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생은 결코 마약쟁이가 아니다”

“착한 동생이 도움을 주고자 했던게 범죄자가 됐다”며 억울함 호소

 

1월18일 호주에서 마약원료 밀수 시도 혐의로 20대 한국인 여성이 구속된 것이 언론 보도를 통해 알려지면서 교민사회에 큰 충격을 주고 있다.

“호주에서 워킹 홀리데이 중인 여동생이 마약 미수로 구속됐다”라는 제목으로 2월 11일 청와대 게시판에 청원글이 개제됐고, 16,501명(목요일 오후 3시 기준)이 참여하면서 한국내에서도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지난해 워킹홀리데이 비자로 호주를 방문한 한국 여성 A씨의 친오빠 B씨가 올린 글로 “친동생은 아는 사람의 부탁이었고, 그것으로 사례비를 받을 수 있다고 해 수락했을 뿐, 내용물이 마약인지는 전혀 몰랐다고 진술하였지만 호주 측에서는 전혀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는 상황”이라고 호소했다.

친오빠 B씨는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많은 분들이 도움을 주고 있지만 일부 ‘돈을 받고 아르바이트 한것 아닌가’라며 마약쟁이로 여동생을 폄하하는 답글도 있다”며, 동생 모바일 카카오톡 계정을 백업을 했지만 계좌번호를 준 기록도 없으며 돈을 받은 내용도 없다고 강조했다.

실재 한인 청년들이 쉽게 돈벌 수 있는 ‘마약  배달’의 유혹에 빠져 큰 사건에 휘말리는 경우가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친오빠 B씨는 여동생에게 우편을 보낸 김씨가 같은날 다른 사람들에게 동일 내용의 도움을 요청한 정황이 있다며, 착한 동생이 이를 수락해 피해자가 됐을 뿐, 동생이 아니였어도 다른 피해자가 나왔을 것이라 주장했다.

 

관련 내용을 뒷받침하기 위해 김씨가 또다른 지인에게 보낸 메시지를 본지에 제공했다(사진). 김씨는 제보자 C씨에게도 아는형이 제약회사를 운영중인데 샘플로 30박스 정도 호주에 보낼 예정인데 도와달라고 요청했다. 당시 C씨는 비타민 이라도 약을 대신 받아주는 것이 께름직 하다는 생각이 들어 거절했다고 전했다.

친오빠B씨는 1차례, 어머니는 2차례 변호사를 통해 동생과 통화했고 “나 좀 빨리 꺼내 달라고”, “나는 정말 아무것도 몰랐다고”, 동생은 그저 하염없이 울기만 했고 아무것도 모른채 타국에서 차디찬 감옥에 있을 동생을 생각하면 오빠인 저의 가슴이 무너지는 듯 하다며, 여러 정황상 동생은 억울하다 토로했다.

13일 수감된 교도소에서 수용인원 초과로 여동생은 아들레이드 인근 다른 교도소로 이감됐으며, 이후 2차례 정도 추가 이감된다고 변호사를 통해 전달받은 상태로 “수감될 교도소가 결정 되면 한인분들이 면회를 가서 위로해 주었으면 좋겠다”고 당부했다.  

대사관 담당자는 현재 최대한 도움을 주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A씨와 연락하며 상황을 파악하고 있다고 말했다.

A씨는 호주 정착 과정에서 지인을 통해 한 여성을 소개받았고 그녀의 남자 친구인 김모씨가 한국으로 돌아가면서  호주로 직원이 가기 전까지 한국에서 택배로 보내는 물건을 받아주면 소정의 사례를 하겠다는 부탁을 했다. A씨는 별 의심없이 자신의 주소를 알려주었는데 A씨 앞으로 배달된 수하물 안에 다량의 마약원료인 슈도에페드린(Pseudoephedrine)이 들어있었던 것.

이 수하물은 배송 도중 인도네시아 세관에서 적발돼 호주 당국에 통보됐다. 총 6박스 안에 100병이 들었는데 각 병당 1000정으로 총 10만정의 알약이 담겼다. 무게는 약 109kg였고 시가 약 120억원의 마약 원료로 추산됐다.

A씨는 지난 1월 18일 영문을 모른 채 집으로 들이닥친 호주 경찰에 체포됐다.

 

 

김씨에게 비슷한 요청을 받았다며 친오빠 B씨에게 C모씨가 제보를 해왔다.

해당 내용은 카카오톡으로 김씨와 C모씨가 당일 주고받은 내용 전문이다.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874 호주 NSW 도박업체들, 포커머신 정책 관련 정치권 로비 호주한국신문 15.07.30.
1873 호주 심슨 사막의 맥도널드 간판을 둘러싼 미스터리는... 호주한국신문 15.07.30.
1872 호주 공주교대 부설초 교장, 호주 자매 학교 방문 호주한국신문 15.08.06.
1871 호주 한국문화원, ‘한호 작가 교류전’ 마련 호주한국신문 15.08.06.
1870 호주 총영사관, 카불처 지역 ‘워홀러’ 대상 순회 영사 호주한국신문 15.08.06.
1869 호주 ‘시너지 퍼커션’와 ‘노름마치’ 합동 호주 투어 호주한국신문 15.08.06.
1868 호주 K-Pop 열기, 채스우드 ‘콩코스’ 극장 달궈 호주한국신문 15.08.06.
1867 호주 제17기 민주 평통 호주협의회 출범 호주한국신문 15.08.06.
1866 호주 “한일관계, 생산적 논의를 위한 풍토 조성 필요” 호주한국신문 15.08.06.
1865 호주 “일부 스포츠 음료, 구강건강에 해롭다” 호주한국신문 15.08.06.
1864 호주 시드니 대중교통 티켓, 오팔 카드로 대체 호주한국신문 15.08.06.
1863 호주 어번 보타닉 가든 연례 ‘벚꽃 축제’ 이달 말 개막 호주한국신문 15.08.06.
1862 호주 7월 시드니 주택경매 낙찰가, 9% 하락 호주한국신문 15.08.06.
1861 호주 호주 전쟁기념관 벽 ‘군인 유령 사진’ 화제 호주한국신문 15.08.06.
1860 호주 크리켓 전설 유족들, ‘브래드먼’ 상표 사용 불만 표출 호주한국신문 15.08.06.
1859 호주 파라마타 여성 교도소 구역, ‘보존’ vs ‘개발’ 호주한국신문 15.08.06.
1858 호주 킹스크로스 유명업소 ‘휴고 라운지’, 자진 폐업 결정 호주한국신문 15.08.06.
1857 호주 일부 농장주들, ‘비자’ 미끼로 성 상납 요구하기도 호주한국신문 15.08.06.
1856 호주 다수의 호주인, 중국서 마약밀매로 사형 위기 호주한국신문 15.08.06.
1855 호주 한국-QLD ‘에너지-인프라 포럼’ 개최 호주한국신문 15.08.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