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알자지라 기자).jpg

이집트 당국의 허락 없이 테러리스트 활동과 관련된 뉴스를 보도한 점을 문제삼아 7년 형을 선고받고 이집트 감옥에 수감됐던 호주출신 피터 그레스트 기자가 금주 목요일(5일) 새벽 1시, 브리즈번(Brisbane) 공항에 도착한 뒤 환영 나온 이들에게 두 손을 펼쳐 보이고 있다.


이집트 정부 추방 조치로... 어제(목) 새벽 브리즈번 공항 도착

 


테러 단체 지지 혐의로 이집트 정부에 의해 체포돼 감금돼 있던 알자지라(Al Jazeera) 소속 호주인 기자 피터 그레스트(Peter Greste)씨가 이집트 정부의 추방 조치에 따라 금주 목요일(4일) 오전 1시경 브리즈번 공항으로 귀국했다.

 

그레스트 기자의 석방은 억류 400여일 만이다. 그레스트 기자는 이날 공항에서 자신을 기다리던 동료 기자들, 지지자들을 향해 두 손을 치켜들며 자신의 귀국을 알렸다.

 

그레스트 기자는 지난 2013년 12월 이집트 정부가 테러단체로 지정한 ‘무슬림형제단’을 지지하고 허위 정보를 퍼뜨렸다는 혐의로 알자지라 동료기자인 파흐미(Fahmy, 이집트-캐나다 이중국적), 모하메드(Mohamed, 이집트 국적)씨와 함께 체포돼 400일 넘게 이집트에 억류됐었다.

 

당시 이들 세 기자는 금지된 무슬림 그룹을 지지했다는 구체적인 증가 부족에도 불구, 중형이 내려서 국제 사회의 공분을 샀었다. 재판을 통해 그레스트 및 파흐미 씨는 7년을 선고받았으며 총기 소지 혐의를 받은 모하메드 씨는 10년을 선고받았다.

 

그레스트 기자는 금주 월요일(2일) 이집트 토라 교도소(Tora Prison)에서 석방된 직후 형 마이클(Michael)과 함께 비행기에 탑승했다. 그레스트 기자의 어머니는 아들의석방 소식을 듣고 “얼마나 행복한지 말로 설명할 수 없다”며 “오늘이 왔다는 것이 믿기 어렵고, 매우 고맙다는 말을 하고 싶다”고 밝혔다.

 

그레스트 기자의 아버지도 “두 아들이 사이프러스(Cyprus)에서 맥주와 돼지고기를 즐기고 있으며 피터가 호주에 도착하면 아마 새우를 먹길 원할 것”이라며 기쁜 마음을 전했다.

 

이집트 대통령은 지난해 통과한 법안에 따라 이집트 국가 안보에 이익이 되는 경우 외국인 피고인 또는 재소자를 추방할 수 있는 권한을 갖게 됐다. 이에 따라 지난해 11월, 이집트 대통령은 범죄 혐의를 바고 있는 외국인을 추방할 것을 발표했고 그레스트 씨가 먼저 석방된 후 파흐미 씨 역시 추방되었지만 총기를 소지하고 있던 이집트 국적의 모하메드 씨는 여전히 감옥에 남아있는 상태다.

 

줄리 비숍(Julie Bishop) 이교 장관은 그레스트 기자의 석방에 도움을 준 호주 정부, 언론 및 대중에 감사의 뜻을 표했으며 정부의 요청에 따라 도움을 준 이집트 정부에도 감사를 표했다.

장관은 “나는 개인적으로 이집트 외무 장관과 구두 및 서면으로 대화를 나누었고 이집트 대통령에게도 이야기했다”고 설명했다.

 

그레스트 기자의 형 앤드류(Andrew)씨는 브리즈번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그레스트는 그동안 밀폐된 공간에 있었고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에 대해서도 제한된 정보만 갖고 있었다”며 “그를 지원하기 위해 많은 캠페인이 진행됐다”고 밝혔다.

 

가족들은 피터를 자유로운 몸으로 만들기 위한 캠페인이 도전과제였다고 입을 모았다. 앤드류씨는 “피터의 동료들이 여전히 교도소에 수감돼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레스트의 아버지는 “아들을 다시 볼 수 있어 좋다”며 “그러나 피터는 동료들을 걱정하고 있다”고 말했다.

 

앤드류 씨는 “그레스트를 지지하고 그의 석방을 위해 도움을 준 모든 이들에게 고마움을 표하고 싶다”고 강조했다. 이번 그레스트 씨의 추방으로 언론의 주목을 받고 있는 알자지라 기자는 이집트에 수감된 16명의 언론인 중 3명이며 아직까지 이집트에는 여전히 학생, 학자, 변호사 등 적어도 1만 6천 명의 정치범이 수감되어 있다.

 


박혜진 기자 hjpark@koreanherald.com.au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14 호주 연락두절 북한 유학 호주청년 가족 '우려' 증폭 톱뉴스 19.07.02.
613 호주 안영규 호주한인총연 2대 회장 당선 톱뉴스 19.07.02.
612 호주 시드니에서 <2019 대양주 취업박람회> 개최된다 file 호주한국신문 19.07.04.
611 호주 호주 초-중등학생들, 한국 국악에 매료... file 호주한국신문 19.07.04.
610 호주 한국 현대미술 전시 및 퍼포먼스, 호주 관객 사로잡다 file 호주한국신문 19.07.04.
609 호주 광복장학회, 독립유적자 탐방 대학생 선발 file 호주한국신문 19.07.04.
608 호주 북한 억류 알렉 시글리 석방에 스웨덴 결정적 역할 톱뉴스 19.07.09.
607 호주 ‘중저소득층 $1,080 세금 환급 혜택’ 톱뉴스 19.07.09.
606 호주 호주 한인사회 체육계 인사, 대한체육회 ‘정책 자문위원’에 위촉 file 호주한국신문 19.07.11.
605 호주 2019 세계 한국어 웅변대회 호주 예선 …초중고대학생 40명 참가 톱뉴스 19.07.16.
604 호주 “호주 음악의 달링” 한인가수 임다미, 호주 전국투어 펼친다 file 호주한국신문 19.07.18.
603 호주 시가 1천만 달러 ‘필로폰’ 운반 한인 2인조 운반책 12년 실형 톱뉴스 19.07.23.
602 호주 서호주 퍼스에 한국전 참전 기념비 건립 추진 톱뉴스 19.07.23.
601 호주 범죄 피해 한국인 유학생에게 쏟아진 ‘온정의 손길’ 톱뉴스 19.07.23.
600 호주 총영사관, 8월 브리즈번, 골드코스트 순회영사 호주한국신문 19.07.25.
599 호주 “호주 학교에 한국문화 알리러 직접 찿아갑니다“ file 호주한국신문 19.07.25.
598 호주 이유극단 <누구세요? 누구라구?> 공연 file 호주한국신문 19.07.25.
597 호주 광복회, 제5회 <청소년 민족캠프> 참가학생 모집 file 호주한국신문 19.07.25.
596 호주 시드니 한인회 제32대 윤광홍-박윤식 회장단 공식 출범 file 호주한국신문 19.07.25.
595 호주 시소추 ‘제7차 세계 일본군 위안부 기림일 주간’ 행사 톱뉴스 19.07.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