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예비선거 전 총유권자수 조사, 무소속은 급증세
 

vote.jpg
▲최근 주선거관리위원회가 발표한 최종 유권자수에서 민주당원이 감소한 반면 무소속이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플로리다주 각지에서 예비선거 조기투표가 일제히 시작된 가운데 올랜도 에지워터 선상의 투표소 앞에 조기투표장 사인이 놓여 있는 모습. ⓒ 코리아위클리
 

(올랜도=코리아위클리) 김명곤 기자 = 플로리다주 민주당은 유권자수에서 공화당에 다소 앞서고 있지만 주 정부와 의회에서는 약소 정당으로 맥을 못추고 있다. 민주당은 올해 중간선거에서 플로리다를 ‘블루 스테이트’로 만들기 위해 전력을 다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나온 통계는 유권자 수가 계속 줄고 있음을 보여준다.

14일 <탬파베이타임스>와 <올랜도센티널> 등 플로리지역 매체들에 따르면, 이달 28일 예비선거를 앞두고 주선거관리위원회가 발표한 최종 투표 등록자 1300만명 중 민주당이 차지하는 비율은 전체 유권자 37.2%인 480만명. 이는 460만명으로 35.3%를 점한 공화당에 비해 많은 수치이지만, 2012년과 2014년에 이어 유권자수가 지속적으로 줄고 있음을 보여준다.

2018년 현재 민주당 유권자는 공화당 유권자 보다 24만 5301명이 더 많다. 이는 2016년 예비선거 시기에 공화당 유권자 보다 25만9321명, 대선 시기 32만 7438명이 더 많은 것에 비해 감소한 것이다. 지난 2014년에 견주면 민주당원의 감소 추세는 더 확연하다. 당시 민주당은 공화당보다 예비선거에서 45만5140명, 중간선거에서 45만 5946명이 더 많았다.

그렇다고 공화 유권자가 증가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공화 유권자수는 지난 10여년간 이렇다할 변화를 보이지 않고 있다.

지난달 30일로 끝난 유권자 등록 자료에서 확연히 들어난 것은 무소속 유권자의 증가이다. 올해 무소속 유권자는 지난 2016에 비해 총350만명으로 무려 20%가 늘었다.

중앙플로리다 민주-공화 ‘기싸움’ 살펴보니… 무소속 큰폭 증가

플로리다주는 허리를 가르는 I-4를 중심으로 북쪽은 공화당, 남쪽은 민주당, 중앙인 메트로 올랜도와 탬파베이는 양당세가 엇비슷한 양상을 보인다.

탬파베이 4개 카운티의 양당 유권자 상황을 들여다 보면, 인구 집중 지역인 힐스버러 카운티는 민주당과 공화당 유권자가 39%(32만6369명)대 32%(26만5099명)로, 4개 카운티 중 민주당세가 가장 크다. 파이넬러스 카운티의 양당 비율은 36%(23만2500명) 대 35%(23만1500명)으로 엇비슷하다.

반면 교외지역을 끼고 있는 헤르난도와 패스코 카운티는 공화당세가 높다. 헤르난도 카운티는 공화당과 민주당 비율이 41%(5만4426명) 대 32%(4만1964명)이다. 패스코는 39%(13만4489명) 대 31%(10만8199명) 비율을 보였다.

메트로 올랜도에서 2년전 예비선거 대비 올해 유권자수 변화 추이를 살펴보면, 오렌지 카운티 공화당 유권자는 20만 7962명에서 20만7115명으로 다소 낮아졌다. 반면 민주당은 5% 증가한 32만 6226명을 기록했고, 무소속은 23만3884명으로 17%가 늘어났을 뿐 아니라 공화당 유권자수를 추월했다.

세미놀 카운티의 경우 공화당이 다소 늘어나 2016년 10만8549명에서 올해는10만8947명으로 변화가 거의 없는 데 반해, 민주당은 8%가 증가해 10만3명을 기록했다. 특히 무소속은 총 8만3384명으로 무려 22% 증가세를 보였다.

총유권자가 2년전에 비해 16%나 늘어난 오시올라 카운티도 무소속이 31%난 증가해 이전 5만5238명에서 7만2237명으로 뛰었다. 오시올라 카운티의 민주당은 9만727명(증가율 15%), 공화당은 4만8339명(증가율 6%)으로 나타났다.

레이크 카운티에서는 공화당이 7%를 더한 10만1527명으로 여전히 우세를 유지했고, 민주당은 5%가 늘어난 7만809명을 기록했다. 이곳에서도 무소속은 29% 증가한 5만7937명을 기록했다. .

중앙플로리다에서 민주당 유권자 증가는 푸에르토리칸 증가와 맞물려 있으며, 특히 오시올라 카운티에서 히스패닉 증가는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푸에르토리칸은 전통적으로 무소속 등록 경향을 유지, 오시올라 카운티의 무소속 유권자 폭증에 한몫하고 있다.

한편 올해 중간선거를 앞두고 양당은 2년마다 물갈이하는 연방 하원 자리를 두고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특히 민주당은 주 상원 획득과 더불어 빌 넬슨 현 연방 상원 자리 사수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935 미국 플로리다 코로나19 빗장 풀기 "아주 작은 걸음으로 시작할 것" file 코리아위클리.. 20.05.11.
1934 미국 캐나다 캘거리 멈추지 않는 바이러스 확산세..정점 도달은 언제? file CN드림 20.05.04.
1933 미국 [COVID19 일일브리핑] 5월 4일 식당-소매업 등 문 연다... 드샌티스 주지사 "터널 끝 빛이 보인다" file 코리아위클리.. 20.04.30.
1932 미국 배가 자주 아픈데 의사는 "이상 없다" file 코리아위클리.. 20.04.27.
1931 미국 플로리다 등 미국 주요지역 코로나 사망률, 인종 격차 뚜렷 file 코리아위클리.. 20.04.27.
1930 미국 연방정부와 주정부 실업수당 합치면 매주 최대 875달러 코리아위클리.. 20.04.27.
1929 미국 미 연방정부, 경기부양 명목의 현금 지급 시작 file 코리아위클리.. 20.04.27.
1928 미국 ‘사회적 거리두기’로 재판 연기 속출, 미 전역 법원 마비 상태 코리아위클리.. 20.04.27.
1927 미국 미 실업수당 청구 일주만에 660만건, 1967년 이후 ‘최고’ 코리아위클리.. 20.04.27.
1926 미국 미 코로나 사망자 2만명 돌파, 매일 2천명씩 사망자 늘어 file 코리아위클리.. 20.04.27.
1925 미국 올랜도 히스패닉 다수 거주지, 코로나19 확진 많아 file 코리아위클리.. 20.04.27.
1924 미국 [COVID19 일일브리핑: 제22신] 하산길 플로리다, 3보 내려갔다 2보 뒷걸음 file 코리아위클리.. 20.04.24.
1923 미국 플로리다 3개 메트로 지역 새환자 ‘급락’, 본격 하산 채비 하나? file 코리아위클리.. 20.04.23.
1922 미국 [COVID19 일일 브리핑] 드샌티스 주지사 "신종 코로나 진정국면" 공언… 플로리다 신규환자 800명대 유지 file 코리아위클리.. 20.04.22.
1921 미국 [COVID19 일일 브리핑] 차라리 ‘위험한 자유’가 좋다?... 플로리다 사망자 800명 돌파 file 코리아위클리.. 20.04.21.
1920 미국 [COVID19 일일브리핑] 혼쭐난 플로리다, 제자리 복귀… 신규환자 연일 ‘평형’ 유지 file 코리아위클리.. 20.04.20.
1919 미국 [COVID19 일일브리핑] 머리 총맞고 살아난 경찰, 코로나로 사망… 플로리다 새환자 다시 ‘뚝’ file 코리아위클리.. 20.04.19.
1918 미국 [COVID19 일일브리핑] 플로리다 새 환자 돌연 ‘수직상승’… 다시 4월초 수준으로 file 코리아위클리.. 20.04.18.
1917 미국 [COVID19 일일브리핑] 주춤주춤 반보 앞으로... 플로리다 신규환자 800명대 초반으로 file 코리아위클리.. 20.04.17.
1916 미국 [COVID19 일일브리핑: 제14신] 플로리다, 종착역 향해 ‘2보 전진, 1보 후퇴’ 계속 file 코리아위클리.. 20.0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