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김정은 여권).jpg

북한 김정일 전 국방위원장과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이 1990년대 브라질 여권을 만들었던 것으로 밝혀졌다. 로이터 통신이 이들의 사진이 담긴 여권사본을 공개했다. 이 여권이 위조인지 아닌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사진은 이를 보도한 ABC 방송 인터넷 판 기사 제목과 스캔된 여권 앞 페이지.

 

로이터 통신, 사진과 가명 첨부된 김씨 부자의 브라질 여권사본 공개

 

북한 김정일 전 국방위원장과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이 1990년대 브라질 위조 여권을 만들었던 것으로 밝혀졌다.

금주 화요일(27일) 로이터 통신은 유럽의 고위 안보소식통들을 인용, 이 같이 보도하면서 김정일과 김정은이 만든 여권사본을 공개하고 얼굴인식 기술로 여권에 담긴 사진이 두 인물임로 확인됐다고 전했다.

이 위조 여권은 최소 2개 서방국가 비자발급 신청에 사용했을 수 있으며, 브라질과 일본, 홍콩을 여행하는 데에 이용됐을 것으로 보인다고 통신은 주장했다.

해당 여권에는 이들로 추정되는 사진과 함께 김정일 여권에는 ‘Ijong Tchoi’, 김정은 여권에는 ‘Josef Pwag’라는 가명이 각각 표기되어 있으며, 유효기간이 10년짜리로, 1996년 2월 26일 체코 프라하에 있는 브라질 대사관에서 발급한 것으로 되어 있다.

해당 여권상 김정일의 생년월일은 ‘1940년 4월 4일’, 김정은의 생년월일은 ‘1983년 2월 1일’로 기록돼 있으며, 출생지는 모두 브라질 상파울루다.

그러나 한국정부에 따르면 김정일의 생년월일은 1942년 2월 16일, 김정은의 출생일은 1984년 1월 8일로 추정된다.

여권 발급일자(1996년 2월 26일)를 기준으로 보면 1994년 김일성이 사망한 이후 김정일은 북한을 집권하고 있던 시기이며, 당시 김정은은 12~14세였던 것으로 파악된다.

시드니 모닝 헤럴드는 금주 수요일(28일), 로이터 보도를 인용, “김정일 일가가 위장술로 확보한 서류로 해외여행을 한다는 것은 공공연하게 알려진 사실이지만, 이들의 실제 여권 사본이 공개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전했다.

 

종합(김정일 여권).jpg

로이터 통신이 공개한 김정일의 브라질 여권 스캔 사본.

 

김정일의 아들 김정은은 스위스의 수도 베른의 국제학교(International School of Berne)에 다닌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당시 그는 스위스 주재 북한 대사관 운전사 의 아들로 위장했다.

한 유럽 안보소식통은 이 위조여권을 두고 “김정은 일가가 탈출경로를 확보하기 위해 만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2011년 김정은이, 이번에 공개된 브라질 여권이 만들어지기 전인 1991년 경 일본 도쿄를 방문했다는 일본 요미우리 신문(Yomiuri Shimbun)의 보도가 있기도 했다. 이들은 당시 디즈니랜드를 방문했다고 전해졌다.

브라질 주재 북한 대사관은 김정일-김정은의 여권과 관련해 언급하지 않겠다고 거부한 상태이며, 브라질 외교부는 해당 여권을 조사 중이라고 전했다.

그러나 익명으로 전해진 브라질의 한 소식통은 “이 두 여권은 합법적인 서류였을 것”이라고 말했다.

로이터 통신은 해당 여권사본의 확보 경로는 보안상의 이유로 밝힐 수 없으며, 이들에게 실제로 비자가 발급됐는지 여부는 아직 불확실하다고 전했다.

 

김진연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김정은 여권).jpg (File Size:72.0KB/Download:37)
  2. 종합(김정일 여권).jpg (File Size:53.6KB/Download:31)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894 호주 시드니 도심 지역 주거지 개발 계획 ‘홍수’ 호주한국신문 15.07.23.
1893 호주 광역시드니 공공버스 운행 노선 크게 바뀐다 호주한국신문 15.07.23.
1892 호주 “젊고 부유한 여성, 스트레스 더 많아...” 호주한국신문 15.07.23.
1891 호주 호주 전역의 낙후지역에 대한 정부 지원 ‘미비’ 호주한국신문 15.07.23.
1890 호주 시드니 부유층 일부 지역, 사망자 수가 출생자 앞서 호주한국신문 15.07.23.
1889 호주 총영사관, 퀸즐랜드 8월 순회 영사 계획 발표 호주한국신문 15.07.30.
1888 호주 ‘솔리데오’ 등 4개 합창단원들 멋진 하모니로 광부 70주년 기념 호주한국신문 15.07.30.
1887 호주 김봉현 대사 한국전 참전용사 초청 오찬 호주한국신문 15.07.30.
1886 호주 호주 한글학교협의회장, ‘국민훈장 석류장’ 수훈 호주한국신문 15.07.30.
1885 호주 총영사관, ‘2015 워홀러 협의회’ 개최 호주한국신문 15.07.30.
1884 호주 ‘굿 푸드 앤 와인 쇼’서 ‘발효음식’ 소개 예정 호주한국신문 15.07.30.
1883 호주 한국 문화원 주관, 제6회 ‘호주 한국영화제’ 호주한국신문 15.07.30.
1882 호주 시드니한인회 정기총회, 제30대 회장단 출범 호주한국신문 15.07.30.
1881 호주 2015 ‘Bacchus NHTTA Cup’ 탁구대회 성료 호주한국신문 15.07.30.
1880 호주 20개 주택 부지를 하나의 개발지로 묶어 매각 추진 호주한국신문 15.07.30.
1879 호주 시드니 북서부 지역 주택가격 상승, 가장 높아 호주한국신문 15.07.30.
1878 호주 호주 청소년들, 종교적 과격화 경향 확산 호주한국신문 15.07.30.
1877 호주 시드니 주택가격, 전 세계 주요 도시 비해 나은 편 호주한국신문 15.07.30.
1876 호주 “광역시드니 곳곳에 거대 크레인 작동 중...” 호주한국신문 15.07.30.
1875 호주 베어드 정부, 강력한 주류 제한 계획 철회 호주한국신문 15.07.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