찬성파 ‘모기 퇴치 일환’, 반대파 ‘질병 옮긴다’
 

bat.jpg
▲ 플로리다 대학내 엘리스 호수 건너편에 서있는 박쥐집. 1991년에 지어졌으나 4년동안 '빈집' 을 유지했다. 1995년 첫 박쥐떼가 이주한 후 차츰 불어나 현재는 수 만마리가 거주하고 있다.
 

(올랜도=코리아위클리) 김명곤 기자 = 중앙플로리다 오렌지카운티 위원회가 모기 퇴치를 위한 박쥐집(베트 하우스) 설치를 놓고 찬반 양측이 충돌하고 있다.

발단은 카운티 위원회 에밀리 보닐라 위원이 8월초 올랜도 동부 지역내 모기 개체수 감소 를 위해 ‘박쥐집 설치안’을 내놓으면서부터다.

보닐라를 비롯한 상당수 위원들이 박쥐집 설치를 적극 옹호하고 있는 반면, 테레사 제이콥스 카운티 시장은 반대편에 서서 이를 적극 만류하고 있다. 제이콥스 시장은 박쥐가 레이비스(rabies·광견병 일종)위험이 있다는 이유로 비슬로 지역을 포함해 카운티 동부 일부 동네들이 박쥐를 불러 들이려는 아이디어를 못마땅해 하고 있다.

실제로 올해 1월 올랜도 북부 지역 유스티스시에서는 6세 난 남아가 박쥐 접촉에 따른 레바이스로 사망한 사건이 있었다.

그러나 박쥐집 변호인이자 보닐라 위원을 옹호하고 있는 브레바드 카운티의 플로리다 박쥐 보호 기관(Florida Bat Conservancy)의 샤리 블리셋-클라크 대표는 일반인들의 박쥐에 대한 이해 부족을 꼬집고 있다. 그는 박쥐가 매우 유순한 동물이며 숨는 습성이 있어 사람과의 접촉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고 지적한다.

FBC가 플로리다에 설치한 박쥐집은 플로리다대학 메인 캠퍼스를 포함해 현재까지 600개 이상이지만, 박쥐와 사람간의 충돌 사례는 아직 보고된 바 없다.

보닐라 위원은 근래 플로리다주에서 문제가 된 지카 바이러스 등 모기감염 질환 확산 방지를 조건으로 내세우며 FBC와 손잡고 상정안을 올렸지만, 박쥐집 아이디어가 카운티 위원회에서 통과될 지는 아직 불투명하다.

일반인들 사이에는 모든 박쥐가 레이비스를 지니고 있다는 관념이 있다. 그러나 FBC에 따르면 실제 연구 결과 박쥐군 1% 이하에서 레이비스가 발견되고 있다. 미국에서 박쥐를 매개로 한 레이비스 사망자는 1-2명이다.

해충 잡아먹는 박쥐, 일부 지역서 인기

한편 FBC는 케이프 커네버럴, 멜본 비치, 퍼난디나 비치, 마이애미, 탬파, 게인스빌 등 여러 도시에 크고 작은 박쥐집을 설치했고, 오렌지 카운티에는 30개 집을 만든다는 청사진을 지니고 있다.

100마리의 박쥐군이 하룻밤에 잡아 먹는 해충은 20만마리 정도에 이를 정도로 공중보건에 유용한 측면이 있다.

나무 기둥이나 위에 설치되는 박쥐집은 내부에 조그마한 방들이 있는 네모난 나무 상자로, 상하에 출입문이 있어 박쥐가 드나들 수 있다. 플로리다에서는 근래들어 박쥐를 이용한 모기 퇴치 방법이 호숫가나 모기가 들끓는 지역 주민들 사이에서 꾸준히 인기를 끌어 왔다. 이들은 박쥐집을 집 마당에 설치해 1-2년동안 꾸준히 박쥐가 날아들기를 기다린다.

플로리다에서 서식하는 박쥐는 19종류이며 이들 모두 곤충을 잡아먹는다. 특히 엄지손가락 크기의 몸체를 가진 브라질리언 박쥐는 보통 죽은 나무나 오크류 나무에 매달려 자라는 스패니쉬 모스를 서식처로 삼고 있다.

밤에 활동하는 박쥐는 모기를 잡아먹는 능력이 뛰어나다. 조그만 박쥐 한마리가 한 시간동안 먹어치우는 모기는 6백여마리. 가로 2 피트 세로 2 피트 정도의 박쥐집에 식구가 빽빽히 들어차면 1천여마리 정도여서 박쥐집이 활성화 된다면 집 주위의 모기 서식은 크게 줄어들만 하다.

그러나 박쥐집에 박쥐가 날아들게 하려면 위치 선정과 디자인 그리고 인내심이 필요하다. floridabats.org 정보에 따르면 박쥐집은 보통 확트인 땅에서 15피트 이상 높이에 설치해야 하고, 남쪽을 향해 있어야 한다. 잘 설치된 박쥐집에는 몇 개월 내로 박쥐가 날아들기 시작하며 2-3년이면 안정적인 숫자로 불어난다.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335 미국 [COVID19 일일 브리핑] 차라리 ‘위험한 자유’가 좋다?... 플로리다 사망자 800명 돌파 file 코리아위클리.. 20.04.21.
1334 미국 [COVID19 일일 브리핑] 드샌티스 주지사 "신종 코로나 진정국면" 공언… 플로리다 신규환자 800명대 유지 file 코리아위클리.. 20.04.22.
1333 미국 플로리다 3개 메트로 지역 새환자 ‘급락’, 본격 하산 채비 하나? file 코리아위클리.. 20.04.23.
1332 미국 [COVID19 일일브리핑: 제22신] 하산길 플로리다, 3보 내려갔다 2보 뒷걸음 file 코리아위클리.. 20.04.24.
1331 미국 올랜도 히스패닉 다수 거주지, 코로나19 확진 많아 file 코리아위클리.. 20.04.27.
1330 미국 미 코로나 사망자 2만명 돌파, 매일 2천명씩 사망자 늘어 file 코리아위클리.. 20.04.27.
1329 미국 미 실업수당 청구 일주만에 660만건, 1967년 이후 ‘최고’ 코리아위클리.. 20.04.27.
1328 미국 ‘사회적 거리두기’로 재판 연기 속출, 미 전역 법원 마비 상태 코리아위클리.. 20.04.27.
1327 미국 미 연방정부, 경기부양 명목의 현금 지급 시작 file 코리아위클리.. 20.04.27.
1326 미국 연방정부와 주정부 실업수당 합치면 매주 최대 875달러 코리아위클리.. 20.04.27.
1325 미국 플로리다 등 미국 주요지역 코로나 사망률, 인종 격차 뚜렷 file 코리아위클리.. 20.04.27.
1324 미국 배가 자주 아픈데 의사는 "이상 없다" file 코리아위클리.. 20.04.27.
1323 미국 [COVID19 일일브리핑] 5월 4일 식당-소매업 등 문 연다... 드샌티스 주지사 "터널 끝 빛이 보인다" file 코리아위클리.. 20.04.30.
1322 미국 캐나다 캘거리 멈추지 않는 바이러스 확산세..정점 도달은 언제? file CN드림 20.05.04.
1321 미국 플로리다 코로나19 빗장 풀기 "아주 작은 걸음으로 시작할 것" file 코리아위클리.. 20.05.11.
1320 미국 코로나19 사망 위험 요인은 고령과 만성질환 코리아위클리.. 20.05.11.
1319 미국 실업수당 청구, 호텔 및 외식업계 가장 많아 file 코리아위클리.. 20.05.11.
1318 미국 미국 50개주 ‘형사재판 배심원 만장일치제’ 시행 코리아위클리.. 20.05.11.
1317 미국 연방정부 우려 속 일부 주들 봉쇄조치 완화 시작 코리아위클리.. 20.05.11.
1316 미국 연방 의회 4840억 달러 코로나 대응 추가예산 통과 코리아위클리.. 20.0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