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한국어교사).jpg

호주 각 한글학교의 10년 이상 장기근속 교사 13명이 재외동포재단 이사장 감사패가 증정됐다. 시드니 총영사관은 동포재단을 대신해 올해 선정된 교사들에게 감사패를 전수했다. 전수식 후 한 자리에 모인 장기근속 교사들(사진).

 

시드니총영사관서 전수... 10년 이상 장기근속 교사 13명 대상

 

호주 내 한글학교 장기근속 교사들에게 한국 재외동포재단 이사장 명의의 감사패가 수여됐다.

시드니 한국교육원(원장 김기민)에 따르면 이번 감사패는 재단설립 20주년을 기해 증정한 것으로 시드니 총영사관 윤상수 총영사는 지난 10일(목) 동포재단을 대신해 이번에 선정된 13명의 교사들에게 이를 전수했다.

이날 윤상수 총영사는 “한인 차세대들이 한국어와 한국문화-역사에 대해 자부심을 갖고 정체성을 잃지 않고 살아가도록 일깨우는 소중한 일을 해 오신 분들로, 그동안의 노고에 진심으로 감사드린다”고 언급하면서 한글학교 교사들을 성원해준 가족들에게도 감사를 전했다.

이어 수상자 대표로 인사말을 전한 호주한글학교협의회 이은경 회장(시드니순복음교회 채스우드 한글학교 소속)은 “학생들이 성장하는 모습을 보며 보람을 느꼈다”고 말한 뒤 “30년 가까이 한국어 교사로 봉사하면서 이제는 한국에서도 한글학교 교언들의 수고를 인정하고 기쁘다”며 “재외동포 차세대를 위한 한국어 교육에 더욱 힘 쓰겠다”고 말했다.

이날 감사패 전수 교사는 13명으로, 이 가운데는 시드니순복음교회 그린에이커 한글학교에서 봉사하는 김지선-이경섭 부부 교사, 열린문 한국문화학교의 전승아-전창건 부부 교사가 선정돼 눈길을 끌었다.

감사패 전수 교사는 다음과 같다.

김지선(시드니순복음교회 그린에이커한글학교), 김희정(시드니순복음교회 그린에이커한글학교), 이경섭(시드니순복음교회 그린에이커한글학교), 이은경 (시드니순복음교회 채스우드한글학교. 이상 20년 근속), 권영춘(시드니순복음교회 그린에이커한글학교), 김옥희(시드니영락문화학교), 전승아(열린문한국문화학교), 전창건(열린문한국문화학교), 하미혜(시드니천주교회한글학교), 강영애(시드니새순한글학교), 김미현(시드니새순한글학교), 우은미(시한장한글학교), 김이선(시드니영락문화학교. 이상 10년 이상 근속).

 

  • |
  1. 종합(한국어교사).jpg (File Size:87.5KB/Download:15)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954 호주 NSW Budget 2015- 인프라 투자 크게 확대 호주한국신문 15.06.30.
1953 호주 NSW budget 2015- ‘Winners and losers’는... 호주한국신문 15.06.30.
1952 호주 쉐어하우스 임대료, 가장 높은 지역은 어디? 호주한국신문 15.06.30.
1951 호주 한상대 교수 음악-문화산책 강좌 1년... 호주한국신문 15.07.02.
1950 호주 주호주대사관, ANU 관계자 초청 만찬 호주한국신문 15.07.02.
1949 호주 시드니 웨스트 라이온스, 정봉환 회장 취임 호주한국신문 15.07.02.
1948 호주 주호주대사관, 골번 지역 워홀러 간담회 호주한국신문 15.07.02.
1947 호주 시드니 총영사관, ‘WOW PICNIC’ 개최 호주한국신문 15.07.02.
1946 호주 재호주 스키빙상연맹, 무료 강습회 실시 호주한국신문 15.07.02.
1945 호주 ‘한국어교사회’ 방학 기간 기해 1일 워크숍 개최 호주한국신문 15.07.02.
1944 호주 치과 환자들, HIV 감염 위험에 ‘벌벌’ 호주한국신문 15.07.02.
1943 호주 시리아 쿠르드족 지원하던 호주 남성 사망 호주한국신문 15.07.02.
1942 호주 IS 조직 샤로프, 아직 살아 있는 듯 호주한국신문 15.07.02.
1941 호주 호주 우체국, 비용절감 위해 인력 감축 결정 호주한국신문 15.07.02.
1940 호주 린다 버니 의원, 가정폭력 피해 경험 털어놔 호주한국신문 15.07.02.
1939 호주 “토레스 해협, 호주 불법 입국의 새로운 루트...” 호주한국신문 15.07.02.
1938 호주 시드니 지역, 재개발 가능 아파트 8천 채 넘어 호주한국신문 15.07.02.
1937 호주 호주 최대 도시 시드니, 빈곤율 가장 높아 호주한국신문 15.07.02.
1936 호주 호주의 극단 이슬람 지하디스트는 누구인가 호주한국신문 15.07.02.
1935 호주 빅토리아 주, 지난 한 해 인구증가율 가장 높아 호주한국신문 15.07.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