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캔버라).jpg

올해로 22년째를 맞는 캔버라(Canberra) 다문화 축제 ‘National Multicultural Festival’이 2월16-18일까지 이어지는 가운데, 현지 한인동포 및 공관이 한국 홍보에 적극 나선다는 계획이다. 사진은 지난해 펼쳐진 동 축제의 한 장면.

 

‘National Multicultural Festival 2018’... 16~18일 3일간

 

캔버라(Canberra) 다문화 축제 ‘2018 National Multicultural Festival’이 다음주 금요일(16일) 부터 일요일(18일)까지 3일간 캔버라 시내(Civic Centre)에서 계획된 가운데 현지 동포들이 한국문화 알리기에 나섰다.
지난 1996년에 시작돼 22년째 이어지는 이 축제는 각 이민자 커뮤니티 및 호주 주재 각국 대사관이 참여하여 전통문화와 고유 음식을 소개하고 공연이 펼쳐지는 호주 최대의 다문화 행사로, 캔버라 지역민뿐 아니라 해외여행자들에게도 많은 사랑을 받아왔다. 지난해에는 28만 명 이상이 참석해 행사를 즐긴 것으로 알려졌다.
올해 축제에는 현지 한인단체는 물론 주호주 대한민국 대사관과 한국관광공사 시드니지사가 참여해 한국문화와 평창 동계올림픽을 알린다는 방침이다.
이번 축제의 자세한 내역은 공식 웹사이트(http://www.multiculturalfestival.com.au)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한인 주도 이벤트는 다음과 같다.

 

■ 길거리 음식축제- 2월 17일(토) 오전 10시~오후 6시
-캔버라 한인회 / H48, H49(Bunda Street) / 불고기덮밥, 버거, 야채전, 떡꼬치, 튀김만두, 김치 등 판매
-한인단체 ‘킴와’(KIMWA) / H6(Bunda Street) / 군만두, 김치전 등 판매
-캔버라 우리교회 / A24, A25(London Circuit) / 핫도그, 닭꼬치, 만두 등 판매

 

■ 한국문화 홍보 및 즐길거리- 2월 17일(토) 오전 11시~오후 9시 
-주호주 한국대사관 / A22, A23(London Circuit, 주 의회 건물 맞은편) / 부채 만들기(한글쓰기), 한글로 부채에 한글문구 쓰기, 한복체험(남성, 여성, 아동 한복체험), 2018 평창 올림픽 홍보(평창 동계올림픽 배경막에서 기념촬영, 한국홍보 기념품 제공
-시드니 관광공사 / A20, A21(주호주대사관 부스 바로 옆) / 평창 올림픽 홍보, 룰렛 돌리기(기념품 제공)

 

김진연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캔버라).jpg (File Size:106.6KB/Download:42)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874 호주 NSW 도박업체들, 포커머신 정책 관련 정치권 로비 호주한국신문 15.07.30.
1873 호주 심슨 사막의 맥도널드 간판을 둘러싼 미스터리는... 호주한국신문 15.07.30.
1872 호주 공주교대 부설초 교장, 호주 자매 학교 방문 호주한국신문 15.08.06.
1871 호주 한국문화원, ‘한호 작가 교류전’ 마련 호주한국신문 15.08.06.
1870 호주 총영사관, 카불처 지역 ‘워홀러’ 대상 순회 영사 호주한국신문 15.08.06.
1869 호주 ‘시너지 퍼커션’와 ‘노름마치’ 합동 호주 투어 호주한국신문 15.08.06.
1868 호주 K-Pop 열기, 채스우드 ‘콩코스’ 극장 달궈 호주한국신문 15.08.06.
1867 호주 제17기 민주 평통 호주협의회 출범 호주한국신문 15.08.06.
1866 호주 “한일관계, 생산적 논의를 위한 풍토 조성 필요” 호주한국신문 15.08.06.
1865 호주 “일부 스포츠 음료, 구강건강에 해롭다” 호주한국신문 15.08.06.
1864 호주 시드니 대중교통 티켓, 오팔 카드로 대체 호주한국신문 15.08.06.
1863 호주 어번 보타닉 가든 연례 ‘벚꽃 축제’ 이달 말 개막 호주한국신문 15.08.06.
1862 호주 7월 시드니 주택경매 낙찰가, 9% 하락 호주한국신문 15.08.06.
1861 호주 호주 전쟁기념관 벽 ‘군인 유령 사진’ 화제 호주한국신문 15.08.06.
1860 호주 크리켓 전설 유족들, ‘브래드먼’ 상표 사용 불만 표출 호주한국신문 15.08.06.
1859 호주 파라마타 여성 교도소 구역, ‘보존’ vs ‘개발’ 호주한국신문 15.08.06.
1858 호주 킹스크로스 유명업소 ‘휴고 라운지’, 자진 폐업 결정 호주한국신문 15.08.06.
1857 호주 일부 농장주들, ‘비자’ 미끼로 성 상납 요구하기도 호주한국신문 15.08.06.
1856 호주 다수의 호주인, 중국서 마약밀매로 사형 위기 호주한국신문 15.08.06.
1855 호주 한국-QLD ‘에너지-인프라 포럼’ 개최 호주한국신문 15.08.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