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마약 전쟁 1).jpg

호주인들의 불법 마약사용이 크게 확대되고 있는 상황에서 애보트(Tony Abbott) 수상이 마약과의 전쟁을 선포할 방침이다. 수상은 연방정부 산하 기관으로 ‘국가 마약전담반’(National Ice Taskforce)을 신설하고 전 빅토리아 경찰청 켄 레이(Ken Lay) 청장을 책임자로 임명했다.


국가 마약전담반(Ice Taskforce) 신설... 각 주 정부와 공조

 


토니 애보트(Tony Abbott) 수상이 불법 마약과의 전쟁을 선포했다.

애보트 수상은 금주 수요일(8일), 각 지역사회는 물론 개인의 삶을 파괴하는 불법 마약 유통이 늘고 있다면서 이 치명적 골칫거리를 근절하기 위한 ‘전쟁’을 벌이겠다고 발표했다.

 

애보트 수상은 전 빅토리아 경찰청 켄 레이(Ken Lay) 전 청장을 새로 신설된 ‘국가 마약전담반’(National Ice Taskforce) 책임자로 임명하고 수상은 물론 치안부 마이클 키넌(Michael Keenan) 장관, 보건부 피오나 나시(Fiona Nash) 장관 및 각 주, 테러토리 당국과 긴밀히 협조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애보트 수상은 국가 마약전담반으로 하여금 연방 및 각 주, 테러토리 정부와 함께 ‘국가 마약근절 전략’을 수립하고 빠르면 올해 중반까지 중간 보고서를 발표하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이날 애보트 수상은 이에 대한 성명을 통해 “지난 2011년부터 최근까지 박토리아 청찰청장을 지낸 켄 레이 전 청장이 최고 위원장으로서 마약전담반을 이끌어나갈 것”이라며 “전반적인 목표는 ‘아이스’(ice)로 알려진 메스암페타민(methamphetamine) 근절을 위한 기존의 노력을 재검토하고 마약관련 교육, 보건, 법 집행을 위한 체계적이고 포괄적이며 통합된 접근방식을 명확히 하는 것”이라고 정의했다.

 

수상은 이어 “정부는 최선을 다해 ‘아이스’ 퇴치를 위한 조치를 취하고 있지만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타겟 설정이 필요하다”면서 “이러한 계획이 지방 및 주 정부, 테러토리 차원에서 수행되는 가운데 연방정부가 마약 퇴치에서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통합된 지원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페어팩스 미디어는 최근 ‘아이스’로 불리기도 하는 메스암페타민 문제를 보도하면서 “개인의 삶을 뒤틀리게 하고 인생을 망치게 하는 불법 마약은 일부 지역의 경우 사회적 구조를 약화시키고 있다”는 키넌 전 청장의 말을 인용, 전한 바 있다.

 

보건 및 법 집행 당국은 ‘아이스’에 대해 다량 사용자의 경우 불안정하고 폭력성을 갖게 되며 정신건강은 물론 다른 건강 문제를 유발하는 극히 위험한 약물로 간주하고 있다.

실업률이 높은 일부 지역에서는 불법 마약 문제가 심각한 상황이며, 특히 삶의 기회가 제한된 젊은층은 마약의 유혹에 쉽게 빠질 가능성이 높다는 게 문제로 지적된다.

 

경찰 및 보건 당국이 우려하는 것은, ‘아이스’는 물론 여러 종류의 혼합된 불법 마약 소비경향이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다. 지난 달 발표된 호주 범죄위원회(Australian Crime Commission) 보고서에 따르면 호주인 130만 명 이상이 결정체 또는 분말 형태의 메스암페타민을 사용한 적이 있으며, 이 같은 사용 인구는 전 세계에서 가장 높은 수준으로 꼽힌다.

보고서는 또한 호주에서 위험성이 높다고 판단되는 범죄자들의 60%가 메스암페타민 거래에 관여하고 있다.

 

호주에서 메스암페타민의 길거리 가격(street price)은 1그램당 미화 500달러 수준으로, 이는 중국의 80달러와 크게 비교되는 수치이다. 이 때문에 전 세계 마약공급 조직이 호주 시장에 눈독을 들이는 실정이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774 호주 동포자녀 청소년 대상 ‘민족캠프’ 교육 개막 file 호주한국신문 18.10.11.
773 호주 대양주 지역 한글학교 교사들, 네트워크 도모 file 호주한국신문 18.10.11.
772 호주 호주 정원 디자이너 질 매튜스가 본 한국 정원의 매력 file 호주한국신문 18.10.11.
771 호주 한국문화원, NSW 지역 4개 학교서 한국문화 소개 file 호주한국신문 18.10.11.
770 호주 ‘주니어’ 탁구 대표 오수빈 선수, 내셔널 대회 ‘은메달’ file 호주한국신문 18.10.11.
769 호주 시드니 총영사관, 케언즈-다윈서 11월 순회영사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18.10.18.
768 호주 동포자녀 청소년들, ‘민족캠프’ 합숙 교육 마쳐 file 호주한국신문 18.10.18.
767 호주 호주한국학교 학생들, ‘다문화 미술공모전’ 입상 file 호주한국신문 18.10.18.
766 호주 한국문화원, ‘문화가 있는 날’ 기해 ‘젓가락 향연’ 개막 file 호주한국신문 18.10.18.
765 호주 광복회호주지회, 민족캠프 성료 톱뉴스 18.10.22.
764 호주 다문화미술공모전서 한인학생들 솜씨 뽐내 톱뉴스 18.10.22.
763 호주 시드니총영사관 국감 “워홀러 안전에 더 신경써야” 톱뉴스 18.10.22.
762 호주 시드니총영사관, QLD 주 공관 신설 필요성 강조 file 호주한국신문 18.10.25.
761 호주 현직 공무원에게 듣는 공공 서비스 분야 진출 노하우는... file 호주한국신문 18.10.25.
760 호주 2018 ‘Korean Festival’, 내일 이스트우드 파크서… file 호주한국신문 18.10.25.
759 호주 한인사회 대상 가정폭력엑스포 23일 개최돼 톱뉴스 18.10.27.
758 호주 "예술로 동해•독도 알린다"…K-클래식 대표 주자 '라메르에릴' 톱뉴스 18.10.27.
757 호주 서비스 NSW 생활비 지원 확대 실시…서민살림 나아질까? 톱뉴스 18.10.27.
756 호주 ‘제 17차 세계한상대회’ 개최…60개국 3,500여 기업인 참석 톱뉴스 18.10.27.
755 호주 시드니 총영사관, QLD 두 도시서 순회영사 활동 예정 file 호주한국신문 18.1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