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23회 세계한국어웅변(K Speech)호주대표 선발대회가 7월 7일 사우스 스트라스필드 퍼블릭 스쿨에서 개최된다.

사단법인 한국웅변인협회 호주본부(본부장 이미진)가 주최하는 이번 대회는 27회 호주 한인 청소년 웅변 대회를 겸한 2018년 세계대회 호주대표를 선발하는 자리다. 올해 주제는 ▲한국어 지구촌 보급 및 바로 쓰기를 위한 방안 ▲한반도 평화통일을 위한 방안 ▲한국 문화의 우수성과 가치를 홍보하는 방안으로 이번 대회는 개인, 그룹 스피치로 나뉘어 진행된다.

참가자 지원은 한 달 간의 일정(5월22일-6월22일)으로 진행됐으며 접수 기간 동안 많은 참가자들이 지원하며 22일 마감됐다.

이번 대회서 대상을 수상한 학생은 8월 10일 캄보디아 왕립프놈펜대학교 강당에서 열리는 세계대회 본선에 호주 대표로 참가하게 된다.

지난 해 개최된 웅변 대회에는 총 23명의 학생들이 참가해 각각의 주제에 맞춰 자신의 생각을 한국어로 참신하게 전달하며 설득력있게 주제를 풀어내 청중의 큰 호응을 이끌어 냈다.

지난 해 대상은 소중한 문화 유산인 한국어를 바르게 사용하자는 내용을 논리 정연하게 펼쳐낸 안혜영양이 받았으며, 안 양은 세계한국어웅변대회 본선에 호주 대표로 참가해 국무총리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또 세계한국어웅변대회 본선에서 이하은양은 제 21회 세계한국어웅변대회 외교부 장관상을, 백희연양은 제 20회 세계한국어웅변대회 통일부 장관상을, 강서영양은 제 19회 세계한국어웅변대회 외교부 장관상을, 안나 브라이언트양은 제 19회 세계한국어웅변대회 국무총리상을 각각 수상하는 영예를 안은 바 있다. 

한국어 웅변 대회는 한국어를 통한 지구촌 소통과 한반도 평화 통일을 위하고, 한글의 우수성을 알리는 동시에 한국어를 보급 확산 시키는 전기를 마련코자 재외동포 자녀 및 현지인을 대상으로 해마다 열리고 있다.

윤성정 기자

■지난 해 개최된 ‘제 22회 세계한국어웅변 호주대표 선발대회’ 모습.

http://topdigital.com.au/node/6049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994 호주 오는 10월 시드니 도심 경전철 공사 시작 호주한국신문 15.06.04.
1993 호주 지나 라인하트, 50억 달러 가족신탁기금 운영권 잃어 호주한국신문 15.06.04.
1992 호주 공정근로위원회, 최소임금 2.5% 인상 결정 호주한국신문 15.06.04.
1991 호주 ‘MyMaster’ 에세이 부정, 조사 결과 속속 드러나 호주한국신문 15.06.04.
1990 호주 철광석 재벌 지나 라인하트, 최고 부자에 호주한국신문 15.06.04.
1989 호주 총영사관, 한인 차세대 통일안보 세미나 마련 호주한국신문 15.06.11.
1988 호주 대마초 사용자 70%, “흡입 상태서 운전했다” 호주한국신문 15.06.11.
1987 호주 파라마타, 장기 도시개발 통해 ‘하버시티’로 재탄생 호주한국신문 15.06.11.
1986 호주 파라마타-스트라스필드 경전철 노선, “무의미하다” 호주한국신문 15.06.11.
1985 호주 시드니 첫 주택구입자, ‘보증금 장애’ 직면 호주한국신문 15.06.11.
1984 호주 베어드 수상, ‘시드니 하버 제2철도 프로젝트 착수’ 밝혀 호주한국신문 15.06.11.
1983 호주 하이스쿨 학생들도 에세이 등 과제물 ‘구입’ 호주한국신문 15.06.11.
1982 호주 Global Drug Survey 2015- 불법 마약 온라인 구매 확대 호주한국신문 15.06.11.
1981 호주 Global Drug Survey 2015- 전자담배 이용, 크게 증가 호주한국신문 15.06.11.
1980 호주 최저임금 근로자들, 임대료 부담 가능 지역은? 호주한국신문 15.06.11.
1979 호주 올해의 ‘미스 유니버스 호주’ 왕관, 모니카 라둘로비치에게 호주한국신문 15.06.11.
1978 호주 ‘글리브’ 정부주택 단지, 민간 참여 재개발 호주한국신문 15.06.18.
1977 호주 주호주 대사관, 야당 관계자 초청 만찬 호주한국신문 15.06.18.
1976 호주 “재외국민, 호주 옴부즈맨으로 문제 해결을...” 호주한국신문 15.06.18.
1975 호주 한국문화원의 ‘Korean Language Week’ 성료 호주한국신문 15.06.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