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eak.jpg

 

비핵화 조치 이전 종전 선언 기대했으나 미국은 비핵화 요구

 

(뉴욕=코리아위클리) 박윤숙 기자 = 미국의 뉴스 미디어의 새 강자로 떠오른 < VOX 뉴스 >가 북한이 싱가포르 북미 정상회담 당시 트럼프 미 대통령이 김정은 위원장에게 약속했던 종전선언을 이행하지 않는데 대해 분노하고 있다고 단독 보도했다.

 

이 뉴스는 트럼프의 약속과는 달리 트럼프 행정부는 평양에 그런 문서에 서명하기 전 우선 핵무기의 대부분을 해체할 것을 요구했고 그 결정이 양국 간 협상이 교착에 빠지고 최근 북한이 점점 호전적인 발언을 하는 이유일 것이라고 분석했다.

 

< VOX 뉴스 >는 지난 29일 ‘Exclusive: Trump promised Kim Jong Un he’d sign an agreement to end the Korean War-단독: 트럼프, 김정은에 종전 협정 약속‘이라는 제목의 단독보도에서 이같이 전하며 “북한 사람들이 왜 화를 내는지 이해할 만 하다”, “트럼프가 평화 협정을 약속하고는 그 다음 규칙을 바꾸고 평화 협정에 조건을 다는 것은 미국이 약속을 저버리는 것으로 보일 것이다.”라는 소식통의 말을 인용보도 했다.

 

뉴스는 한국전쟁에 대한 간략한 소개와 함께 “전쟁은 1953년에 끝났지만, 전쟁 당사자들은 그저 휴전을 체결했을 뿐이다. 이것은 엄밀히 말하면 전쟁이 오늘날까지 이어진다는 뜻”이라며 “남북한은 비무장지대로 알려진 국경과 그 주변에 병력과 무기들을 배치하고 있다. 이는 북한이 외교 정책의 방향을 미국과 한국의 추후 공격을 어떻게 저지할 수 있을지에 맞추어, 미국 본토 전역에 도달할 수 있는 약 65대의 핵탄두와 미사일들을 포함한 강력한 핵무기 개발을 해낸 주요 이유”라고 설명했다.

 

뉴스는 미국의 정전선언은 북의 김정은 위원장에게 비핵화를 정당화할 수 있는 정치적 명분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분석하며 “그 선언이 없이는, 김정은이 트럼프에 하는 어떠한 양보도 북한의 지도자가 철천지원수에게 항복하는 것으로 보일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 지도자에게 자신들의 만남 이후 곧 평화 선언문에 서명하겠다는 약속을 했으나 이행되지 않고 있는 배경에 대해 폼페이오 국무장관, 볼튼 안보보좌관 등 미국의 관리들이 선 종전선언에 대해 반대하고 있다며 “트럼프 행정부의 몇몇 익명의 관료들이 트럼프 대통령의 의도에 역행하고 있다”는 북한 외무성의 성명을 인용했다.

 

< VOX 뉴스 >는 평양의 관료들에게는 트럼프 대통령이 약속을 하곤 미 국무장관이 그 약속을 지키지 않은 것처럼 보인다고 북이 격노하고 있는 이유를 설명했다. 기사 말미에 “현 시점에서, 현 협상 국면에 근거할 때 볼튼-매티스 노선이 승리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미국이나 북한이 어느 정도의 양보를 하지 않는다면, 회담은 계속 교착 상태에 빠질 것이다. 그리고 만일 그런 일이 벌어진다면, 트럼프는 대화를 전면 중단하기로 결정할 수도 있으며 군사적 선택을 재고할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 VOX 뉴스 >는 복스미디어 그룹에서 2014년 창간된 온라인 매체로 워싱턴포스트(WP)의 스타 기자이자 유명 데이터 전문 블로거였던 에즈라 클라인(32)이 창업자 겸 편집국장으로 옮겨 강력한 해설을 위주로 한 기사로 평판을 얻고 있다. (*뉴스프로 번역팀의 도움을 받았습니다.)

 

  • |
  1. break.jpg (File Size:65.4KB/Download:22)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355 미국 [COVID19 일일 브리핑] 마이애미 증가세 크게 꺾여… 스테이-엣-홈 효과? file 코리아위클리.. 20.04.06.
1354 미국 [COVID19 일일 브리핑] 마이애미 포함 플로리다, 연이틀 증가세 둔화 file 코리아위클리.. 20.04.07.
1353 미국 [코로나19 일일 브리핑] 코로나19 수그러들 조짐 보이나? 최근 증가세 둔화 file 코리아위클리.. 20.04.08.
1352 미국 [COVID19 일일 브리핑] 플로리다 유일 청정지역 ‘리버티’… 마이애미 700명대 증가치 나흘째 유지 file 코리아위클리.. 20.04.09.
1351 미국 [코로나19 일일 브리핑] 마이애미 환자 증가치 600명대로, 하향곡선 그리나? file 코리아위클리.. 20.04.10.
1350 미국 [COVID19 일일 브리핑] 한국 환자수와 같아진 마이애미, 사망자는 딱 두배 file 코리아위클리.. 20.04.11.
1349 미국 태평양 섬나라 10개국 등 17개국 ‘코로나 청정국’ 코리아위클리.. 20.04.12.
1348 미국 미국, 10년새 고학력 이민자 크게 늘어 코리아위클리.. 20.04.12.
1347 미국 올랜도 UCF, 드라이브스루 코로나19 검진소 열어 file 코리아위클리.. 20.04.12.
1346 미국 플로리다 전역 '자택칩거령', 지역정부는 자체 규정 시행 file 코리아위클리.. 20.04.12.
1345 미국 감기-독감-코로나19, 증상 확연히 차이 있다 file 코리아위클리.. 20.04.12.
1344 미국 [COVID19 일일 브리핑] 플로리다 정점 찍었나?...1100명대 ‘평형’ 깨고 하강 file 코리아위클리.. 20.04.12.
1343 미국 [COVID19 일일브리핑] 부활절, 플로리다 증가치 큰폭 하락… 마이애미 잡혔나? file 코리아위클리.. 20.04.13.
1342 미국 [COVID19 일일브리핑] 플로리다 일일 증가, 다시 1100명대로… ‘평형 상태’ 유지 file 코리아위클리.. 20.04.15.
1341 미국 [COVID19 일일브리핑] 마이애미 잡히니, 플로리다 잡히네! 플로리다 신규환자 '급전직하' file 코리아위클리.. 20.04.15.
1340 미국 [COVID19 일일브리핑: 제14신] 플로리다, 종착역 향해 ‘2보 전진, 1보 후퇴’ 계속 file 코리아위클리.. 20.04.17.
1339 미국 [COVID19 일일브리핑] 주춤주춤 반보 앞으로... 플로리다 신규환자 800명대 초반으로 file 코리아위클리.. 20.04.17.
1338 미국 [COVID19 일일브리핑] 플로리다 새 환자 돌연 ‘수직상승’… 다시 4월초 수준으로 file 코리아위클리.. 20.04.18.
1337 미국 [COVID19 일일브리핑] 머리 총맞고 살아난 경찰, 코로나로 사망… 플로리다 새환자 다시 ‘뚝’ file 코리아위클리.. 20.04.19.
1336 미국 [COVID19 일일브리핑] 혼쭐난 플로리다, 제자리 복귀… 신규환자 연일 ‘평형’ 유지 file 코리아위클리.. 20.04.20.