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대테러 코디네이터).jpg

전 인도네시아 주재 호주 대사이자 정보분석가로 일했던 그렉 모리아티(Greg Moriarty. 사진 오른쪽)씨가 연방 정부의 강화된 대테러 정책에 따라 모든 관련 기관을 아우르는 코디네이터로 임명됐다. 정부 내 그의 직급은 수상보좌 장관급인 것으로 알려졌다. 금주 월요일(25일) 애보트(Tony Abbott) 수상이 그의 임명을 발표하고 있다.


대테러 관련 기관 통솔 코디네이터 임명, 시민권 박탈도 고려

 


근래 중동 지역의 IS(Islamic State) 테러 조직과 관련, 호주 내에서 극단 이슬람에 현혹된 자생적 테러 위험이 증가함에 따라 이에 대한 강력한 대처를 천명해 온 애보트(Tony Abbott) 수상이 올해 대테러 활동을 위해 10억 달러의 예산을 추가 배정한 가운데 금주 월요일(25일), 전 인도네시아 주재 호주 대사를 역임한 그렉 모리아티(Greg Moriarty)씨를 대테러 총괄 진행자(anti-terrorism coordinator)로 임명했다.

 

그 동안 대테러 활동은 호주 정보기관과 연방 경찰 및 각 주 정부가 공조, 진행해 왔으며, 정부가 테러 대책 총괄 진행자를 별도로 임명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외교관 출신인 모리아티 코디네이터는 이란 주재 호주 대사(3년), 인도네시아 주재 호주 대사로 4년간 자카르타(Jakarta)에 거주했으며, 대사로 부임하기 전 정보분석가로 일했었다.

또한 모리아티 코디네이터 임명 발표에서 애보트 수상은 “호주 안보 전반에 걸친 임무 진행에 있어 보다 강화된 역할”이라고 강조했다.

 

수상은 “이 게임(대테러 활동)에서 우리가 앞서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모리아티 코디네이터의 역할에 대해 “정보기관의 작전 방향을 설정하거나 중요한 기관의 역할은 아니지만 호주 국가안보에 대한 문제가 발생할 경우 대테러 활동과 관련된 모든 기관이 조직적으로 협력할 수 있도록 조정하는 권한을 갖게 된다”고 설명했다.

 

수상은 이어 “보다 진화되는 테러 위협에 앞서 대처해야 하며, 오늘 코디네이터 발표가 바로 이를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모리아티 코디네이터는 “진정 중요한 업무를 위해 준비하고 있었다”면서 “정보기관과 보안기관과의 더욱 협조적인 관계를 설정하고 또한 폭력적 극단주의자들에 대항하기 위한 중요한 활동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마이클 키넌(Michael Keenan) 치안부 장관은 코디네이터로 임명된 마리아티씨의 정부 내 직급에 대해 “수상의 대테러 정책을 보좌하는 장관급”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정부는 강화된 대테러 정책 일환으로 직접 테러 활동을 벌이거나 테러조직 지원 또는 선전에 가담한 이들에 대한 시민권을 박탈하는 조치도 취한다는 방침이다.

 

이에 대해 애보트 수상은 “정부가 의도적으로 무국적자로 만들려는 것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수상은 무국적자가 되는 이들에 대해 “시민으로 구성된 전체 공동체와 조화를 이루지 못하고 적군에 가담하는 사람들뿐 아니라 (호주라는) 이 나라와 우리(호주)의 삶의 방식, 호주라는 국가적 가치가 싫어 테러 조직에 가담하는 모든 이들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올해 초 자유-국민 연립 정부는 이중국적을 가진 이들이 테러 조직에 가담, 지원하거나 선전하는 경우 호주 국적을 박탈한다는 내용으로 ‘시민권 관련법’(Citizenship Act)을 개정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정부는 현재 이 법안 개정에서 이중국적자뿐 아니라 호주 단일 국적자도 포함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한편 정부의 이 같은 방안에 대해 야당인 노동당의 빌 쇼튼(Bill SHorten) 대표는 “관련 법안이 발표될 때까지 노동당은 입장 표명을 유보한다”는 방침이다.

 

다만 쇼튼 대표는 “우리(노동당)는 이법안의 세부 내용을 자세히 검토할 필요가 있으며, 아울러 새로운 법안이 국가를 위해 지속적이고 건설적인 기여를 보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애보트 수상에게 이에 대한 설명을 요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014 호주 어번 카운슬, ‘Fit for the Future’ 수용키로 호주한국신문 15.05.28.
2013 호주 프레드 나일 의원, 조기 전력민영화 결정 ‘경고’ 호주한국신문 15.05.28.
2012 호주 서리힐 미니사이즈 테라스하우스, ‘100만 달러’ 호주한국신문 15.05.28.
2011 호주 카운슬 합병 상원 조사, ‘합병’ 지연시킬 수도... 호주한국신문 15.05.28.
2010 호주 시드니 여성, 어린 두 자녀 버리고 IS 조직 합류 호주한국신문 15.05.28.
» 호주 토니 애보트 정부, 국내 자생 테러 대책 강화 호주한국신문 15.05.28.
2008 호주 “확대되는 빈부격차, 고소득자 세금 높여야...” 호주한국신문 15.05.28.
2007 호주 “호주, 교통 혼잡으로 연간 530억 달러 손실” 호주한국신문 15.05.28.
2006 호주 ‘악명’ IS 칼레드 샤로프 가족, 호주 귀국 모색 호주한국신문 15.05.28.
2005 호주 마틴 플레이스 린트 카페 인질범 사생활 드러나 호주한국신문 15.05.28.
2004 호주 주택가격 ‘버블’?... 상승세 멈추게는 못할 것 호주한국신문 15.06.04.
2003 호주 선관위, 백-방 후보에 당선증 수여 호주한국신문 15.06.04.
2002 호주 시드니한인회-한국소비자원, 업무협약 체결 호주한국신문 15.06.04.
2001 호주 한국문화원, 캠시 음식축제서 ‘한국 알리기’ 호주한국신문 15.06.04.
2000 호주 한국문화원, ‘Korean Language Week’ 계획 호주한국신문 15.06.04.
1999 호주 맥콰리대학 한국어 강좌, ‘시드니 세종학당’으로 호주한국신문 15.06.04.
1998 호주 어번 카운슬, ‘Refugee Camp in my Neighbourhood’ 추진 호주한국신문 15.06.04.
1997 호주 NSW 경찰, 수백 개 마약 제조실 수사 밝혀 호주한국신문 15.06.04.
1996 호주 NSW 주 정부의 ‘전력민영화’ 법안, 상원 통과 예상 호주한국신문 15.06.04.
1995 호주 호주인 150만명, 자신의 신부전증 자각 못해 호주한국신문 15.06.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