제도 압도적 성공” file 호주한국신문 20.03.05.
2527 호주 호주, 결국 “한국 여행 금지” 국가에 추가! 교민들 “당황스럽다” 반응 호주브레이크.. 20.03.05.
2526 호주 85년 역사지닌 호주 AP통신 폐간 ”한국 언론사에 미칠 파장“ 호주브레이크.. 20.03.05.
2525 호주 호주 시드니, 한인 상가 "임대료 인하 절실!" 코로나19로 상권 반토막… 호주브레이크.. 20.03.04.
2524 호주 “알아서 자가 격리 하라”는 호주 보건부... ‘묵묵부답’ 대한항공 시드니 지점 호주브레이크.. 20.03.04.
2523 호주 호주 시드니서 ‘한국 다녀온 60대 여성’ 확진 판정! 4명 추가 확진, ‘확진자’ 총 35명… 호주브레이크.. 20.03.03.
2522 호주 호주, 대형마트 ‘사재기 극성’…“라면휴지 등 생필품 구하기 어렵다” 호주브레이크.. 20.03.03.
2521 호주 <속보>호주, ‘코로나 바이러스’ 사람간 전염 첫 사례 발생! “해당지역 교민들 주의 당부” 호주브레이크.. 20.03.02.
2520 호주 “마스크 쓰고 있으려면 집밖으로 나오지마”…호주서 바이러스로 인한 인종차별 호주브레이크.. 20.02.28.
2519 호주 호주 총리 발표에 교민불안 가중! "영사관 등 실시간 입출국 정보 공유 해야"... 호주브레이크.. 20.02.27.
2518 호주 What's on in Sydney this weekends? file 호주한국신문 20.02.27.
2517 호주 “간접흡연에 안전한 레벨은 없다”... 식당도 손님도 벌금 file 호주한국신문 20.02.27.
2516 호주 주차 도우미 앱 ‘PARK'NPAY’를 아시나요? file 호주한국신문 20.02.27.
2515 호주 CASS, 코로나 바이러스 무료강연 호주한국신문 20.0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