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간판 1).jpg

‘글리브 아일랜드’(Glebe Island)의 사일로(silo. 큰 탑 모양의 곡식 저장소)에 만들어진 대형 광고판. 시티 카운슬은 호주 전역에서 가장 크고 임대료가 비싼 것으로 알려진 이 광고판을 철거해야 한다고 제안하고 있다.


월 임대료 25만 달러... 월 평균 200만 명에 노출

시티 카운슬, ‘글리브 아일랜드’ 재개발 제안서 제출

 


피어몬트(Pyrmont)에서 글리브(Glebe) 방향으로 안작브릿지(ANZAC Bridge)를 건너오다 보면 마주치게 되는 야외 광고판은, 호주는 물론 남반구(southern hemisphere)에서 가장 큰 야외 광고판으로 알려져 있다.

 

월 임대료만 25만 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안작브릿지를 이용하는 자동차 이용객들의 눈에 띌 수밖에 없는(?) 이 광고판이 조만간 철거될 것이라고 시티 카운슬(City of Sydney)이 밝혔다.

 

이 광고판은 문화유산(heritage-listed)에 등록된 ‘글리브 아일랜드’(Glebe Island)의 사일로(silo. 큰 탑 모양의 곡식 저장소)에 만들어져 있으며 지난 1990년대, 시드니 올림픽을 널리 알리기 위한 수단으로 처음 설치했다.

 

워낙 교통량이 많은 곳에 위치해 있어 매월 평균 200만 명의 운전자들이 안작브릿지를 건너며 이 광고판을 보는 것으로 추정된다.

 

지난 주 금요일(10일) 시드니 모닝 헤럴드는 현재 이 공간을 임대하고 있는 광고회사가 주 정부의 NSW 항만당국으로부터 향후 7년간 이 광고판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 주기를 원하고 있다고 전했다.

 

지난 2013년 말, ‘애드뉴스’(AdNews) 보고서에 따르면 이 광고판의 임대로는 호주 전역에서 가장 높으며, 28일간의 임대료만 25만 달러에 이른다.

그 동안 이 광고판을 장식한 회사는 NRMA, 폭스바겐(Volkswagen) 자동차, 삼성(Samsung) 등 세계적 브랜드였으며 보통 6개월 이상 예약이 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시드니 시티 카운슬은 이 광고판이 이제 미운 오리(outstayed its welcome)로 전락했다고 말한다. NSW 주 기획부에 제출된 제안서에서 시티 카운슬의 도시기획부 그라함 얀(Graham Jahn) 국장은 이 광고판의 본래 목적은 소멸되었고 이제 주 정부의 중요한 문화유산과 함께 영구 파손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그는 이 제안서 목적에 대해 “공공에 충분한 이익을 제공하지 못한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얀 국장은 제안서에서 “유일한 이익은 소비자에게 브랜드 이름을 인지시킨다는 기본 기능을 가진 광고업 조직의 매출원과 협력한 상업적 이익일 뿐”이라고 언급하면서 “이 광고판이 시드니 스카이라인의 영구 붙박이가 되어서는 안 된다”고 못박았다.

 

이른바 ‘항만구역’으로 불리는 발메인(Balmain), 로젤(Rozelle), 릴리필드(Lilyfield), 아난데일(Annandale), 글리브(Glebe) 및 피어몬트(Pyrmont)와 맞닿은 해안에 자리한 ‘글리브 아일랜드’는 현재 항구로서 기능하고 있으며 이 광고판에 설치되어 있는 사일로는 시멘트 및 설탕 저장고로 활용되고 있다.

 

시티 카운슬의 이 같은 제안과 달리 NSW 주 정부는 글리브 아일랜드가 여전히 산업구역으로 남아 있기를 바라고 있다.

 

라이카트 카운슬(Leichhardt Council)은 “(글리브 아일랜드의) 재개발은 면밀한 계획 하에 진행해야 할 것”이라며 “이 광고판을 그대로 유지하는 것은 역사유산으로서의 사일로를 무시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NSW 주 항만당국 대변인은 이 광고판의 임대비에 대해 언급을 피하며 “이에 대한 수치는 거래상의 비밀”이라고 덧붙였다.

 

시티 카운슬의 제안은 NSW 계획평가위원회에서 결정할 것으로 보인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774 호주 동포자녀 청소년 대상 ‘민족캠프’ 교육 개막 file 호주한국신문 18.10.11.
773 호주 대양주 지역 한글학교 교사들, 네트워크 도모 file 호주한국신문 18.10.11.
772 호주 호주 정원 디자이너 질 매튜스가 본 한국 정원의 매력 file 호주한국신문 18.10.11.
771 호주 한국문화원, NSW 지역 4개 학교서 한국문화 소개 file 호주한국신문 18.10.11.
770 호주 ‘주니어’ 탁구 대표 오수빈 선수, 내셔널 대회 ‘은메달’ file 호주한국신문 18.10.11.
769 호주 시드니 총영사관, 케언즈-다윈서 11월 순회영사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18.10.18.
768 호주 동포자녀 청소년들, ‘민족캠프’ 합숙 교육 마쳐 file 호주한국신문 18.10.18.
767 호주 호주한국학교 학생들, ‘다문화 미술공모전’ 입상 file 호주한국신문 18.10.18.
766 호주 한국문화원, ‘문화가 있는 날’ 기해 ‘젓가락 향연’ 개막 file 호주한국신문 18.10.18.
765 호주 광복회호주지회, 민족캠프 성료 톱뉴스 18.10.22.
764 호주 다문화미술공모전서 한인학생들 솜씨 뽐내 톱뉴스 18.10.22.
763 호주 시드니총영사관 국감 “워홀러 안전에 더 신경써야” 톱뉴스 18.10.22.
762 호주 시드니총영사관, QLD 주 공관 신설 필요성 강조 file 호주한국신문 18.10.25.
761 호주 현직 공무원에게 듣는 공공 서비스 분야 진출 노하우는... file 호주한국신문 18.10.25.
760 호주 2018 ‘Korean Festival’, 내일 이스트우드 파크서… file 호주한국신문 18.10.25.
759 호주 한인사회 대상 가정폭력엑스포 23일 개최돼 톱뉴스 18.10.27.
758 호주 "예술로 동해•독도 알린다"…K-클래식 대표 주자 '라메르에릴' 톱뉴스 18.10.27.
757 호주 서비스 NSW 생활비 지원 확대 실시…서민살림 나아질까? 톱뉴스 18.10.27.
756 호주 ‘제 17차 세계한상대회’ 개최…60개국 3,500여 기업인 참석 톱뉴스 18.10.27.
755 호주 시드니 총영사관, QLD 두 도시서 순회영사 활동 예정 file 호주한국신문 18.1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