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수향 전시회).jpg

시드니를 기반으로 한국 진경산수화의 맥을 이어온 수향 이순영 화백이 ‘화업’ 64년을 정리하는 서울시 의회 특별 초청 전시회(서울시 의회 중앙홀 전시실)를 가졌다. 이 화백은 서울대 미대 재학 시절 대한민국 국전에서 ‘특선’으로 입상한 이후 완성한 작품들을 한 데 모은 화집도 발간했다.

 

수향 이순영 화백, 64년 ‘화업’ 총정리 전시회 가져

서울시 의회 최대 회고전... ‘비봉폭포’, ‘울룰루’ 등 선보여

 

시드니를 기반으로 호주에서 한국화의 맥을 이어온 수향 이순영 화백이 화업 64년을 정리하는 회고전을 가졌다.

지난 5월9일부터 19일까지 11일간 서울시 의회 중앙홀 전시장에서 진행된 이번 초대 회고전은 이 화백의 64년 화업을 담은 화집 발간 기념 전시회이기도 하다.

서울시 의회 특별 초청으로 열린 이번 전시회에서 이 화백은 지난 1960년 서울대학교 미대 재학생으로 대한민국 국전에 출품, 특선으로 주목을 받았던 ‘비봉폭포’를 비롯해 한국인의 기상을 담아낸 자연들, 그리고 호주에서 완성한 ‘세자매봉’, ‘황혼의 울룰루’ 등 지난 64년의 작품 활동에서 탄생시킨 주옥같은 작품들을 선정, 그가 이어온 한국 진경산수의 아름다움을 선사했다는 평가이다.

문학평론가인 전규태 박사(전 연세대 교수 / 국문학과)는 이번 전시회와 관련, 이 화백의 작품에 대해 “수향의 회화세계는 삶에 대한 매우 긍정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비단 한국화만이 아니라 종교화 역시 그러하다. 경건하고 강렬한 에너지가 넘처 흐른다. 고향에 대한 노스탈지아와 함께 단단하고 고즈넉하다”며 ‘화폭에 담긴 환희’라는 말로 정리했다.

전 박사는 또한 “지극히 절제된 선과 면으로 형상화된 이 화백의 산수화는 축양된 언어와 기법으로 마무리된다. 지극히 정갈스러운 색조로 도형화된 그의 산수 경지는 불필요한 군더더기를 말끔히 떨쳐버린 화면 분할로 작품을 색채화 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수향 화백은 근대 한국화의 대가인 심선 노수현 선생의 제자로 평생 한국화의 맥을 이어온 화가로 꼽힌다. 조선시대 겸재 정선에서 시작된 한국 진경산수화는 조선 말기 심전 안중식 선생으로 이어지며, 수향 화백의 스승인 심선 노수현 선생은 안중식 선생의 직전 제자이기도 하다.

한국 진경산수화의 대표적 작품 중 하나로 꼽히는 그의 국전 특선작인 ‘비봉폭포’(국전 출품 당시 제목은 ‘적취’였음)는 40년 후인 지난 2000년 고려대학교가 개교 95주년 기념행사의 하나로 연 ‘20세기 한국 미술 200선’ 특별 전시회에서도 선정, 소개된 바 있으며, 대한민국 ‘국가지식포털’ 중 ‘박물관 포털 e뮤지엄’(www.emuseum.go.kr)의 유물로 등재되기도 했다. ‘국가지식포털’은 한국의 각 기관별로 전산화된 국가 지식 자료를 통합검색으로 제공함으로써 모든 기관과 국민이 국가지식 정보 자원을 마음껏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포털사이트이다.

지난 70년대 후반, 호주로 이주한 이 화백은 시드니를 기반으로 한국 진경산수의 맥을 이어왔다. 호주의 다문화를 결집하기 위한 정부 문화 행사는 물론 한인 미술작가들의 전시회 등에서 지속적으로 참여함으로써 호주사회에 한국 진경산수화의 진 아름다움을 알리는 일에 전념해 왔다.

이번 서울시 의회 초청도 시드니 의회와의 교류를 위해 호주를 찾은 서울시 의회 방문단이 그의 이 같은 활동을 높이 평가하면서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김지환 기자 jhkim@koreanherald.com.au

 

사진

  • |
  1. 종합(수향 전시회).jpg (File Size:105.3KB/Download:31)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594 호주 시드니 한인천주교회 한글학교 학예회 열려 file 호주한국신문 17.06.15.
1593 호주 한국문화원, 한국 조각보의 아름다운 선보인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06.15.
1592 호주 한국문화원, “한국의 맛 발효음식 알리기 주력...” file 호주한국신문 17.06.08.
1591 호주 한국문화원, Let’s Talk about Korea! 개최 file 호주한국신문 17.06.08.
1590 호주 한인 학생들, 한국어 사랑과 평화통일 의지 드러내 file 호주한국신문 17.06.08.
1589 호주 대한민국 교육부, 영어권 젊은이 대상 장학생 모집 file 호주한국신문 17.06.08.
» 호주 한국화 기법으로 담아낸 고국 및 호주의 자연 file 호주한국신문 17.06.01.
1587 호주 한국 배드민턴, 14년 만에 혼합단체 선수권 우승 file 호주한국신문 17.06.01.
1586 호주 역할극으로 배우는 언어 예절의 중요성... file 호주한국신문 17.06.01.
1585 호주 ‘뉴카슬 한글 배움터’ 올해 ‘가족 캠프’ 진행 file 호주한국신문 17.06.01.
1584 호주 가평군 생산, ‘잣막걸리’, 호주시장 본격 공략 시도 file 호주한국신문 17.05.25.
1583 호주 호주한인미술협회, NSW 의사당서 회원전 마련 file 호주한국신문 17.05.18.
1582 호주 600여 시니어들, 시드니 한인성당 경로잔치 즐겨 file 호주한국신문 17.05.18.
1581 호주 제주도교육청 방문단, NSW 교육부와 교류 협의 file 호주한국신문 17.05.18.
1580 호주 시드니 총영사관, 새 청사로 이전 추진 file 호주한국신문 17.05.18.
1579 호주 취재수첩- 신백인우월주의로의 회귀? 호주한국신문 17.05.18.
1578 호주 특별기고- “80년 5월 민주항쟁, 2016년 촛불로 완성하라” file 호주한국신문 17.05.18.
1577 호주 시드니, 촛불로 잇는 오월 file 뉴스로_USA 17.05.16.
1576 호주 촛불로 잇는 ‘오월’, 다시 타오르는 민주주의... file 호주한국신문 17.05.11.
1575 호주 백승국 한인회장, 불출마 의사 밝혀 file 호주한국신문 17.0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