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모스크 총격).jpg

금주 월요일(3일) 총기공격 사건이 발생한 시아파 무슬림의 기도 홀. 사원 관계자들이 기도 홀 입구에서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경찰도 IS 테러 위협 가능성 배제... 동기는 아직 미확인

 


금주 월요일(3일) 이른 아침 그린에이커(Greenacre)의 이슬람 사원 밖에서 총기를 발사하는 것으로 이어진 두 남성의 싸움은 단지 서로간의 감정 문제였던 것으로 보인다고 ABC 방송이 한 취재원의 말을 인용, 보도했다.

 

이슬람 사원에서의 총격 사건이 발생하면서 당국은 IS(Islamic State)에 의한 테러 공격에도 비중을 두고 조사를 벌여왔다.

이 사건으로 얼굴과 어깨에 총알을 맞은 47세의 남성은 긴급 수술을 받았다.

 

사건 피해자의 한 친구는 “총격이 있기 전 몇 명의 남자들이 차를 몰고 ‘후세인얏 알나비아라크람 협회’(Houssaineyat-Alnabialakram Association) 앞을 몇 차례 왔다 갔다 했었으며, 이들은 ‘IS는 영원하다’, ‘사아파 개XX들’이라며 모욕적인 고함을 질렀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이 지역사회의 한 취재원은 ABC 방송에서 “그린에이커 총격은 사원 내 파벌과 관련, 개인적인 갈등에서 빚어진 것”이라고 말했다.

ABC 방송 취재원에 따르면 총격 피해자인 47세의 남성과 신원을 알 수 없는 가해자는 사건 발생 전날인 일요일(2일) 밤 언쟁을 벌였고, 그것이 총격으로 이어졌다는 것이다.

 

경찰은 이미 이번 총기공격과 IS와의 연관성을 배제했다. 다만 총격을 가한 명확한 동기는 알아내지 못한 상태이다.

 

이번 총격 피해자의 다른 한 친구는 피해자가 가족과 함께 있는 상태에서 가해자가 총기를 발사했다고 말했다.

그는 “피해자가 집으로 가다 사원으로 다시 돌아왔고, 이어 사원을 청소하는 가운데 가족들이 보는 앞에서 총을 맞았다”고 사건 당시 상황을 설명했다. 이어 “피해자의 아내는 그 자리에서 기절했다”고 덧붙였다.

 

이번 사건의 또 다른 증인은 피해자와 다른 시아파 커뮤니티 사람들은 총격이 발생하기 전 함께 모여 기도를 하기 위해 이슬람 센터에 있었다고 경찰에 말했다. 이어 그는 “이는 사람이 할 짓이 아니다”며 “그렇게 한다 해도 우리가 두려워하지 않을 것임을 그들(공격자)에게 말해주고 싶다”고 덧붙였다.

 

사건 당시 함께 있던 피해자의 딸은 “총격이 나고 아버지는 목을 잡은 채 사원 안으로 뛰어들어갔다”고 진술했다. 그녀는 “무슨 일이 일어난 건지 한 동안 얼떨떨해 있었고 그 동안 내가 본 것은 아버지의 머리와 목이 온통 피범벅이 되어 있었다는 것뿐”이라고 말했다.

 

한편 금주 수요일(5일) 아침, 토니 애보트(Tony Abbott) 수상은 이번 총격사건에 대해 “호주에서 영향력을 가지려는 IS 테러그룹의 한 사례가 될 수도 있을 것”이라며 우려를 표했다.

수상은 “우리는 몇 주 전 멜번에서 (IS 추종자로 보이는 인물이) 두 명의 경찰관에게 공격을 가하는 것을 분명히 보았다”면서 “이번에 시드니에서 발생한 총격은 ISIL의 죽음 숭배 영향인 듯하다”고 말했다.

 

수상은 이어 “중요한 것은 우리(호주인) 모두가 이 같은 죽음 숭배를 완벽하게 거부해야 한다”면서 연방 정부는 호주 국내 및 해외에서의 새롭고 치명적인 위협에 대응해 왔다고 강조, 어떤 행위이든 용납하지 않을 것임을 분명히 했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74 호주 총영사관, 11월 케언즈, 다윈 순회영사 공지 file 호주한국신문 19.11.14.
473 호주 <2019년 전문가에게 듣는다> 세미나 성황리 개최 file 호주한국신문 19.11.14.
472 호주 대한민국 국세청 세무설명회 file 호주한국신문 19.11.14.
471 호주 "비영리단체들, 스포츠 관련 연방정부 보조금 신청하세요" file 호주한국신문 19.11.14.
470 호주 "재외 선거인 등록하세요" file 호주한국신문 19.11.14.
469 호주 베레지클리안 주총리 NSW 전역에 산불 '비상사태' 선언 file 호주한국신문 19.11.14.
468 호주 제40차 한국-호주 경제협력위원회 시드니서 개최…‘쌍무적 관계의 새로운 도표’ 톱뉴스 19.11.19.
467 호주 시드니 경로잔치, 400여명 어르신들 행복한 하루 톱뉴스 19.11.19.
466 호주 경북 여성단체협의회-대경향우회 임원 간담회 톱뉴스 19.11.19.
465 호주 21대 총선 재외선거 신고신청 17일부터 시작 톱뉴스 19.11.19.
464 호주 위안부 할머니들 위한 ‘진실과 정의 그리고 기억’ 톱뉴스 19.11.19.
463 호주 노경은과 배지환, 호주프로야구리그 ‘질롱코리아’ 합류 톱뉴스 19.11.19.
462 호주 “들꽃처럼! 불꽃처럼!”... 광복회, <순국선열의 날> 행사 개최 file 호주한국신문 19.11.21.
461 호주 11월26일(화) 국세청 세무설명회 열린다 file 호주한국신문 19.11.21.
460 호주 "457비자 스폰서 명목의 임금 착취는 명백한 불법입니다" file 호주한국신문 19.11.21.
459 호주 제19기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호주협의회 공식 출범 file 호주한국신문 19.11.21.
458 호주 멜버른 한인여행사 ‘임금 체불’로 40만불 벌금 톱뉴스 19.11.26.
457 호주 “통일의 당위성, 역사적 배경보다 경제적 이득 차원에서 찾아야” 톱뉴스 19.11.26.
456 호주 민주평통 19기 호주협의회 ‘출범’…임기 2년 147명 위촉장 전수 톱뉴스 19.11.26.
455 호주 총영사관, 12월 브리즈번 순회영사 공지 file 호주한국신문 19.1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