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교육정책).jpg

NSW 주 교육부가 TAFE 수준의 자격을 갖춘 사람들을 2020년까지 적어도 50%까지 증가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지만 예산 부족으로 지원금이 감소, 이 목표 달성에 차질을 빚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사진은 시드니 지역의 한 TAFE.


예산 부족으로 지원금 줄여... 청년 직업교육 한계 노출

 


정부가 교육 부문 예산을 제한하겠다는 결정이 교육 및 직종 트레이닝을 받는 NSW 거주민 수를 늘리려는 목표에 차질을 초래하는 것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지난 주 금요일(30일) 시드니 모닝 헤럴드는 정부 감사관(Auditor-General)이 이 같은 사실을 발견했다고 보도했다.

 

NSW 주 정부는 오는 2020년까지 TAFE(Technical and Further Education) 수준의 자격을 갖춘 주민 비율을 50%까지 증가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는 정부의 우선순위 중 하나이며 ‘주 계획’의 일부분이다.

 

하지만 감사원의 조사 결과 정부가 이 목표를 달성할 가능성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NSW 주에서 직업 자격을 보유한 사람은 성인의 58% 정도이며 이는 지난해 소폭 감소한 수치다. 주 정부가 2020년까지 80%의 목표 수치에 도달하는 것이 어려워 보이는 이유다.

 

감사원은 보고서를 통해 이 같은 수치 감소가 정부의 교육 및 트레이닝 예산 제한에 따라 지원금을 크게 줄인 데서 기인한다고 지적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NSW 주의 직업교육에 대한 예산은 지난 10년 동안 동일한 수준이었으며, 오직 퀸즐랜드(Queensland)만이 같은 기간 동안 소폭 증가했다.

 

녹색당 존 케이(John Kaye) 의원은 이 보고서가 TAFE 교육의 질을 살펴보는데 실패했다고 지적했다. 사실 TAFE는 주 정부 개혁의 일환으로 대량 감원을 진행했고 약 1200개의 일자리가 사라졌다. 그는 “보고서는 완전히 일자리 삭감과 관련한 TAFE 데이터를 완전히 무시한다”며 “트레이닝의 질과 교육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능력이 완전히 무시되고 있다”고 말했다.

 

NSW 주 교육부 아드리안 피콜리(Adrian Piccoli) 장관실 대변인은 “정부는 여전히 2020년 목표를 달성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며 “NSW 예산을 관리하는 방법은 정확히 납세자들이 기대하는 것”이라고 반박했다. 대변인은 이어 “2014년 12월 우리는 2015년 교육 예산 6천만 달러를 추가했다”고 덧붙였다.

 

보고서에서는 추가로 100% 자비로 진행되는 TAFE 코스에 등록한 학생들의 비율이 빠르게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처럼 TAFE 등록 학생수는 지난 5년 동안 40% 증가한 반면 정부 보조금 과정의 학생 수는 20% 하락했다고 말했다.

 

주 정부는 교육 시장의 성장 점유율을 사립대학에 넘겨주고 있으며 학교를 떠나 다른 교육을 받는 젊은 사람들의 비율을 크게 늘리는데 실패했다. 이 수치는 10년간 약 73%로 꾸준히 유지되고 있으며, 2020년까지 90%까지 확대시키겠다는 게 목표였다.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14 호주 연락두절 북한 유학 호주청년 가족 '우려' 증폭 톱뉴스 19.07.02.
613 호주 안영규 호주한인총연 2대 회장 당선 톱뉴스 19.07.02.
612 호주 시드니에서 <2019 대양주 취업박람회> 개최된다 file 호주한국신문 19.07.04.
611 호주 호주 초-중등학생들, 한국 국악에 매료... file 호주한국신문 19.07.04.
610 호주 한국 현대미술 전시 및 퍼포먼스, 호주 관객 사로잡다 file 호주한국신문 19.07.04.
609 호주 광복장학회, 독립유적자 탐방 대학생 선발 file 호주한국신문 19.07.04.
608 호주 북한 억류 알렉 시글리 석방에 스웨덴 결정적 역할 톱뉴스 19.07.09.
607 호주 ‘중저소득층 $1,080 세금 환급 혜택’ 톱뉴스 19.07.09.
606 호주 호주 한인사회 체육계 인사, 대한체육회 ‘정책 자문위원’에 위촉 file 호주한국신문 19.07.11.
605 호주 2019 세계 한국어 웅변대회 호주 예선 …초중고대학생 40명 참가 톱뉴스 19.07.16.
604 호주 “호주 음악의 달링” 한인가수 임다미, 호주 전국투어 펼친다 file 호주한국신문 19.07.18.
603 호주 시가 1천만 달러 ‘필로폰’ 운반 한인 2인조 운반책 12년 실형 톱뉴스 19.07.23.
602 호주 서호주 퍼스에 한국전 참전 기념비 건립 추진 톱뉴스 19.07.23.
601 호주 범죄 피해 한국인 유학생에게 쏟아진 ‘온정의 손길’ 톱뉴스 19.07.23.
600 호주 총영사관, 8월 브리즈번, 골드코스트 순회영사 호주한국신문 19.07.25.
599 호주 “호주 학교에 한국문화 알리러 직접 찿아갑니다“ file 호주한국신문 19.07.25.
598 호주 이유극단 <누구세요? 누구라구?> 공연 file 호주한국신문 19.07.25.
597 호주 광복회, 제5회 <청소년 민족캠프> 참가학생 모집 file 호주한국신문 19.07.25.
596 호주 시드니 한인회 제32대 윤광홍-박윤식 회장단 공식 출범 file 호주한국신문 19.07.25.
595 호주 시소추 ‘제7차 세계 일본군 위안부 기림일 주간’ 행사 톱뉴스 19.07.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