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SW 주 정부, RSA 시작으로 운전면허증까지

 

앞으로 각종 라이센스의 스마트폰 신청 및 갱신이 가능하게 된다.

NSW 주 정부는 우선 주류 서비스 라이센스인 RSA(Responsible Service of Alcohol)에 대해 스마트폰을 통해 신청, 갱신할 수 있게 한다는 방침 등 내년부터 단계적으로 시행 예정인 디지털 라이센스 계획을 발표했다.

 

금주 수요일(25일) 시드니 모닝 헤럴드 보도에 따르면, 정부의 이 같은 계획은 올해 초 주 선거에서 밝힌 공약의 하나로 2016년 중반, 최초의 다운로드 패치가 제공될 전망이다.

주 정부는 RSA 외에도 낚시, 도박 자격증이 내년도 우선적으로 시험 도입한다는 방침이다. 이 작업이 성공적으로 이뤄질 경우 점차 다른 라이센스로 확대해 나가게 된다.

 

이어 2017년에는 추가로 5개 종류의 라이센스가 디지털화될 것으로 예상되며, 가장 많은 관심을 보인 운전면허증은 2018년 말 디지털화를 목표로 작업을 진행 중이다.

 

금주 수요일(25일) NSW 주 금융 및 서비스부 도미니크 페로테(Dominic Perrottet) 장관은 캔버라에서 열린 정부혁신 포럼(GovInnovate forum)에서 이를 공식적으로 발표하면서 “새로운 테크놀로지 도입을 통해 시민들은 보다 손쉽게 각종 라이센스를 신청, 갱신할 수 있게 될 것”이라면서 “이는 실시간으로 작동되며 자격증 검사를 받을 때는 스마트폰을 펼쳐 보여주면 된다”고 설명했다.

 

물론 기존 방식대로 종이 라이센스도 여전히 이용되게 된다. 현재는 RSA 등 라이센스를 신청하기 위해서는 정부 서비스 센터를 방문해야 하는데, 지방의 경우 이를 취급하는 서비스 센터가 많지 않아 불편을 겪어 왔다.

 

문제는 해킹 등 온라인상의 안전 이슈가 이번 라이센스 제도 정착 여부을 좌우하게 된다는 점이다. 이에 대해 페로테 장관은 “온라인 라이센스 자체에 안전장치가 부착되어 검사하는 사람이 쉽게 진위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고 자신했다. 다만 그 안전장치가 구체적으로 어떤 형태인지는 언급하지 않았다.

 

IT 관련 보안 전문가인 트로이 헌트(Troy Hunt)씨는 “큰 문제는 없을 것”이라면서 “이미 RTA(교통당국)의 운전자 벌점 정보 등 많은 것들이 온라인에 공개되어 활용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종이 라이센스 방식에도 위조 행위는 있다”고 덧붙였다.

 

NSW 주 정부가 관장는 라이센스는 약 770종류가 있으며 매년 2천300만 개의 라이센스가 신규 또는 재발급되고 있다.

 

임경민 객원기자

 

 

  • |
  1. 종합(디지털 라이센스 1).jpg (File Size:27.2KB/Download:33)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254 호주 NSW 포키머신 도박업체들 수입, 크게 늘어 file 호주한국신문 15.11.26.
1253 호주 올 한해 시드니의 가장 큰 주택가격 성장 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15.11.26.
1252 호주 시드니 도심 임대주택, ‘가까이 하기엔 너무 먼 당신’ file 호주한국신문 15.11.26.
1251 호주 킹스크로스, 주거 지역으로의 변모 움직임 ‘본격화’ file 호주한국신문 15.11.26.
1250 호주 기후변화로 산불방지 시스템 마련 더욱 어려워 file 호주한국신문 15.11.26.
» 호주 내년부터 각종 라이센스, ‘디지털화’ 추진 file 호주한국신문 15.11.26.
1248 호주 파라마타 강변 지역, 아파트8천 채 건축 예정 file 호주한국신문 15.11.26.
1247 호주 지난 주말 시드니 경매 낙찰률 57.5% 기록 file 호주한국신문 15.11.26.
1246 호주 고급 한식 시연에 외국인 200여명 ‘열띤 호응’ file 호주한국신문 15.11.26.
1245 호주 남부 호주(SA) 주에서도 ‘세종학당’ 운영된다 file 호주한국신문 15.11.26.
1244 호주 호주 미술계에 한국 현대미술 소개 file 호주한국신문 15.11.26.
1243 호주 주호주 한국 대사관, 정부와 교육-관광문제 논의 file 호주한국신문 15.11.26.
1242 호주 한호아트재단, 제3회 공모전 입상작 전시 file 호주한국신문 15.11.26.
1241 호주 애보트 전 수상, 한국대사관 방문 file 호주한국신문 15.11.26.
1240 호주 한-호 경제협력 증진 공동 세미나 마련 호주한국신문 15.11.26.
1239 호주 호바트 ‘우정의 벽’에 ‘대한민국 태극기 패’ 제막 file 호주한국신문 15.11.26.
1238 호주 호주 사상 최대 미스테리 중 하나, ‘누간핸드 은행’ 호주한국신문 15.11.12.
1237 호주 턴불 정부, 의료보험 제도 과감한 개혁 예정 호주한국신문 15.11.12.
1236 호주 호주 최대 두 도시가 직면한 문제, “너무 크다” 호주한국신문 15.11.12.
1235 호주 중앙은행, “경제성장률 전망치 하향 조정 필요” 호주한국신문 15.1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