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폭력 1).jpg

‘여성 안전을 위한 국립조사연구소’(Australia's National Research Organisation for Women's Safety. ANROWS)의 분석 결과 200만 명 이상의 여성들이 남편 또는 남성 파트너에게 폭력 또는 성적 폭행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 안전 조사연구소’ 밝혀... 200만 명 이상 폭력에 시달려

 


수백만 명의 호주 여성들이 남성 파트너에게 폭행을 당하며 살아가는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 주 금요일(23일) ‘여성 안전을 위한 국립조사연구소’(Australia's National Research Organisation for Women's Safety. ANROWS)의 보고서를 인용, 시드니 모닝 헤럴드가 보도한 바에 따르면 200만 명이 넘는 호주 여성들이 남성 배우자나 파트너에 의해 폭행당한 적이 있으며, 50만 명의 여성들은 자녀가 폭행 장면을 보거나 들은 적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여자와 어린이에 대한 폭력 예방을 위한 주요 연구팀은 호주 통계청(ABS)에서 실시한 개인 안전에 대한 설문 조사에 참여한 남녀 응답자의 경험을 분석했다.

 

보고서에 의하면 여성 3명 중 1명은 살아가면서 신체적인 폭행을 당한 적이 있으며, 이러한 폭행의 대부분은 가정에서 발생하고 있다. 또한 여성은 성적 범죄에서 남성보다 매우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은 22명 중 1명만이 성적 폭력을 당했다고 답한 반면 여성은 5명 중 1명꼴이라는 것이다.

 

보고서의 저자인 페타 콕스(Peta Cox) 박사는 “폭력은 소수에게만 일어나는 일이 아니다”라며 “많은 사람들이 살아가면서 폭력을 경험하게 되는데, 이는 남은 삶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끼치게 된다”고 우려했다.

 

조사 결과, 220만 명의 여성은 남성 배우자나 파트너에게 폭행을 당한 적이 있으며, 폭행을 당한 10명 중 9명이 한 집에 거주하는 경우였다.

 

보고서는 또 부모가 가정에서 폭력을 휘두르는 것은 어린 나이의 자녀들에게 큰 영향을 미친다고 지적했다. 50만 명의 여성은 아이들이 부모의 폭행을 보거나 들었다고 답했으며, 40만 명의 여성은 임신 중 남성 배우자나 파트너에게 폭행당한 적이 있다는 반응이었다.

 

보고서를 작성할 당시 약 8만2천명의 여성은 현재의 폭력 남편 혹은 파트너와 헤어지기를 원하지만 그렇게 하지 못하고 있다고 답했다. 그 이유로, 12명 중 1명 꼴로 ‘딱히 갈 곳이 없어 폭력 남성에게로 돌아간다’는 것이었다. 반면 10명 중 7명은 폭력 남성과 헤어질 때 여성 쪽에서 집을 나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폭력으로 인해 집에서 나왔지만 이후에도 계속 폭행을 당했다는 응답자도 5명 중 2명꼴로 나타났다.

 

남편 또는 파트너와 살면서 최소 한 번 이상 성적 폭력을 당했다는 여성도 170만 명에 달했다. 조사 대상 여성 가운데 성폭행을 경험한 이들은 8만7800명으로 나타났으며, 가해자는 대부분 아는 남성이었다.

 

ANROWS의 헤더 낸카로우(Heather Nancarrow) 연구소장은 “여성에 대한 성적 폭력에 더 많은 관심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녀는 “사회는 가정폭력과 성적 폭력에 많은 주의를 쏟고 있지만 성적 파트너에 의한 성폭행에는 무심한 면이 있다”면서 “이번 조사를 통해 자신의 배우자나 파트너에게 폭행 이상의 성폭행을 당했다고 하는 많은 여성들의 응답은 충격적인 수치”라고 지적했다.

 


이은주 객원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214 호주 워킹홀리데이 비자, 연령 제한 변경 아직 없다 톱뉴스 17.07.23.
1213 호주 호주 폴리글롯 극단 ‘꼬불꼬불 스티키 미로’, 한국서 공연 톱뉴스 17.07.23.
1212 호주 한국은 요즘… 호주 관광 관심 ‘핫! 핫!’ 톱뉴스 17.07.23.
1211 호주 제주항공, 시드니까지 국제선 “확장” 톱뉴스 17.07.27.
1210 호주 시드니 지역 한식당 관계자 대상 교육 계획 호주한국신문 17.08.03.
1209 호주 올해 호주지역 ‘한국어 능력시험’, 10월21일 시행 호주한국신문 17.08.03.
1208 호주 시드니 총영사관, 주말한글학교 교장 간담회 가져 file 호주한국신문 17.08.03.
1207 호주 ‘독도사랑연합회’, 한국 전통 국악 통한 ‘독도 알리기’ file 호주한국신문 17.08.03.
1206 호주 “동포-청소년 대상 교양-문화 공간으로 확대할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17.08.03.
1205 호주 시드니 ‘시소추’, 내일(5일) ‘평화의 소녀상’ 개최 file 호주한국신문 17.08.03.
1204 호주 ‘제8회 호주한국영화제’, 작품 속에서 만나는 여덟 개의 색깔 file 호주한국신문 17.08.03.
1203 호주 한인 스케이터 꿈나무들의 당찬 첫걸음 톱뉴스 17.08.04.
1202 호주 호주대표팀 ‘다섯손가락’, ‘세계통일안보비전대회’서 우수상 수상 톱뉴스 17.08.04.
1201 호주 호주에 온, 해남 은숙씨네 ‘사철 밥상’ 톱뉴스 17.08.04.
1200 호주 안혜영 양, ‘세계한국어웅변대회’서 국무총리상 받아 톱뉴스 17.08.04.
1199 호주 시드니 스트라스필드 카운슬, 코리아 가든 전면 백지화 톱뉴스 17.08.07.
1198 호주 ‘Strathfield Partners’, 창립 20주년 기념행사 가져 file 호주한국신문 17.08.10.
1197 호주 현지 학생 대상 ‘한국어 집중 교육’ 위한 ‘하나센터’ 개원 file 호주한국신문 17.08.10.
1196 호주 한국문화원, 현지인들에 ‘한국 차’(Tea) 소개 예정 file 호주한국신문 17.08.10.
1195 호주 시소추, “소녀상 지키기 활동 계속하겠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0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