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한국학교 1).jpg

매년 ‘즐거운 한국문화 교실’을 진행하는 호주한국학교가 올해에는 특히 역할극을 통한 언어예절 교육에 집중, 큰 교육적 성과를 거둔 것으로 평가됐다.

 

호주한국학교, 10주간의 ‘즐거운 한국문화 교실’ 진행

 

한인 동포자녀들에게 한국어와 함께 문화 및 역사 교육을 통해 정체성 확립에 힘써온 호주한국학교(교장 상선희)의 연례 한국문화 체험 행사가 지난 3월부터 10주간에 걸쳐 ‘2017 즐거운 한국문화 교실’ 수업으로 진행됐다.

올해 ‘즐거운 한국문화 교실’은 한국어 사용에 대한 자신감을 높여주기 위해 모든 학급이 애국가 부르기와 함께 공통적으로 존댓말과 겸양어 등 기본 언어예절을 익히고 더불어 한국인으로서의 긍지와 정서 함양을 위해 학급별로 다양한 한국문화 종목을 선정, 배우는 시간으로 이어졌다.

특히 언어예절은 아침인사와 식사 때, 잠자기 전, 전화 받을 때, 집에서 나가고 들어올 때, 어른을 만날 때, 병문안 예절, 초대받았을 때, 소개할 때 등 갖가지 상황에서 한국어로 적절한 인사와 표현을 할 수 있도록 짧은 대화를 만들고 소품을 사용, 역할극(role play)을 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이와 함께 각 학급에서는 두 손 인사법, 전래동요, 한복 입고 절하기, 전통놀이(투호놀이, 수건돌리기, 줄다리기, 강강술래, 실뜨기, 제기차기, 공기놀이 등), 전통춤, 한국음식 배우기와 만들기, 동요 부르기, 한국의 명소, 한국의 인물(이순신) 등 다채로운 한국문화 수업이 실시됐다.

‘즐거운 한국문화 교실’은 지루하지 않게 매주 15분 정도씩 지속적으로 이어가면서 지난 주 토요일(27일)에는 학급별로 그 동안 배우고 익힌 것들을 발표하고 총정리 하는 시간을 가졌으며, 이번 토요일(3일)에는 소감문 쓰기 또는 그림 그리기 수업으로 ‘한국문화 교실’을 마치게 된다.

이번 문화교실 수업을 지도한 각 반 교사들은 “처음에는 아이들이 어색해했지만 매주 조금씩 변화되는 모습을 보며 언어예절의 중요성을 느낄 수 있었다”면서 “아이들이 한국문화뿐만 아니라 높임말을 사용하는 법, 어른을 공경 하는 법 등을 배울 수 있는 좋은 시간이었다”고 평가했다.

 

  • |
  1. 종합(한국학교 1).jpg (File Size:33.7KB/Download:25)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594 호주 시드니 한인천주교회 한글학교 학예회 열려 file 호주한국신문 17.06.15.
1593 호주 한국문화원, 한국 조각보의 아름다운 선보인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06.15.
1592 호주 한국문화원, “한국의 맛 발효음식 알리기 주력...” file 호주한국신문 17.06.08.
1591 호주 한국문화원, Let’s Talk about Korea! 개최 file 호주한국신문 17.06.08.
1590 호주 한인 학생들, 한국어 사랑과 평화통일 의지 드러내 file 호주한국신문 17.06.08.
1589 호주 대한민국 교육부, 영어권 젊은이 대상 장학생 모집 file 호주한국신문 17.06.08.
1588 호주 한국화 기법으로 담아낸 고국 및 호주의 자연 file 호주한국신문 17.06.01.
1587 호주 한국 배드민턴, 14년 만에 혼합단체 선수권 우승 file 호주한국신문 17.06.01.
» 호주 역할극으로 배우는 언어 예절의 중요성... file 호주한국신문 17.06.01.
1585 호주 ‘뉴카슬 한글 배움터’ 올해 ‘가족 캠프’ 진행 file 호주한국신문 17.06.01.
1584 호주 가평군 생산, ‘잣막걸리’, 호주시장 본격 공략 시도 file 호주한국신문 17.05.25.
1583 호주 호주한인미술협회, NSW 의사당서 회원전 마련 file 호주한국신문 17.05.18.
1582 호주 600여 시니어들, 시드니 한인성당 경로잔치 즐겨 file 호주한국신문 17.05.18.
1581 호주 제주도교육청 방문단, NSW 교육부와 교류 협의 file 호주한국신문 17.05.18.
1580 호주 시드니 총영사관, 새 청사로 이전 추진 file 호주한국신문 17.05.18.
1579 호주 취재수첩- 신백인우월주의로의 회귀? 호주한국신문 17.05.18.
1578 호주 특별기고- “80년 5월 민주항쟁, 2016년 촛불로 완성하라” file 호주한국신문 17.05.18.
1577 호주 시드니, 촛불로 잇는 오월 file 뉴스로_USA 17.05.16.
1576 호주 촛불로 잇는 ‘오월’, 다시 타오르는 민주주의... file 호주한국신문 17.05.11.
1575 호주 백승국 한인회장, 불출마 의사 밝혀 file 호주한국신문 17.0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