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어번 시니어위크).jpg

NSW 주 시니어 위크를 맞아 어번 카운슬이 지역사회 고령자들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마련했다.


고령화 세대 행복 구현 일환... 26개 활동 프로그램 장려

 


NSW 주 시니어 위크(Senior's Week. 3월14일부터 시작)를 맞아 어번 카운슬이 고령화 세대를 위한 ‘행복한 노년 계획’ 프로그램을 발표했다.

이는 카운슬이 고령화 세대의 왕성한 활동을 장려하기 위한 것으로, ‘Age Friendly Auburn City’라는 주제로 오는 14일부터 26일까지 26개의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어번 카운슬이 마련한 이번 프로그램은 △건강하고 활동적인 고령화 시대 △지역사회 내 고령화 세대들의 교류 △커뮤니티와의 연계 △고령자 안전 등 네 가지 목표를 구현한다는 취지이다.

 

어번 카운슬은 오는 2023년까지 어번 지역 65세 이상 고령 인구가 1만 명에 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이는 어번 카운슬 지역 전체 인구의 10%에 달하는 수치이다.

 

이번 ‘행복한 노년 계획’ 프로그램은 이 같은 전망에 따라 카운슬이 현 고령화 세대는 물론 미래 세대를 위한 ‘고령자 친화형’ 지역사회의 기틀을 만들어나간다는 것으로, 이번 시니어 위크의 프로그램들은 이 계획의 중요한 과정이기도 하다.

 

어번 카운슬의 로니 웨익(Ronney Oueik) 시장은 “올해 시니어 위크에 펼쳐지는 프로그램은 지역사회 모든 이들을 위한 것”이라며 “우리 지역의 고령자를 위한 다양하고 활동적인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장려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웨익 시장은 이어 “이번 시니어 활동 프로그램 가운데는 운동, 정원가꾸기, 음악회, 컴퓨터 강좌 등 매년 시니어 위크에 펼쳐지는 프로그램은 물론 하모니 데이 이벤트, 콘서트, 레바니스 BBQ 즐기기, 어번 지역의 문화적 건축물 투어 등이 마련되어 있다”고 소개하면서 “이 같은 프로그램은 우리 지역의 문화적 다양성을 직접 확인하고 즐길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특히 웨익 시장은 이번 시니어 위크를 기해 카운슬이 마련한 ‘어번 시니어 위크 엑스포’를 언급하면서 이 프로그램에서는 고령 세대의 건강을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한다고 소개했다.

 

아울러 다문화 화합의 날(Harmony Day Multicultural), 각 연령층이 한 자리에서 즐기는 세대간 오찬(Intergenerational Luncheon) 행사도 마련된다.

웨익 시장은 “카운슬이 마련한 모든 프로그램은 무료이거나 아주 적은 비용으로 참여가 가능하다”며 일부 프로그램의 경우 조기에 예약이 마감될 수 있다고 말했다.

 

어번 카운슬의 이번 시니어 위크 프로그램은 이 지역 기반의 ‘IRT-Lifestyle and Care’ 및 ‘DOOLEYS’ 후원으로 진행된다. 프로그램에 관한 보다 자세한 사항은 어번 카운슬 웹사이트(auburn.nsw.gov.au) 또는 전화(9735 1378)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194 호주 “인도네시아 정부 입장 신중히 검토...” 호주한국신문 15.02.26.
2193 호주 경찰, 여성 및 청소년 지하디스트 증가 추세 ‘우려’ 호주한국신문 15.02.26.
2192 호주 총살형 현장 지켜봤던 한 사제의 증언 호주한국신문 15.02.26.
2191 호주 NSW 등서 토니 애보트 지지도 다시 회복 호주한국신문 15.02.26.
2190 호주 “3.1절은 역사상 가장 감격적인 날...” 호주한국신문 15.03.06.
2189 호주 호주-한국 월남전참전 전우들, 한 자리에 호주한국신문 15.03.06.
» 호주 어번 카운슬, ‘시니어 위크’ 프로그램 발표 호주한국신문 15.03.06.
2187 호주 “호주 부동산 해외투자자, 대거 이탈할 수도...” 호주한국신문 15.03.06.
2186 호주 부동산 붐 힘입어 호주 백만장자 크게 늘어 호주한국신문 15.03.06.
2185 호주 호주 중앙은행, 기준금리 현행 유지 결정 호주한국신문 15.03.06.
2184 호주 ‘위기의 남자’ 토니 애보트 수상, 기사회생? 호주한국신문 15.03.06.
2183 호주 주 정부, 파워하우스 박물관 이전 계획 밝혀 호주한국신문 15.03.06.
2182 호주 독버섯 잘못 채취, NSW 주서 10명 병원 입원 호주한국신문 15.03.06.
2181 호주 자유당-노동당 대표 첫 정책 토론... 공방 가열 호주한국신문 15.03.06.
2180 호주 녹색당, “화이트헤이븐(Whitehaven) 광업 중단” 요청 호주한국신문 15.03.06.
2179 호주 흡연자 경고... 호주인 180만 명, 흡연으로 사망 호주한국신문 15.03.06.
2178 호주 ‘발리나인’ 사형수, ‘누사캄방간’으로 이감 호주한국신문 15.03.06.
2177 호주 위도도(Widodo) 대통령, “사형 집행, 이번 주는 아니다” 호주한국신문 15.03.06.
2176 호주 호주 정부, 막판까지 ‘발리나인’ 살리기 시도 호주한국신문 15.03.06.
2175 호주 부동산 규제 완화, 주택가격 폭등으로 성과 ‘미미’ 호주한국신문 15.0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