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경전철 1).jpg

반 세기 전인 1961년 시드니 동부 지역 운행을 끝으로 로젤(Rozelle)의 전차 차고에 잠들어 있던 전차. ‘bonez’또는 ‘babs was here’ 등의 그래피티(graffiti)가 그대로 남아 있는 이 전차가 시드니 도심 전차운행 계획에 따라 부활을 시작했다.


도심 전차 노선 구축 계획으로, 2019년부터 운행

 


시드니의 마지막 전차가 시드니 동부 지역 운행을 끝으로 막을 내린 것은 반 세기 전이다. 이 전차는 당시 시드니 사람들(Sydneysiders)의 주요 도심 교통수단이었다.

 

지난 주 목요일(29일), 대중교통 수단을 자동차와 버스로 대체했던 NSW 주 정부에 의해 퇴출(?)됐던 그 시대의 마지막 전차가 로젤(Rozelle)이 전차 차고에서 부활의 여행을 시작했다고 금요일(30일) 시드니 모닝 헤럴드가 보도했다.

 

신문은 낡고 여기저기 찌그러진 채 제멋대로 휘갈긴 ‘bonez' 또는 'babs was here' 등의 그래피티(graffiti)가 그대로 남아 있는 이 전차는 지난 주 목요일 ‘조지 스트리트 : 2020년 계획’에 따라 다시금 전차 시대로의 시작을 알렸다고 전했다.

 

1920년대, 시드니 전차는 남반구에서 가장 큰 노선을 자랑했다. 그런 만큼 시드니 도심 전역은 물론 교외 지역까지 전차는 흔히 볼 수 있는 풍경이었다.

4년 후인 2019년부터, 미래 대중교통이라는 21세기 새 버전으로서 전차가 시드니 도심 조지 스트리트(George Street)에서 킹스포드(Kingsford) 안작 퍼레이드(Anzac Parade) 구간에서 운행을 시작할 예정이다.

 

시드니 카운슬(City of Sydney) 계획안에 따르면 전차는 조지 스트리트 4미터가량의 보행자 구간과 도로 시설물이 있는 플렉스 존(flex-zone)을 따라 운행하게 된다. 비록 2015년의 최신 시설로 단장을 하지만 이 루트는 이미 1920년대 만들어져 있었다.

 

시드니 카운슬 클로버 무어(Clover Moore) 시장은 “이 같은 변환은 조지 스트리트 상의 비즈니스와 소매점들을 번창시켜 세계적 수준의 거리로 만드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도심 조지 스트리트에서 킹스포드까지 이어지는 전차 노선 건설 비용은 21억 달러가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며, 2019년 완공한다는 방침이다.

 

시드니 전차회(Sydney Tramway Society)의 해롤드 클락(Harold Clark) 회장은 “그 기반시설은 오늘날 이 도시에 큰 차이를 만들었을 것”이라며 “우리는 세계적 수준의 시스템을 갖고 있었지만 우리는 당시 유행이 시작된 자동차와 버스로 대중교통 수단을 대체해 전차 시스템을 포기했다”고 말했다.

 

지난 1961년 마지막으로 운행한 시드니 전차에 탑승했었다는 클라크 회장은 시드니의 마지막 빈티지 전차를 방치해 부식하게 만든 것을 후회한다고 했다.

 

그는 “이제 시드니 전차 노선이 새로이 복구되면서 멜번(Melbourne)의 도심 순환 라인이나 샌프란시스코(San Francisco)의 케이블 카처럼 시드니의 환상적인 관광코스로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14 호주 연락두절 북한 유학 호주청년 가족 '우려' 증폭 톱뉴스 19.07.02.
613 호주 안영규 호주한인총연 2대 회장 당선 톱뉴스 19.07.02.
612 호주 시드니에서 <2019 대양주 취업박람회> 개최된다 file 호주한국신문 19.07.04.
611 호주 호주 초-중등학생들, 한국 국악에 매료... file 호주한국신문 19.07.04.
610 호주 한국 현대미술 전시 및 퍼포먼스, 호주 관객 사로잡다 file 호주한국신문 19.07.04.
609 호주 광복장학회, 독립유적자 탐방 대학생 선발 file 호주한국신문 19.07.04.
608 호주 북한 억류 알렉 시글리 석방에 스웨덴 결정적 역할 톱뉴스 19.07.09.
607 호주 ‘중저소득층 $1,080 세금 환급 혜택’ 톱뉴스 19.07.09.
606 호주 호주 한인사회 체육계 인사, 대한체육회 ‘정책 자문위원’에 위촉 file 호주한국신문 19.07.11.
605 호주 2019 세계 한국어 웅변대회 호주 예선 …초중고대학생 40명 참가 톱뉴스 19.07.16.
604 호주 “호주 음악의 달링” 한인가수 임다미, 호주 전국투어 펼친다 file 호주한국신문 19.07.18.
603 호주 시가 1천만 달러 ‘필로폰’ 운반 한인 2인조 운반책 12년 실형 톱뉴스 19.07.23.
602 호주 서호주 퍼스에 한국전 참전 기념비 건립 추진 톱뉴스 19.07.23.
601 호주 범죄 피해 한국인 유학생에게 쏟아진 ‘온정의 손길’ 톱뉴스 19.07.23.
600 호주 총영사관, 8월 브리즈번, 골드코스트 순회영사 호주한국신문 19.07.25.
599 호주 “호주 학교에 한국문화 알리러 직접 찿아갑니다“ file 호주한국신문 19.07.25.
598 호주 이유극단 <누구세요? 누구라구?> 공연 file 호주한국신문 19.07.25.
597 호주 광복회, 제5회 <청소년 민족캠프> 참가학생 모집 file 호주한국신문 19.07.25.
596 호주 시드니 한인회 제32대 윤광홍-박윤식 회장단 공식 출범 file 호주한국신문 19.07.25.
595 호주 시소추 ‘제7차 세계 일본군 위안부 기림일 주간’ 행사 톱뉴스 19.07.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